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부동산관련

철도건널목 사고, “자동차 내비게이션으로 예방해요”- 철도건널목에 접근하는 운전자에게 경고를 알리는 서비스 제공

하이거 2016. 12. 14. 15:46

철도건널목 사고, “자동차 내비게이션으로 예방해요”- 철도건널목에 접근하는 운전자에게 경고를 알리는 서비스 제공

 

부서:철도시설안전과등록일:2016-12-14 11:00

 

 





철도건널목 사고,“자동차 내비게이션으로 예방해요”

- 철도건널목에 접근하는 운전자에게 경고를 알리는 서비스 제공 -

□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철도건널목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저감하기 위해 자동차가 철도건널목에 접근하면 내비게이션을 통해 ‘일시정지’ 메시지를 알리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사고저감 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최근 5년간 전국에 설치된 1,000여개*의 철도건널목에서 연평균 11건의 철도건널목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사고로 인해 연간 8.8명의 사상자(사망자 2.4명/연)가 발생하고 있다.

     * ‘11년 1,262개 → ‘12년 1,219개 → ’13년 1,149개 → ‘14년 1,075개 → ’15년 1,060개

 ㅇ 철도건널목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은 대부분 자동차 운전자의 부주의에 있으나, 그 배경에는 안전시설 미흡 및 지형적 요인 등의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 이에 따라, 2020년 까지 철도건널목 사고 50% 이상 저감을 목표로 자동차 운전자의 주의를 유도하기 위한 안전시설을 개선하는 등 사고저감 대책을 추진한다.
① 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거나 사고 시 예상피해 정도가 큰 철도건널목을 특별관리 건널목으로 지정하고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ㅇ 최근 5년간 사고가 2회 이상 발생하거나, 위험물 운송지역, 상수원 보호구역 등 사고 시 피해가 큰 철도건널목에 ‘17년 부터 건널목 관리원을 배치하고, 안전설비를 개선하는 등 집중관리를 실시한다.

② 자동자 운전자의 안전환경을 개선한다.

 ㅇ 철도건널목 사고의 위험성과 철도건널목 통과 시 운전자가 준수해야 하는 안전수칙을 언론매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ㅇ 진입도로에 교통표지‧노면표지‧과속방지턱을 정비(‘17년)하는 한편, 시인성 향상을 위해 건널목 차단기와 경보등 교체(’18년)도 추진한다.

③ 자동차 내비게이션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안전관리를 추진한다.

 ㅇ 철도건널목의 위치정보를 전자지도에 반영하여 자동차가 철도건널목에 접근하면 내비게이션을 통해 경고를 알리는 서비스를 제공(‘17년)하고,

 ㅇ 철도건널목을 빠져나가지 못하고 남아있는 자동자를 센서로 검지하여 기관사에게 알리고, 차단기를 상승시켜 자동차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첨단안전설비도 확대 설치(‘18년)한다.

④ 철도건널목 입체화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자체 등 사업비를 분담하는 주체의 재정여건을 감안하여 차별화된 사업을 추진한다.

 ㅇ 상대적으로 재정여건이 양호한 광역시 및 국도에 설치된 철도건널목에 대한 입체화사업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ㅇ 재정여건이 열악하여 사업비 분담이 어려운 지자체는 관련부처와 협의하여 입체화를 위한 사업비의 일부를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 국토교통부 구본환 철도안전정책관은 “철도건널목의 안전시설 보완이 필요한 부분은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교통안전공단 등 유관기관과 함께 운전자의 안전수칙 준수를 위한 홍보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히고,

  ㅇ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철도건널목을 통과하기 전에 반드시 일단정지하여 열차의 접근여부를 확인하고, 차단기 하강 중에는 무리하게 통과하지 않는 등 운잔자의 안전수칙 준수가 요구된다”며 운전자의 적극적인 관심과 주의를 당부하였다.



참고

철도건널목 사고 현황


 ㅇ (사고건수) 최근 5년간 철도건널목 수는 16% 감소하였으나, 인적‧물적 복합요인으로 인해 건널목 사고는 답보상태를 유지(연평균 11건 발생)

< 최근 5년간(‘11~‘15) 철도건널목 사고 >

구   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평균
건널목수
1,262
1,219
1,149
1,075
1,060
1,153
사고건수
14
10
13
7
12
11
건널목당 사고
0.011
0.008
0.011
0.007
0.011
0.010


 ㅇ (사고피해) 철도건널목 사고로 인한 사상자 수도 감소하지 않고 연평균 8.8명 발생하고 있으며, 사망자도 연평균 2.4명 발생

  - 사고 복구 및 열차지연에 따른 보상에 약 2.6억원이 소요되었으며, 이 중 열차수리(75%)와 시설복구(21%) 비용이 대부분을 차지


< 철도건널목 사고 인명피해, 명 >
< 철도건널목 사고 경제적피해, % >



 ㅇ (사고장소) 관리원이 배치되지 않은 건널목에서 사고가 대부분(78%) 발생하고, 일부 건널목*에서는 사고가 2~3회 반복적으로 발생함

    * 분황사 건널목(경주시), 우산 건널목(광주시 북구), 동래 건널목(부산시 연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