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2016년도 혁신산단 2곳, 산학융합지구 3곳 최종 선정
담당부서입지총괄과 등록일2016-12-12
혁신산단 2곳, 산학융합지구 3곳 선정
- '16년 신규 혁신산단으로 부산 신평장림산단, 천안제2산단 2곳 선정 -
- '16년 신규 산학융합지구 지원대상으로 인하대, 제주대, 목포대 3곳 선정 -
- 산단혁신을 위해 금년까지 총 17개 혁신산단, 13개 산학융합지구 선정 완료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주형환)는 산업단지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16년도 혁신산단 2곳, 산학융합지구 3곳을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 혁신산단 : 착공한지 20년 이상 경과한 노후산단 중 선정하여 산단환경개선펀드, 혁신지원센터 등 혁신사업 지원
* 산학융합지구 : 산단 내 단일 지구에 산학간 물리적․기능적 연계를 위한 거점을 마련하여 대학캠퍼스와 기업연구소 등을 유치, 현장맞춤형 교육, 산학공동 R&D 지원
ㅇ 금년에 신규로 선정된 혁신산단 2곳은 부산 신평장림일반산단과 충남 천안제2일반산단이며,
ㅇ 신규 산학융합지구 지원대상 3곳은 인하대 컨소시엄(송도지식정보일반산단), 제주대 컨소시엄(제주첨단과학기술국가산단), 목포대 컨소시엄(나주혁신일반산단)이다.
ㅇ 산업부는 지난 9월부터 지자체 대상 혁신산단 공모와 산학연 컨소시엄 대상 산학융합지구 공모를 각각 진행하고, 외부 전문가 평가를 거쳐 선정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 정부는 ’14.9월 「산단 출범 50주년 기념식」(’14.9월)을 계기로 ’16년까지 17개 혁신산단을 선정하여 노후산단 경쟁력 강화를 집중 지원하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으며,
ㅇ ’14~’15년간 15개 산단을 旣 선정하고, 금번 2개 산단을 추가로 선정함으로써 17개 혁신산단 선정을 차질없이 마무리하였다.
【 17개 혁신산단 선정 현황 (국가산단 9, 일반산단 8) 】
선정
연도
지자체
산업단지
입주업체
(개사)
고용
(명)
생산액
(억원)
’14년
(국가 6, 일반 1)
인천 부평구․서구
부평․주안 국가산업단지
1,211
27,137
69,987
대구 달서구
성서1·2차 일반산업단지
2,091
39,922
110,440
경기 안산시․시흥시
반월․시화 국가산업단지
19,069
293,106
835,178
전남 영암군
대불 국가산업단지
330
11,177
30,445
전남 여수시
여수 국가산업단지
277
20,735
693,890
경북 구미시
구미 국가산업단지
2,102
102,240
490,115
경남 창원시
창원 국가산업단지
2,573
116,672
586,321
’15년
(국가 3, 일반 5)
인천 남동구
남동 국가산업단지
7,027
111,723
263,673
대구 서구
서대구 일반산업단지
2,168
14,157
7,536
광주 광산구
하남 일반산업단지
993
27,162
119,139
울산 남구․동구․북구
울산미포 국가산업단지
853
104,943
1,204,367
경기 성남시
성남 일반산업단지
3,163
42,998
920,742
충북 청주시
청주 일반산업단지
358
27,086
146,063
전북 익산시
익산 국가산업단지
223
4,183
36,648
경남 양산시
양산 일반산업단지
105
10,109
17,600
’16년
(일반 2)
부산 사하구
신평장림 일반산업단지
621
15,421
46,547
충남 천안시
천안제2 일반산업단지
63
4,049
21,947
ㅇ 산업부 관계자는 이를 통해 주요 산단 대부분을 선정함으로써 노후산단 혁신을 본격화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고 평가하였다.
□ 한편, 정부는 ’11년부터 산학융합지구 조성을 지원하기 시작하여 ’15년까지 10개 지구를 旣 선정했으며, 금년에 3개 지구를 추가로 선정함으로써 총 13개 지구를 조성해나갈 방침이다.
ㅇ 금년에 선정한 3개 지구별로 향후 5년간 국비 120억원이 각각 지원되며, 단지별 특화업종을 고려하여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 13개 산학융합지구 선정 현황 】
선정
연도
지자체
대상산단
특화업종
참여대학
이전학과
이전
학생수
비고
‘11년
경기
안산
반월․시화국가산단
기계 및 IT부품
한국산업기술대
기계공학과, 전자공학부 등 6개
3,463명
준공
전북
군산
군산
국가산단
기계, 조선
군산대, 전북대,
호원대, 군장대
기계자동차공학부, 조선공학과 등 7개
446명
준공
경북
구미
구미
국가산단
모바일, 디스플레이
금오공대, 경운대, 구미대, 영진전문대
광시스템공학과, 모바일공학과 등 7개
875명
준공
’12년
전남
대불
대불
국가산단
조선, 해양
목포대
해양시스템공학과, 조선공학과 등 4개
335명
준공
충북
오송
오송생명과학
국가산단
바이오
충북대, 청주대,
충북도립대
약학과, 바이오학과 등 4개
460명
준공
울산
울산테크노
일반산단
화학, 소재
울산대, UNIST, 울산과학대
첨단소재공학부, 화학과 등 6개
945명
조성중
’13년
충남
당진
석문
국가산단
소재, 자동차부품
호서대
자동차ICT공학과, 신소재공학과 등 3개
514명
조성중
’14년
경남
창원
창원
국가산단
기계, 자동차부품
경상대, 경남대, 마산대
기계항공공학부,기계공학과 등 4개
335명
조성중
’15년
부산
미음
일반산단
조선, 해양플랜트
한국해양대
조선해양시스템공학부, 해양공학과 등 3개
268명
조성중
전남
여수
여수
국가산단
석유화학
전남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플랜트공학과 등 5개
272명
조성중
’16년
인천
송도지식정보일반산단
항공, 자동차
인하대
항공우주공학과, 기계공학과 등 4개
510명
-
제주
제주첨단과학
기술국가산단
바이오, IT
제주대, 제주관광대
화학코스메틱스학부, 컴퓨터공학과 등 4개
236명
-
전남나주
나주혁신
일반산단
전기전자, 에너지
목포대, 전남도립대
전기및제어공학과, 신재생에너지전기과 등 5개
346명
-
합계
13개
27개 대학
62개 학과
9,005명
ㅇ 산업부 관계자는 ’15년까지 반월시화, 군산, 구미, 대불, 오송 등 5개 지구는 조성을 완료하였으며, ’20년까지 13개 지구 조성이 완료되면 산업단지에 총 27개 대학, 62개 학과, 9천여명의 학생들이 이전함으로써 산업단지 현장 맞춤형 인력양성과 유기적인 산-학 협력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참고 1
혁신산단 개요 및 '16년 선정 단지별 추진방향
1. 혁신산업단지 개요
□ 주요 산단들이 노후화됨에 따라 착공 20년이 경과한 노후산단 중 17개 산단을 선정, 산단환경개선펀드, 혁신지원센터 등 혁신사업 지원
* 산단환경개선펀드 : 정부 펀드자금을 마중물로 민간투자를 유치하여 업종 집적화시설, 편의시설 등 확충
* 혁신지원센터 : 산단 내 단일공간에 각종 비즈니스, 연구혁신 지원기관을 집적화
2. '16년 선정 단지별 추진방향
□ 신평장림일반산업단지
ㅇ 현 황(’15년 기준)
위치
면적
입주업체
생산액
수출
고용
부산 사하구
281만㎡
621개사
46,547억원
1,389백만불
15,421명
* 주요업종 : 기계, 섬유의복, 전기전자, 운송장비, 석유화학 등
ㅇ 추진방향 : 융․복합 산업단지로 공간재편, 각종 지원센터 연계를 통한 혁신역량 강화, 문화가 접목한 근로․정주환경 제공 등
□ 천안제2일반산업단지
ㅇ 현 황(’15년 기준)
위치
면적
입주업체
생산액
수출
고용
충남 천안시
82만㎡
63개사
21,947억원
340백만불
4,049명
* 주요업종 : 전기․전자, 운송장비, 음식료, 기계 등
ㅇ 추진방향 : 주력업종의 전략적 집적화, 신성장 유망 업종 고도화를 위한 기업지원시설 도입, 우수인력 유입을 위한 근로여건 개선 등
참고 2
산학융합지구 개요 및 '16년 선정 지구별 계획
1. 산학융합지구 개요
□ 산단에 대학캠퍼스를 이전하고 기업연구관을 조성하여, ‘현장맞춤형 인력양성’과 ‘中企 R&D’를 지원 (5년간 국비 120억원 지원)
2. '16년 선정 지구별 개요
□ 인천 산학융합지구 (송도지식정보일반산단 내)
ㅇ 대학 및 기업연구소 이전 규모 : 1개 대학 4개 학과(학생 510명), 63개 기업연구소 입주 예정
* 항공우주공학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 기계공학과, 재료공정공학전공 (인하대)
ㅇ 총 사업비 및 시설규모 : 600억원(국비 120, 기타 480), 연면적 20,164㎡
□ 제주 산학융합지구 (제주첨단과학기술국가산단 내)
ㅇ 대학 및 기업연구소 이전 규모 : 2개 대학 5개 학과(학생 236명), 30개 기업연구소 입주 예정
* 화학코스메틱스학부, 컴퓨터공학과, 식품영양학과 (제주대) / 멀티미디어게임과 (제주관광대)
ㅇ 총 사업비 및 시설규모 : 296억원(국비 120, 기타 176), 연면적 7,934㎡
□ 나주 산학융합지구 (나주혁신일반산단 내)
ㅇ 대학 및 기업연구소 이전 규모 : 2개 대학 5개 학과(학생 346명), 65개 기업연구소 입주 예정
* 전기및제어공학과, 전자정보통신공학과 (목포대) / 신재생에너지전기과, 정보통신과 (전남도립대)
ㅇ 총 사업비 및 시설규모 : 323억원(국비 120, 기타 203), 연면적 9,500㎡
'부동산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건축물, 에너지 생태계 변화에 어떻게 대응할까?-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세 번째「미래건축포럼」개최 (0) | 2016.12.13 |
---|---|
8호선 우남역사 신축설계 설계공모 당첨작 조감도 (0) | 2016.12.12 |
제4차 「경제현안점검회의」-「정책모기지 개편방안 (0) | 2016.12.12 |
울산 에너지융합 일반산업단지” 투자선도지구로 지정- 지역성장거점으로 육성…일자리 창출·지역 경제 활성화 기대 (0) | 2016.12.12 |
고흥∼여수를 잇는 ‘팔영대교’ 명칭 확정- 국가지명위원회 전남·인천 77개 지명 최종 결정 (0) | 2016.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