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재활·기능(functioning)·장애를 아우르는 2021년 국제세미나 개최

하이거 2021. 10. 26. 14:23

재활·기능(functioning)·장애를 아우르는 2021년 국제세미나 개최

등록일 : 2021-10-26 담당부서 : 사회복귀지원과

 

 

재활·기능(functioning)·장애를 아우르는 2021년 국제세미나 개최

 

 

□ 국립재활원(원장 이범석)은 10월 26일(화) 오후 1시, 세계보건기구(WHO) 서태평양지역 재활 프레임워크와 연계하여 재활·기능(functioning)·장애를 아우르는 「기능과 재활(Functioning and Rehabilitation)」 국제세미나를 개최한다. 

○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이범석 원장의 환영사와 방문석 대한재활의학회장의 축사로 막을 올리는 이번 행사는 참석자를 국내연사 등으로 제한하고, 코로나19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하여 온라인 생중계로 개최*된다.

* 참가등록(https://ss129k2.cafe24.com) 후 온라인 생중계 별도 안내 

 

○ 본 행사는 기조연설에서 세계보건기구(WHO)의 기능·장애 프레임워크를 소개하고, 이어서 1, 2부로 나누어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CF)를 기반으로 한 국제 척수손상 설문조사(InSCI)*와 국제질병분류(ICD-11)의 기능 분야, 세계보건기구 기능제약 평가목록(WHODAS 2.0)의 활용방안을 논의한다. 

* 국제 척수손상 설문조사(InSCI)는 전 세계 22개국이 참여하고 있는 설문조사로 척수손상장애인의 실제 삶의 경험을 조사하여 국제적으로 비교 가능한 장애데이터를 마련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국립재활원은 2017년 한국 InSCI 설문조사를 시행한 이후 지금까지 한국 대표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다.

□ 기조연설에는 루체른 대학교(University of Lucerne)의 칼라 사바리에고(Carla Sabariego) 교수가 발표를 맡아 WHO에서 제시하는 기능·장애의 개념을 소개한다. 

 

○ 재활의 궁극적인 목표는 장애인 개개인이 실제 삶의 영역에서 건강한 시민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사회참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사바리에고 교수는 재활의 기능적 접근을 강조하면서 전 생애적 관점에서 재활서비스가 이루어져야 기능의 최적화를 이룰 수 있다고 설명한다. 

 

□ 1부에서는 근거기반의 기능·장애 관련 데이터 확충을 위한 한 가지 예로 국제 척수손상 설문조사(InSCI)를 소개하고, 이와 관련한 국내외 현황과 연구 및 활용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 스위스 척수손상 연구소(Swiss Paraplegic Research)의 크리스틴 페케트 박사(Christine Fekete)가 국제 척수손상 서베이의 개요를 소개하고, 전(前) WHO 본부의 보편적의료보장 및 노인건강부서에서 활동한 한지아 과장(Zee-A Han), 그리고 국립재활원의 김온유 척수손상재활과장이 데이터로 바라본 노인과 척수손상장애인의 삶에 대해 발표를 맡았다. 

 

□ 2부에서는 WHO의 기능·건강평가도구를 활용한 데이터 마련과 국내 임상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소개한다. 

 

○ 첫 번째 발표를 맡은 일본 후지타 대학(Fujita Health University)의 마사히코 무카이노(Masahiko Mukaino) 교수가 일본에서 진행한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CF) 기반의 임상활용 도구개발 과정을 소개하고, 국립재활원 김완호 병원부장이 국내에서 진행한 국제질병분류(ICD-11) 기능분야의 임상적용 연구를 발표할 예정이다. 

 

○ 끝으로 서울재활병원의 이규범 부원장은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CF)를 기반으로 한 건강 및 장애측정 도구인 세계보건기구 기능제약 평가목록(WHODAS 2.0)을 국내 임상현장에 적용한 결과와 그에 대한 제언을 발표한다. 

 

□ 국립재활원 이범석 원장은 “이번 세미나에서 논의한 내용이 국내 임상 현장이나 장애인 재활 의료 정책에까지 활용될 수 있기를 고대하며, 앞으로 우리나라와 WHO 및 서태평양지역의 주변 국가 간에 한층 더 긴밀한 공조와 협력관계가 구축되길 희망한다.”라고 밝혔다. 

 

 

<붙임> 기능과 재활(Functioning and Rehabilitation) 국제세미나 개요 

 

 

 

 

 

 

붙임 기능과 재활(Functioning and Rehabilitation) 국제세미나 개요 

 

개요

 

○ (일시 및 장소) ‘21. 10. 26.(화) 13:00~17:00, 롯데호텔 서울(온라인 생중계 병행) 

○ (등록방법) 온라인 참가등록(ss129k2.cafe24.com) 

- 참가 등록 후 온라인 생중계 별도 안내 

 

○ (주제) Functioning and Rehabilitation 

- WHO에서 제시하는 기능·장애 프레임워크 소개 

-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CF)를 기반으로 한 기능·장애 데이터 현황 공유하고 국내 보건의료시스템에 도입 방안 논의 

(Part 1) 국제 척수손상 서베이(InSCI)

(Part 2) WHO 기능·건강평가도구; ICD-11 기능챕터와 WHODAS

 

○ (주최 및 주관)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 (참석대상) WHO 및 재활·보건의료 관계자 100여명

※코로나19 방역수칙에 따라 발표연자 외 지정된 최소인원만 현장 참석으로 운영

 

 

 

 

 

세부프로그램(안) 

 

시간 프로그램 발표자

12:40-13:00 등록  사회: 김지인 연구사

13:00-13:10 개회사 이범석 국립재활원장

축사 방문석 대한재활의학회장

Key note speech

13:10-13:50 Functioning and Rehabilitation  Dr. Carla Sabariego,

WHOCC for rehabilitation in health system, University of Lucerne

13:50-14:00 휴식시간

Part 1: 국제 척수손상 서베이(InSCI)

14:00-14:30 Introduction of International Spinal Cord Injury Survey  Dr. Christine Fekete, Swiss Paraplegic research 

14:30-14:50 데이터로 본 노인의 삶 Zee-A Han, (前)Medical officer of WHO HQ, Switzerland

14:50-15:10 한국 InSCI 데이터 연구 및 활용  김온유 국립재활원 척수손상재활과장

15:10-15:20 휴식시간 

Part 2: WHO 기능·건강평가도구

15:20-15:50 The Japanese experience in development of practical tools for clinical use of ICF Prof. Masahiko Mukaino, Fujita Health University, Japan

15:50-16:10 ICD-11의 functioning chapter 임상적용  김완호 국립재활원 병원부장

16:10-16:30 WHODAS의 임상활용 이규범 서울재활병원 부원장

16:30-17:00 폐회

* 세부프로그램은 일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