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스마트제조 정책을 위한 가이드 [GT 심층분석보고서]

하이거 2017. 1. 13. 08:08

스마트제조 정책을 위한 가이드 [GT 심층분석보고서]

 

거점 아메리카 > 미국(워싱턴) > 미국 기술분류 기타 > 기타

보고서종류 산업보고서 등록일 2017.01.13 발행처ITIF

발행년월일2016.11.01

 

http://www.gtonline.or.kr/kor/data/issue/dataView.do?cPage=1&sch_national_cd=&sch_report_gbn_cd=&sch_tech_1st_gbn_cd=&sch_tech_2nd_gbn_cd=&searchField=&keyword=&data_sid=223563






























주요 내용 요약

 

 I. 서론




Ⅱ. 스마트제조(Smart Manufacturing)란?

     1. 스마트제조

     2. 첨단제조와 스마트제조의 상관관계

 

 Ⅲ. 스마트제조 단계별 적용사례

     1. 디지털화를 통한 제품 디자인

     2. 적층가공(additive manufacturing: 3D printing)

     3. 디지털화된 공장 운영방식

     4. 디지털화로 연결된 공급체인 경영

     5. 스마트(지능형) 제품

 

 Ⅳ. 스마트제조 방식의 종합적 평가


 

 Ⅴ. 각국의 스마트제조 산업 지원정책

     1 중국

     2. EU

     3. 독일

     4. 스웨덴

     5. 영국

 

 Ⅵ. 정책적 권고사항

 

 Ⅶ. 결론

 
□ 스마트제조란 정보와 통신기술을 현대 제조과정에 적극 적용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전 세계 제조 산업 경제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음

○ 오늘날 부각되고 있는 5차 산업혁명은 “스마트제조(smart manufacturing)”의 시대를 의미하며, 한층 더 진보한 디지털 기술을 생산 시스템과 접목하는 것을 가능케 함.

○ 수반되는 기술에는 무선통신 기술,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재프로그램이 가능한 로봇, 기계 지능화 등이 있음. 이러한 기술들은 가상 세계와 실제 세상을 직접적이고도 실시간 적으로 연결시켜 줄 것임



□ 스마트제조로 인해 저렴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상품을 생산하던 개발도상국들의 가격경쟁력이 사라지고 스마트제조 방식을 앞서 수용한 나라들이 글로벌 경쟁에서 앞서게 될 것임.



□ 본 보고서는 스마트제조산업의 혁신이 무엇이며, 장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새로운 기술이 어떻게 현대 제조업의 모든 면을 변화시키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임

○ 디지털화를 통한 제품 디자인: 오늘날 생성적 디자인(generative-design) 도구들은 제품 디자이너들이 이전에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모양이나 구조의 제품들을 착안(conceive)할 수 있게끔 함

○ 적층가공 기술: 제조업의 디지털화는 3D 프린팅의 참된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중요한 역할로 앞으로 모든 형태의 제품 생산에 영향을 줄 것임. 또한 산업용 활용방안을 넘어서서 3D 프린팅은 기술의 민주화(democratization)를 가져올 것임

○ 디지털화된 공장 운영방식: 스마트 제조방식은 제조업체가 생산 시스템의 모든 단일 지점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고, 거기에서 얻은 정보(intelligence)를 사용하여 제조 프로세스를 실시간으로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함

○ 디지털화로 연결된 공급체인 경영: 스마트 제조는 각 회사의 공급 체인 운영능력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됨

○ 스마트(지능형) 제품:  정보기술을 기초로 디자인된 도구들은 제품들이 디자인되는 근본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음. 스마트 제조의 등장으로 제품 자체가 성능과 관련된 정보를 보내는 매체가 됨으로써 성능이 향상된 차세대 제품을 효과적으로 디자인하고 생산하는 일이 가능해잠. 정보기술은 대량 개별화와 저 가변성(variability)과 같은 제품의 본질을 바꾸고 있음



□ 공공정책은 스마트제조 산업의 경쟁구도를 결정하고, 기업들이 얼마나 신속하게 스마트제조 방식들을 받아들이느냐의 결정적인 역할을 함. 이에 본보고서는 중국, EU, 독일, 스웨덴, 영국, 미국이 실행하고 있는 스마트 제조 산업 관련 정책들을 살펴볼 것임



□ 마지막으로 미국이 앞으로 고려해야 할 정책들을 살펴봄으로써 어떻게 제조 분야를 최대한으로 지원할 수 있을지 논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