하이거

판교핫뉴스1

2015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결과-2015년 국내 총 R&D 투자는 65조 9,594억원, 전년대비 3.5% 증가, 총 연구원 수 453,262명, 전년대비 3.6% 증가

하이거 2016. 12. 11. 12:02

2015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결과-2015년 국내 총 R&D 투자는 659,594억원, 전년대비 3.5% 증가, 총 연구원 수 453,262, 전년대비 3.6% 증가

 

작성일 : 2016. 12. 10. 연구제도혁신과

 











2015년 국내 총 R&D 투자는 65조 9,594억원, 전년대비 3.5% 증가
- 총 연구원 수 453,262명, 전년대비 3.6% 증가 -
- GDP 대비 총 R&D 비중은 4.23%로 감소(0.06%p)이나 꾸준한 R&D 투자지속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지난해 국내에서 수행한 공공 및 민간분야의 연구개발활동을 조사한 『2015년도 연구개발활동 조사결과』를 12월 9일(금) 제25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에 보고할 예정이다.

 ㅇ 이번 조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가이드라인(Frascati Manual)에 따라 전국 56,109개 기관(공공연구기관, 대학, 기업 등)을 대상으로 전수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2015년도 기준 각 연구수행기관이 사용한 연구개발비와 연구개발 인력 현황 등에 관한 주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 통계법 국가승인 지정통계(제10501호)로서 1963년에 최초 실시된 이래, 매년 시행하고 있는 전국 단위의 과학기술 통계조사로 과학기술기본법 제26조의2에 따라, 우리나라 총 연구개발(공공+민간) 투자결과를 OECD 프라스카티 매뉴얼에 따라 조사·분석하고 그 결과를 관련 정책에 활용

1. 연구개발비

□ 조사결과, 지난해 우리나라 총 연구개발비는 2조 2,252억원(3.5%↑) 증가한 65조 9,594억원(583억달러*)으로 세계 6위 수준으로, 국내 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4.23%로서 전년 대비 0.06%p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 R&D 관련 통계에 OECD가 적용하는 2015년 한국의 환율 1,131.16원/US달러 적용
< 우리나라 총 연구개발비 및 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추이 >

 주) GDP는 한국은행의 경제통계시스템(ECOS)의 해당연도 자료를 활용

 < 연구개발비 국제비교 >

 주) OECD가 2016년 7월에 발표(OECD 회원국과 주요 비회원국 대상)한 수치를 기준으로 산출

 ㅇ 연구개발비 재원별로는 정부·공공이 16조 2,935억원(24.7%), 민간 49조 1700억원(74.5%), 외국 4,959억원(0.8%)으로 민간비중이 높은 구조

   - 정부․공공 대비 민간․외국 재원 비중은 25:75이며, ‘14년도에 비해 정부․공공 재원 비중이 소폭(0.7%↑p) 상승하였다.

 ㅇ 연구개발비 사용주체별로는 기업 51조 1,364억원(77.5%), 공공연구기관 8조 8,241억원(13.4%), 대학이 5조 9,989억원(9.1%) 사용

   - 기업체가 사용한 연구개발비는 1조 2,820억원 증가(2.6%↑), 공공연구기관은 7,114억원 증가(8.8%↑), 대학은 2,319억원 증가(4%↑)하였다.
 ㅇ 연구개발단계별로 살펴보면, 기초 연구개발비는 11조 3,617억원(17.2% 점유), 응용 연구개발비에 13조 7,450억원(20.8%), 개발 연구개발비에 40조 8,528억원(61.9%)으로, 전년대비 각각 1.1%(기초), 14%(응용), 1%(개발)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ㅇ 비목별로는 인건비 28조 268억원(42.5%), 자본적 지출은 6조 4,533억원(9.8%), 기타 경상비 31조 4,793억원(47.7%)로 밝혀졌다.

    ※ 연구비 비목은 경상비(인건비, 교육훈련비, 원재료비), 자본적 지출(기계, 장치, 토지, 건물, 컴퓨터 등), 기타 경상비(인건비와 자본적 지출을 제외한 경상적 모든 비용으로 직접․간접경비 포함)로 구성


2. 연구개발 인력

□ 총 연구원 수는 15,815명이 증가한(3.6%) 453,262명이며, 상근상당 연구원 수는 356,447명(전년대비 3.2% 증가)으로 세계 5위 수준이었다.

 ㅇ 경제활동인구 천명당 연구원 수(FTE* 기준)는 13.2명(0.2명↑), 인구 천명당 연구원 수(FTE 기준)는 7명(0.1명↑)으로 주요 국가들보다도 높게 나타났다.

    * FTE(Full Time Equivalent) : 상근 상당


< 주요국 경제활동인구 및 인구 천명당 연구원 수(FTE 기준) >



 ㅇ 학사 연구원의 95.5%인 189,985명은 기업체에 종사하고 있으며, 박사 연구원의 59.9%인 59,060명은 대학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 박사연구원의 대학 근무추이 : 55,153명(‘13, 62%)→56,492명(’14, 61.3%)→59,060명(‘15, 59.9%)

< 연구수행주체별 학위별 연구원 분포 >


박사


석사


학사


기타


           공공연구기관          대  학             기업체            합  계


 ㅇ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FTE 기준)는 56만원 증가한(0.3%) 1억 8,504만원이지만, 주요 선진국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편이다.

<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국제비교(FTE 기준) >


 ㅇ 여성연구원은 전년대비 4,748명이 증가한(5.9%↑) 85,652명(18.9% 점유)으로, 최근 10년간 전체 연구원 내 비중도 지속적으로 증가

   - 여성연구원의 비중은 일본(14.7%, ‘14년)을 제외한 영국(38.1%, ’13년), 독일(27.9%, ‘13년), 프랑스(25.5%, ’13년)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3. 기업 부문 연구개발 투자 현황

□ 2015년도 조사된 기업 전체의 매출액은 1,690.8조원으로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3.02%로 전년대비 0.06%p 증가하였다.

 ㅇ 대기업의 연구개발비는 38조 9,303억원(전년대비 0.8%↑), 중소기업 연구 개발비는 6조 3,753억원(7.2%↑), 벤처기업은 5조 8,308억원(10.2%↑)으로 조사되었다.

   - 대기업의 연구개발비 비중은 전년대비 감소(1.3%p↓)한 반면, 중소기업(0.5%p↑)과 벤처기업(0.8%p↑)은 증가하였다.

< 우리나라 기업유형별 연구개발비 추이 >


 ㅇ 매출액 기준으로 상위 5개 기업의 연구개발비는 기업이 사용한 전체의 37.2%, 상위 10개 기업은 41.7%, 상위 20개 기업은 49.3%를 차지

   - 매출액 상위 20개 기업의 경우, 연구원, 연구개발비, 박사연구원 집중도는 전년에 비해 모두 감소로 나타났다.

 ㅇ 제조업은 전년대비 1조 4,943억원이 증가한(3.4%↑) 45조 8,224억원, 서비스업은 2억원이 증가한 4조 1,174억원으로 조사되었다.

 ㅇ 연구개발비 규모 기준으로 전년대비 연구비 변화를 살펴보면, 상위 그룹 연구비는 감소, 하위그룹 연구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 대기업과 같은 연구개발비 상위 20위 집단까지는 전년대비 연구비가 감소하였으며, 규모가 커질수록 감소폭은 더욱 커지며,

   - 반대로 연구개발비가 작은 벤처․중소기업으로 갈수록 전년대비 연구비는 증가하며, 규모가 작아질수록 증가폭도 커지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 전년도 대비 연구개발비 상위기업 연구비 증감 >

구분
기업 사용 연구비 (단위: 억 원)
2014
2015
전년대비증가율
연구비
상위
(누적)
5개
230,273
46%
223,106
44%
-3.11%
10개
259,605
52%
256,834
50%
-1.07%
20개
284,444
57%
281,686
55%
-0.97%
50개
312,772
63%
314,038
61%
0.40%
100개
337,929
68%
339,489
66%
0.46%
200개
359,054
72%
360,523
71%
0.41%
500개
384,973
77%
387,478
76%
0.65%
700개
394,384
79%
397,275
78%
0.73%
1000개
404,347
81%
407,812
80%
0.86%
전체
498,545
100%
511,364
100%
2.57%


□ 전체적으로 국내 총 연구개발비 증가가 둔화(7.48%증(‘14)→3.5%증(’15))되었는데, 이는 기업의 연구개발비 규모는 전년에 비해 늘었지만 증가폭이 감소(7.1%증(‘14)→2.6%증(’15))된 것에 기인된 것으로 유추된다.

 ㅇ 대기업 등 연구개발 투자 규모가 큰 기업보다는 벤처 및 중소기업의 연구비규모가 작은 집단이 연구개발비를 늘린 결과라고 볼 수 있다.

 ㅇ 특히, ‘15년에 기업부설연 보유기업*으로 인정된 신규 6,941개 업체의 진입 등 벤처창업 기업들의 연구비도 적극 반영된 것으로 시사된다.

    * 기업부설연/연구전담부서 보유업체 수 : 48,516개(‘14) → 55,457개(’15)

□ 미래부는 12월 중으로 보고서를 발간하여, 연구기관 및 연구자는 물론 일반 국민들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국가통계포털(KOSIS) 등을 통해 원시자료(연구자 요청 시) 및 보고서를 공개하고 OECD에도 송부하여 국가 간 비교자료로 활용되도록 할 계획이다. 

[붙임 1] 연구개발활동조사 주요결과 전년대비 비교표
[붙임 2] 연구개발활동조사 개요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미래창조과학부 김진훈 사무관(☎ 02-2110-2733)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1] 연구개발활동조사 주요결과 전년대비 비교표

구  분
2014년
2015년
총연구개발비
·63조 7,341억원(6위)
·GDP대비 비중 : 4.29%(1위)
·65조 9,594억원(6위)
·GDP대비 비중 : 4.23%(1위)
연구
개발비
재원별
·정부공공 : 15조 2,750억원(24.0%)
·민간 : 48조 83억원(75.3%)
·외국 : 4,508억원(0.7%)
·정부공공 : 16조 2,935억원(24.7%)
·민간 : 49조 1,700억원(74.5%)
·외국 : 4,959억원(0.8%)
주체별
·공공연구기관 : 8조 1,127억원(12.7%)
·대학 : 5조 7,670억원(9.0%)
·기업체 : 49조 8,545억원(78.2%)
·공공연구기관 : 8조 8,241억원(13.4%)
·대학 : 5조 9,989억원(9.1%)
·기업체 : 51조 1,364억원(77.5%)
단계별
·기초연구 : 11조 2,426억원(17.6%)
·응용연구 : 12조 585억원(18.9%)
·개발연구 : 40조 4,330억원(63.4%)
·기초연구 : 11조 3,617억원(17.2%)
·응용연구 : 13조 7,450억원(20.8%)
·개발연구 : 40조 8,528억원(61.9%)
연구개발인력
·연구원 : 437,447명
·연구원(FTE) : 345,463명(6위)
·연구개발인력 : 605,604명
·연구개발인력(FTE) : 430,868명
·연구원 : 453,262명
·연구원(FTE) : 356,447명(5위)
·연구개발인력 : 619,907명
·연구개발인력(FTE) : 442,027명
연구원
주체별
·공공연구기관 : 33,322명(7.6%)
·대학 : 99,317명(22.7%)
·기업체 : 304,808명(69.7%)
·공공연구기관 : 35,550명(7.8%)
·대학 : 99,870명(22.0%)
·기업체 : 317,842명(70.1%)
학위별
·박사 : 92,155명(21.1%)
·석사 : 129,409명(29.6%)
·학사 : 190,415명(43.5%)
·기타 : 25,468명(5.8%)
·박사 : 98,578명(21.7%)
·석사 : 129,264명(28.5%)
·학사 : 199,019명(43.9%)
·기타 : 26,401명(5.8%)
성별
·남성 : 356,543명(81.5%)
·여성 : 80,904명(18.5%)
·남성 : 367,610명(81.1%)
·여성 : 85,652명(18.9%)
기업
유형별
연구
개발비
·대기업 : 38조 6,177억원(77.5%)
·중소기업 : 5조 9,468억원(11.9%)
·벤처기업 : 5조 2,899억원(10.6%)
·대기업 : 38조 9,303억원(76.1%)
·중소기업 : 6조 3,753억원(12.5%)
·벤처기업 : 5조 8,308억원(11.4%)
연구원
·대기업 : 157,430명(51.6%)
·중소기업 : 77,596명(25.5%)
·벤처기업 : 69,782명(22.9%)
·대기업 : 154,809명(48.7%)
·중소기업 : 87,166명(27.4%)
·벤처기업 : 75,867명(23.9%)
매출액상위
기업
연구
개발비
·상위 5개사 : 16조 7,124억원(33.5%)
·상위 10개사 : 21조 9,679억원(44.1%)
·상위 20개사 : 25조 7,120억원(51.6%)
·상위 5개사 : 19조 454억원(37.2%)
·상위 10개사 : 21조 3,245억원(41.7%)
·상위 20개사 : 25조 2,205억원(49.3%)
연구원
·상위 5개사 : 56,021명(18.4%)
·상위 10개사 : 73,883명(24.2%)
·상위 20개사 : 88,079명(28.9%)
·상위 5개사 : 65,691명(20.7%)
·상위 10개사 : 73,244명(23.0%)
·상위 20개사 : 85,156명(26.8%)
항목별
상위
기업
연구
개발비
·상위 5개사 : 23조 273억원(46.2%)
·상위 10개사 : 25조 9,605억원(52.1%)
·상위 20개사 : 28조 4,444억원(57.1%)
·상위 5개사 : 22조 3,106억원(43.6%)
·상위 10개사 : 25조 6,834억원(50.2%)
·상위 20개사 : 28조 1,686억원(55.1%)
연구원
·상위 5개사 : 75,811명(24.9%)
·상위 10개사 : 87,645명(28.8%)
·상위 20개사 : 98,376명(32.3%)
·상위 5개사 : 72,077명(22.7%)
·상위 10개사 : 85,868명(27.0%)
·상위 20개사 : 95,832명(30.2%)
박사
연구원
·상위 5개사 : 7,121명(37.1%)
·상위 10개사 : 8,720명(45.4%)
·상위 20개사 : 9,898명(51.5%)
·상위 5개사 : 7,418명(34.3%)
·상위 10개사 : 9,091명(42.0%)
·상위 20개사 : 10,176명(47.0%)

[붙임 2] 연구개발활동조사 개요

□ 조사 목적

 ○ 우리나라 전체의 연구개발활동 현황을 조사(일반목적 기초 통계조사)하여 국가연구개발정책수립 등에 필요한 R&D관련 기초통계자료 산출・제공

 ○ 연구개발활동 현황에 관한 우리나라 대표통계로서 OECD에 제공 국제비교에 활용

□ 근거 및 연혁

 ○ 「과학기술기본법」 제26조의2 및 통계법 (국가승인 지정통계 제10501호)

 ○ 1963년 「연구기관실태조사」라는 명칭으로 시작된 이래 매년 조사 실시


 ◦1963년 : 경제기획원 기술관리국에서 “연구기관실태조사”를 최초로 실시
 ◦1967년 : 과학기술처로 동 업무를 이관하며, “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조사”로 명칭 변경
 ◦1982년 : 통계법에 의한 일반통계로 승인(1999년 지정통계 전환)
 ◦1995년 : OECD의 연구개발활동조사시행지침(FRASCATI MANUAL)에 따른 조사사항, 방법채택
 ◦2008년 : 조사범위를 인문·사회과학까지 확대하고 “연구개발활동조사”로 명칭 변경


□ 조사 대상 (‘15년도 대상 56,109개 기관)

 ○ 연구개발활동을 수행하는 국내 전체 공공연구기관, 대학, 의료기관, 기업체*
    * 기업부설연구소(전담부서)를 보유한 기업

 ○ (조사 분야) 이학, 공학, 의학, 농학, 인문학, 사회과학 전 분야
 
구 분
공공부문
민간부문
합 계
공공연구기관
대학
의료기관
기업체
‘15년도 조사 대상기관
850
425
517
54,317
56,109
‘15년도 조사 회수기관
833
(98.0%)
417
(98.1%)
509
(98.5%)
45,108
(83.0%)
46,867
(83.5%)


□ 조사 지침 및 방법

 ○ (실시 기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총괄 및 공공부문 조사),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민간부문)

 ○ (조사 기준) R&D 통계조사에 관한 국제지침인 OECD 프라스카티 매뉴얼 적용
   ※ 다른 통계에서 활용하는 기업회계기준(R&D관련 재무제표정보)과는 개념 및 포괄범위 상이

 ○ (조사 방법) 자계식(自計式) 전수 설문조사 및 전화조사 등 추가 검증실시

 ○ (조사 항목) 기관 일반현황, 연구인력 현황(성별, 학위, 전공, 연령 등), 연구개발비 현황(연구개발단계별 연구비, 재원별 연구비, 비목별 연구비 등)

 ○ (기준 시점) 인력 정보는 매년 12.31. 기준, 금액 정보는 매년 1.1.~12.31.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