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국제 인공지능 토론회(글로벌 인공지능 포럼) 개최

하이거 2021. 10. 21. 16:00

국제 인공지능 토론회(글로벌 인공지능 포럼) 개최

작성일 2021-10-21 부서 인터넷진흥과

 

 

새로운 시대의 인공지능을 향한 방향 조망

- ?국제 인공지능 토론회(글로벌 인공지능 포럼)? 개최 -

- 세계적인 인공지능 석학 요슈아 벤지오 교수 기조연설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은 국내외 최신 인공지능 기술 동향을 공유하고 미래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 방향 논의를 위한 국제 인공지능 토론회(글로벌 인공지능 포럼, Global AI Forum)을 10월 21일 목요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ㅇ 이번 토론회는 과기정통부 혁신성장동력사업(인공지능)을 담당하고 있는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인공지능사업단과 사업 참여기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이 공동으로 주관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ㅇ “새로운 시대의 인공지능(AI of New Era)”을 주제로 누리집(http://www.globalaiform.kr)을 통한 사전등록 인원 1,200여명 등 다양한 국내외 인공지능 산·학·연 인공지능 종사자가 참여하였다.

 

□ 오늘 행사는 세계적인 인공지능 석학인 캐나다 몬트리올대학교 요슈아 벤지오(Joshua Benjio) 교수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진행되었다.

 

ㅇ 요슈아 벤지오 교수는 “인간 수준의 인공지능을 향해(Towards Human-Level AI)”를 주제로 한 기조연설을 통해 그동안 인공지능의 발전상을 조망하고 향후 인공지능 기술이 나아가야할 지향점으로 “넓고 견고한 인공지능(Broad and Robust AI)”을 제안하며 발표를 이어갔다.

□ 이어지는 전문가 발표에서는 혁신성장동력사업에 참여한 국내 전문가와 해당 주제 관련 해외 전문가가 참여하여 연구개발 성과 공유, 성과 활용을 위한 기술 컨설팅, 연구 동향 및 향후 추진 방향 등에 대한 발표 및 질의응답이 이루어졌다.

 

ㅇ 오늘 토론회에서 발표 주제인 언어지능, 뇌인지 발달모사, 설명가능 인공지능은 혁신성장동력사업 인공지능 연구의 핵심과제로, 

 

- 언어지능 과제는 최초의 한국어 언어지능 소프트웨어인 엑소브레인(Exobrain)을 개발하고 개발된 기술을 공개·적용·확산하여 ’21년 현재 일 평균 4만4천여건 활용되는 등 한국어 인공지능 생태계 확산에 기여하고 있으며,

 

- 차세대 인공지능 원천기술 선도를 위해 시작된 뇌인지 발달모사와 설명가능 인공지능 과제는 국제 인공지능 학술대회에서 100여건이 넘는 논문이 채택되어 그 연구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ㅇ 첫 번째 발표 주제인 언어지능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임준호 책임연구원과 미국 에모리 대학교 최진호 교수가 국내외 전문가로 참석하여 “언어모델 연구 동향” 및 “대화 기술 현황”에 대해 발표하였다.

 

ㅇ 뇌인지 발달 모사 주제는 서울대학교 장병탁 교수와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레슬리 P. 캘블링 교수가 “자율 학습” 및 “지능형 로봇에서의 구조화된 모델”에 대한 발표를 이어갔으며,

 

ㅇ 마지막 주제인 설명가능 인공지능에서는 한국과학기술원 최재식 교수와 독일 베를린 공과대학교 클라우스 로베르트 뮐러 교수가 “한국의 설명가능 인공지능”과 “설명가능 인공지능을 통한 자연과학 및 인문학 원리”를 주제로 발표하였다.

 

□ 전문가 발표 후에는 “차세대 인공지능의 정당성과 기술전략“을 주제로 국내외 전문가들의 토론이 이어졌다.

ㅇ 토론은 연세대학교 조성배 교수를 좌장으로 하여 앞서 발표한 레슬리 P. 캘블링 교수, 클라우스 로베르트 뮐러 교수 외에 영국 버밍엄대학교 장형진 교수, 미국 애리조나 대학교 수바라오 캄밤파티 교수, 이현규 인공지능사업단장이 참석하여 차세대 인공지능이 갖추어야할 사항과 향후 인공지능 기술개발 전략에 대한 토론을 이어갔다.

 

ㅇ 마지막으로 오늘 토론회를 주관한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인공지능사업단의 이현규 사업단장이 한국의 차세대 인공지능 연구방향을 소개하며 토론회를 마무리 하였다.

 

□ 조경식 과기정통부 차관은 “인공지능은 모든 산업과 사회 전 영역에서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는 핵심 기술”이라고 강조하면서, “이번 토론회는 그 간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차세대 인공지능 연구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조망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참고 1. 주요프로그램 일정

2. 토론회 주제별 주요 연구 성과

3. 기조연설 연사 소개

4. 국제 인공지능 토론회 연사 소개

 

 

참고 1 주요 프로그램 일정

시간 (분) 주요 내용

▪ 인사말

09:35∼09:45 (10‘) 환영사 조경식 차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회사 전성배 원장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기조 연설 (60‘)

09:45∼10:25 (40‘) Towards Human-Level AI : 요슈아 벤지오 교수

from Narrow and Brittle to Broad and Robust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교)

10:25∼10:45 (20‘) 실시간 질의응답

▪ 주제 발표① : 언어지능 (70‘)

10:45∼11:10 (25‘) GPT-3 이후 언어모델 연구 동향  임준호 책임연구원

및 향후 발전 방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10∼11:35 (25‘) 대화 기술 현황 및 향후 발전 방향 최진호 부교수

(미국 에모리 대학교)

11:35∼11:55 (20‘) 질의응답/토론

11:55∼13:00 (65‘) 점심식사

▪ 주제 발표 ② 뇌인지 발달 모사 (70‘)

13:00∼13:25 (25‘) 자율 학습을 위한 뇌인지 구조 장병탁 교수

(서울대학교)

13:25∼13:50 (25‘) 지능형 로봇에서의 레슬리 P. 캘블링 교수

구조화된 모델 학습 및 사용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13:50∼14:10 (20‘) 질의응답/토론

▪ 주제 발표 ③ 설명가능 인공지능 (70‘)

14:10∼14:35 (25‘) 최근 한국의 설명가능 인공지능 최재식 교수

발전 동향 (KAIST)

14:35∼15:00 (25‘) 설명가능 인공지능 통한  클라우스 로베르트 뭘러 교수

자연과학 및 인문학의 원리 발견 (독일 베를린 공과대학교)

15:00∼15:20 (20‘) 질의응답/토론

▪ 패널 토의 (70‘)

15:20∼16:30 (70‘) 현재 인공지능의  장형진 교수

당면한 이슈와 해결방안 (영국 버밍엄 대학교)

- 차세대 AI의 정당성과 기술전략 - 클라우스 로베르트 뭘러 교수

(좌장 : 연세대 조성배 교수) (독일 베를린 공과대학교)

레슬리 P. 캘블링 교수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수바라오 캄밤파티 교수

(미국 애리조나 대학교)

이현규 PM

(인공지능사업단 단장)

▪ 정책 소개 (20‘)

16:30~16:50(20‘) 한국의 차세대 인공지능 연구방향 이현규 PM

(인공지능사업단 단장)

참고 2 토론회 주제별 주요 연구 성과

주제 주요 내용 및 성과

언어지능 □ 연구 내용

(엑소브레인)

ㅇ 전문지식을 이해하고 축적하여 지식서비스를 자연어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한국어 언어지능 SW 기술개발

 

□ 주요 성과

 

ㅇ 기술이전 66건, 37.29억원

 

- 한국어 언어분석, 딥러닝 언어모델, 심층 질의응답 기술 개발 및 보급을 통한 한국어 AI 산업 생태계 확산

 

ㅇ 사업화 39건, 105.43억원

 

- 은행, 보험, 제조, 법률 등 다양한 한국어 AI 서비스에 엑소브레인 기술 적용

 

ㅇ 기술실증 8건 수행

 

- 법률(국회도서관), 연구행정(NST), 공공(통일부, 서울특별시), 특허(특허정보원) 등에 심층 질의응답기술 등 실증

 

ㅇ OpenAPI 및 데이터 공개

 

- 한국어AI API 17종 등을 공개하여 현재, 국내 1,864개 기관 사용 중(’21년 현재 일평균 4만4천여건)

설명가능  □ 연구 내용

인공지능

(XAI ;  ㅇ 인공지능의 의사결정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인공지능 학습·추론 모델 개발 및 실세계 응용

eXplainable AI)

□ 주요 성과

 

ㅇ AI Top-tier conference* 논문 82건 채택

 

ㅇ 기술실증 2건 수행

 

- 포스코 고로 상태 예측·설명 시스템 도입·상용화 및 응급상태 예측 설명 AI 기술 실증(강남세브란스 등)

 

ㅇ 공개 SW 및 데이터셋 42건 공개

뇌인지  □ 연구 내용

발달 모사

ㅇ 인간의 뇌인지 발달과정을 모사하여 실세계 상호작용 경험 및 지속적·점증적 성장을 통해 영아 수준의 인지지능 수준을 갖는 기계학습 모델 개발

 

□ 주요 성과

 

ㅇ AI Top-tier conference 논문 28건 채택

 

ㅇ 공개 SW 및 데이터셋 23건 공개

* CVPR, NIPS, ICCV, ECCV, AAAI, ICML, ICRA, WWW, CHI, SIGKDD 등

참고 3 기조연설 연사 소개

요슈아 벤지오 교수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교)

Yoshua Bengio Professor, Université de Montréal

프로필 · 2018 A.M. 튜링 어워드

 

· 2018 킬람 상 자연과학 부문 수상

 

· 2020 런던 왕립학회 회원

 

· 2017 캐나다 로열 소사이어티 펠로우

 

· 2017 캐나다 정부 훈장

 

· 2019 IEEE CIS 신경망 선구자상

 

· 몬트리올대학교 컴퓨터 공학 및 운영 정교수

 

· Mila의 설립자 및 과학 이사

 

* Montreal Institute for Learning Algorithm

 

· IVADO* 과학 이사

 

* Institute for Data Vaporization

 

· 캐나다 CIFAR* AI 의장

 

* 캐나다 고등연구원(Canadian Institute for Advanced Research)

 

· CIFAR Learning in Machines & Brain 프로그램 공동 이사

 

· 삼성 AI 교수

주요 경력 · Deep Learning(2015, Nature),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2014, NIPS) 등의 저자로 Yann LeCun, Geoffrey Hinton과 함께 딥러닝 기술의 선구자로 불리움

 

· 2021년 현재 세계에서 두 번째로 논문 인용횟수가 많은 컴퓨터 공학 연구자

 

· 삼성전자 몬트리올 AI 연구소 설립 주도

참고 4 국제 인공지능 토론회 연사 소개

구분 연사 주요 내용

언어 임준호 · 現 엑소브레인 개발과제 총괄 책임자

지능

ETRI 책임연구원 · 국내 최초 한국어 인공지능인 엑소브레인 개발자

Jinho D. Choi · 미 에모리대 자연어처리연구소 설립자

 

미국 EMORY  · IPsoft의 대화형 AI “Amelia’ 프로젝트 R&D 팀장 역임하였고, 현재 대학에서 자연어 처리 최적화 연구 진행 중

대학교 교수

뇌인지 장병탁 · 現 서울대 AI 연구원장

발달

모사 서울대학교 교수 · 뇌정보처리 모델링에 의한 기계학습 기술 및 인지로봇 개발 등의 연구 진행 중

Leslie Pack Kaelbling · 전미인공지능학회 펠로우 및 미 NSF 대통령실 교수 펠로우십

(레슬리 P. 캘블링)

미국 MIT 교수 · 로봇 응용 분야의 불확실성, 학습 및 감지 하에서의 의사결정 연구에 기여

설명 최재식 · 現 설명가능인공지능 연구센터 센터장

가능

인공 KAIST 교수 · 설명 가능하고 해석 가능한 머신러닝 모델 및 알고리즘 연구 진행중

지능 Klaus-Robert Müller · 고려대 석좌교수 및 Google Brain 수석과학자

(클라우스 로베르트 뮐러)

독일 베를린 · 산업 분야의 지능형 데이터 분석 및 기계 학습을 위한 연구 진행 중

공과대학교 교수

패널 토의 Hyung Jin Chang · 現 영국 앨런 튜링 연구소 펠로우

(장형진)

영국 버밍엄 · 로봇 비전 및 학습기술을 활용한 시각적 데이터 기반 인간-로봇 상호작용 연구 진행 중

대학교 교수

Subbarao Kambhampati · 前 전미인공지능학회 회장

(수바라오 캄밤파티)

미국 애리조나  · 유추 및 사례 기반 추론, 자동화 제조에 대한 인공지능 응용을 위한 연구 진행 중

대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