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융합 얼라이언스 」발족- 5년간(‘21~’25) 나노융합 혁신제품 개발에 1,243억원 지원
담당부서 섬유탄소나노과등록일 2021-09-16
「나노융합 얼라이언스 」발족
- 나노, 빅3 신산업과 손잡고 퀀텀점프 시도 -
- 5년간(‘21~’25) 나노융합 혁신제품 개발에 1,243억원 지원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16일 서울 밀레니엄힐튼호텔에서 빅3 등 전략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나노산업의 성장 발전을 위해 나노 소재․부품의 개발 및 공급을 촉진하는 ‘나노융합 얼라이언스’를 발족했다.
< 나노융합 얼라이언스 발족식 개요 >
◈ (일시/장소) ‘21.9.16.(목), 오후 14:00~15:00 / 밀레니엄힐튼호텔
◈ (참석자) 산업부, 현대차, LG전자, 삼성SDI, 크린앤사이언스, GC녹십자MS, 아모그린텍, 제이오, 네패스, 제우스, 클래비스,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진행방식) 대면 참석자 규모는 최소화하고, 줌(ZooM) 등 온라인 참여 병행
ㅇ 얼라이언스에는 나노 소재․부품의 수요처인 현대차, LG전자, 삼성SDI 대기업 등 20여개사와 공급처인 아모그린텍, 네패스, 제이오 등 중소기업 30여개, 총 50여개사가 참여해 유기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ㅇ 대기업은 기술 자문, 실증 테스트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나노 소재․부품 상용화를 지원하고 중소기업은 양질의 제품 공급으로 대기업의 공급망 안정화를 도모한다.
ㅇ 나노 소재․부품은 그 특성상 수요가 특정*되고 보통 중소기업이 생산하고 대기업이 구매하는 시장 특성을 지니고 있어 대기업의 역할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분야다.
* 나노는 시장파편화(market fragmentation)로 수요에 특화된 ‘Product-Market Fit’이 중요
ㅇ 중소기업은 우수한 나노기술을 개발하고도 수요처를 확보하지 못해 양산을 포기하는 일이 벌어져 나노기술의 사업화 과정에서 수요처인 대기업과의 네트워크 부족을 주요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 (예) A社 대표, 삼성전자와 같은 수요업체의 관심을 유도하는 정책에 집중 희망
□ 나노융합 얼라이언스는 나노 소재․부품의 세계시장 전망*을 고려해 미래차, 전자부품, 에너지, 바이오헬스, 환경 등 5대 분야를 수요산업으로 선정하고 각 분야별 워킹그룹을 설치해 운영한다.
* 세계 나노기술시장: `20년 623억불 → `25년 1,218억불 (출처 : IndustryARC(2020))
- 나노제품 적용 비중(%): 전자(46), 헬스케어/의약(26), 에너지(19), 환경(7), 자동차(8) 등
ㅇ 각 워킹그룹은 대기업, 중소기업, 전문가 등 15명으로 구성되어 나노 소재․부품의 수요 발굴, 공동 기획연구, 사업화 협력 등을 수행하며 정부는 나노융합혁신제품기술개발* 등을 통해 R&D를 지원한다.
* 나노융합혁신제품기술개발사업: (기간/규모) ’21-’25/1,243억원, (지원분야) 나노소재를 적용한 응용부품, (수행주체) 수요기업 참여 필수
ㅇ 얼라이이언스는 또한 나노기술의 확산기 진입*과 향후 나노융합시장의 급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별도TF를 설치하고 하반기에 민간 주도의 가칭 ‘2030 나노융합산업 비전과 전략’도 수립한다.
* 나노기술이 태동ㆍ성숙기를 거쳐 ’20년부터 여러 산업에 본격 활용되는 확산기 진입, 세계 나노융합시장은 ’20년 3조불 → ’30년 30조불 성장 (’18년, Mihail C. Roco, NSF)
< 나노융합 얼라이언스 구성안 >
총괄위원회
나노융합산업
비전과 전략 수립 TF
수요연계분과 미래자동차 전자부품 에너지 바이오헬스 환경
□ 주영준 산업정책실장은 격려사에서 나노기술은 IT, ET, BT와 융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대표적인 융합기술로 민관이 나노기술의 중요성을 일찍부터 인식하고 합심한 결과, 현재 세계 4위 나노기술력*과 나노융합산업 매출 142조원을 달성했다고 평가했다.
* 미국(100%) > 일본(92.0%) > 독일(90.2%) > 한국(85.7%) > 중국(81.4%) 순
(나노기술수준평가,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2019))
ㅇ 또한, 빅3 등 신산업 육성 및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혁신적 나노 소재․부품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이므로 나노융합 얼라이언스를 중심으로 수요-공급기업이 긴밀히 협력해 잘 뒷받침해 줄 것을 당부하는 한편,
* 이차전지 도전재로 CNT(탄소나노튜브) 적용시 에너지 저장밀도 향상되어 시장 확대 예상 (CNT 글로벌 수요 예측 : ‘20년 5,000톤 → ’24년 2만톤)
ㅇ 정부는 ‘나노융합2030사업*’ 등 지원 확대를 통해 나노 분야 강소기업, 스타트업 등이 끊임없이 탄생하는 역동적인 생태계 조성에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나노기업의 제품개발 및 Scale-Up 역량강화를 지원하여 사업화를 촉진하는 사업으로 산업부와 과기정통부가 공동 예타 추진(‘21.3분기 예타 신청)
참고1 나노융합 얼라이언스 발족식 개요
□ 추진 배경
ㅇ 나노융합시장* 선점과 미래 신산업(미래차 등)의 경쟁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사업화를 통한 혁신적 나노 소재ㆍ부품을 지속 창출
* 세계 나노기술시장: `20년 623.6억달러 → `25년 1,218억달러(연평균 14.3% 증가)
ㅇ 사업화 성과를 내려면 수요-공급기업간 공동R&D 못지않게 유기적 협력*이 중요한 바, 동 얼라이언스를 통해 소통ㆍ협력의 장 제공
* 나노 특성상 시장파편화(market fragmentation)로 (공급)중소기업-(수요)대기업 구조
□ 행사 계획(안)
ㅇ (일시/장소) 9.16(목), 14:00~15:00 /밀레니엄힐튼호텔 그랜드볼룸(LowLobby층)
ㅇ (참석) 산업부 산업정책실장,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이사장, 산업기술평가관리원 본부장, 수요-공급기업 대표․임원
* 공급기업(5) : 아모그린텍, 네패스, 제이오, 제우스, 클래비스
* 수요기업(5) : 현대차, 삼성SDI, LG전자, GC녹십자엠에스, 크린앤사이언스
ㅇ (진행) 온ㆍ오프라인 회의 병행
- 코로나 상황을 감안해 총괄위원회(12명) 위원은 오프라인 참석, 나머지 5개 수요연계분과 구성원(40명)은 온라인 참석
시간 주요 내용 비고
14:00∼14:03 3‘ ▪개회사 나노조합
홍순국 이사장
14:04∼14:06 3‘ ▪격려사 산업부
주영준 산업정책실장
14:07~14:15 9‘ ▪나노융합 얼라이언스 발족 서명식 참석자
및 기념촬영
14:15∼14:25 10‘ ▪나노융합 얼라이언스 운영안 나노조합
정종일 사무국장
14:25∼14:35 10‘ ▪전자부품산업의 나노제품 수요전망 LG전자 이정수 전무
14:35∼14:45 10‘ ▪이차전지 도전재(탄소나노튜브) 제이오 강득주 대표
수요-공급 협력 사례
14:45∼15:00 15‘ ▪동 얼라이언스 발전 위한 제언 참석자
참고2 세계 나노기술시장 전망
□ ‘20년 623.6억불에서 ’25년 1,218억불로 연평균 14.3% 증가
■ 성장 현황 및 주도 요인
- 2022년 13.3%(↑), 2025년 16.0%(↑) 상승(전년대비 기준)
- 의료진단 및 영상분야의 나노기술 채용 증가와 기기의 기술발전
-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반도체 제조 공정에 나노기술 적극 채택
- 산업전반의 협업 및 파트너쉽 확대
- COVID-19를 완화하기 위한 솔루션 개발에 나노기술 활용 기대
□ 유형/적용분야/최종사용산업별 비중(‘19)과 연평균성장률(’20~‘25)
* 출처 :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IndustryARC(2020)
참고3 나노융합혁신제품기술개발(‘21~’25, 1,243억원)
나노융합 얼라이언스 22대 나노융합 혁신제품 적용
나노소재
미래 1. 고출력 소형 모터 금속계
자동차 나노소재
2. 고효율 전력변환소자 (은나노와이어, 합금 등)
3. 방열부품
4. 면상 발열히터 모듈
5. 전자파 차폐/흡수 모듈
6. 저흡습 고안전성 전조등
7. 오염방지 터치패널
8. 고촉감 크래쉬패드
전자부품 9. 유연 고효율 나노발광 소자 탄소계
나노소재
10. 고신축성 투명전극 필름 (CNT, 그래핀 등)
11. 성형가능 고기능성 기판
12. 자유곡면 터치입력 장치
에너지 13. 고성능 장수명 이차전지
14. 고안전성 전고체전지
15. 고에너지 리튬금속 이차전지 무기계
나노소재
16. 수소차 연료전지 전극 (실리카졸, 질화규소 등)
17. 발전용 인산형 연료전지 전극
바이오· 18. 나노광학기반 바이러스 측정
헬스
19. 생체신호 모니터링 패치용 센서 나노섬유
(나노셀룰로스, 고분자 나노섬유 등)
20. 피부상태 분석 진단기기
환경 21. 재생가능 고효율 필터 기타
(컨텀닷, 바이오 소재, 복합체용 Matrix 소재 등)
22. 유해가스제거 농축기부품
'판교핫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15차 무역위원회, PET 필름 반덤핑조사 최종판정 (0) | 2021.09.16 |
---|---|
제1차 韓-獨 산업협력대화 개최 (0) | 2021.09.16 |
‘한-영 교역량 뚜렷한 회복세(전년동기 대비 40% 증가), 자유무역협정(FTA) 성공적인 이행 확인’ (0) | 2021.09.16 |
비대면 경제 표준화 전략 수립 1년 유통․물류, 교육 분야 국제표준 선점 등 성과 창출 본격화-산업부, 「융합서비스표준오픈포럼」 성과 발표대회 개최 (0) | 2021.09.16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1회 감염병특별위원회 개최-국가 감염병 연구개발 추진체계 고도화 논의 (0) | 2021.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