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

소비쿠폰 재개방안 발표-단계적 일상회복 개시시점(11월초)부터 소비쿠폰 전면 재개

하이거 2021. 10. 27. 09:56

소비쿠폰 재개방안 발표-단계적 일상회복 개시시점(11월초)부터 소비쿠폰 전면 재개

2021.10.26. 경제분석과

 

단계적 일상회복 개시시점(11월초)부터 소비쿠폰 전면 재개

 

□ 정부는 10.26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주재 경제 중대본 회의에서 단계적 일상회복 개시시점*부터 소비쿠폰 사용을 전면 재개하기로 결정

 

* 10.29일(금) 총리 주재 방역 중대본에서 최종 발표 예정 

 

ㅇ 그간 방역상황으로 중단되었던 숙박, 체육, 영화, 외식 등 9개 쿠폰 모두 오프라인 사용 재개

 

* 다만, 여행쿠폰의 경우 상품 공모접수・심사 등에 따른 소요기간으로 11월 중순 재개

 

< 소비쿠폰별 주요 내용 >

소비쿠폰(9종) 내 용 예산잔액(억원)

➀ 농수산 농수산물 구매시 20%(최대1만원) 할인 제공 739

➁ 외식 외식업소 4회(회당 2만원 이상) 이용시 1만원 환급 180

➂ 공연 1인당 8천원 할인 제공 139

➃ 숙박 온라인 예약시 2~3만원 숙박할인 제공 565

➄ 체육 실내체육시설 월 누적 이용금액 8만원 이상시 3만원 환급 330

➅ 영화 1인당 6천원 할인 제공 123

➆ 여행 공모 선정된 국내여행 조기예약 할인상품 선결제시 40% 할인 90

➇ 전시 미술관 1~5천원 할인 / 박물관 40% 할인(최대 3천원)  86

➈ 프로스포츠 축구・야구・농구・배구 경기 관람시 50% 할인 제공(최대 7천원) 30

 

ㅇ 現 방역 상황을 고려하여, 방역 친화적인 기존 비대면 방식 사용도 병행(외식․공연 쿠폰)*할 계획

 

* (외식쿠폰) 배달앱(22개)에서 2만원 이상 4회 주문시 1만원 환급

(공연쿠폰) 온라인 유료공연(뮤지컬 등) 관람시 할인 적용

ㅇ 시설별 방역 점검 및 방역수칙 준수 홍보 강화 등을 통해 철저한 방역 하에 소비쿠폰이 사용될 수 있는 여건도 조성

 

* (예) 실내체육시설 방역물품 지원 및 우수방역 시설 선발(약 5,000개소),

호텔・콘도업계 등 숙박시설 방역비 지원(2,301개소) 등

□ 재개 전 시스템 사전점검 및 자세한 이용방법 안내 등을 통해 소비쿠폰이 원활히 지급・사용되도록 만전

 

※ 쿠폰별 상세 내용은 부처별 보도자료 참고

 

※ 【 첨부 】 1. 소비쿠폰 재개방안

2.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3.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기획재정부 대변인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77 정부세종청사 4동 moefpr@korea.kr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21-47

 

 

 

 

 

소비쿠폰 재개방안

 

 

 

 

 

 

2021. 10. 26.

 

 

 

 

 

 

 

 

 

 

관 계 부 처 합 동

 

Ⅰ. 추진배경

 

 

□ 피해분야 지원 등 위해 9대 소비쿠폰 도입 but 장기간 사용 중단

 

ㅇ 지난해부터 코로나19 영향으로 피해가 컸던 대면업종 중심으로 소비시 할인을 제공하는 소비쿠폰 도입․시행 

 

▪ 총 세차례 걸쳐 9개 분야에 약 5,500억원의 재정 지원*

 

* ➀농수산 ➁외식 ➂공연 ➃숙박 ➄체육 ➅영화 ➆여행 ➇전시 ➈프로스포츠

↳ 소비쿠폰 예산(억원) : (‘20년 3차추경)1,876 (’21년 본예산)2,428 (‘21년 2차추경)1,224

 

ㅇ 그러나, 방역상황 악화로 농수산․외식(배달)․공연(온라인) 등 비대면 방식 外 소비쿠폰은 ‘20.11월 이후 장기간 사용 중단

 

* 당초 1차 백신접종률 기준의 단계적 재개방안을 마련했으나 4차 확산으로 추진 보류

 

▪ 10.15일 현재 소비쿠폰 예산 집행률은 약 59% 수준으로 예산 잔액은 약 2,300억원 수준

 

※ [참고] 소비쿠폰 집행현황(단위:%, 억원)

 

농수산 외식 공연 숙박 체육 영화 여행 전시 프로스포츠 합계

집행률 73 82 12.6 20.2 22.5 55.8 7.2 4.4 0 58.7

예산잔액 739 180 139 565 330 123 90 86 30 2,282

□ 소비정책 점진적 정상화 + 단계적 일상회복 본격 검토

 

ㅇ 방역당국과 긴밀한 협의하에 9월부터 상생국민․소비지원금을 단계적으로 시행하며 피해분야 지원 정책 확대

 

* (9.6일) 상생국민지원금 지급 시작 → (10.1일) 상생소비지원금 개시 

 

ㅇ 백신접종 확대 등에 따른 단계적 일상회복*으로의 전환에 맞추어 민생회복을 뒷받침하는 정책 추진 필요

 

* 접종자 중심 사적모임 인원 확대, 식당・카페 등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 확대 등

 

⇨ 방역전환과 연계하여 대면 업종 등 피해분야 지원 및 민생경제 효과 극대화를 위한 소비쿠폰 재개 추진

Ⅱ. 소비쿠폰 재개방안

 

◇ 단계적 일상회복 개시시점부터 소비쿠폰을 전면 재개하되, 쿠폰별 특성 및 집행상황 등을 고려하여 추진

 

ㅇ (재개시점) 방역 정책과의 혼선이 없도록 ‘단계적 일상회복’ 개시시점(11월초)부터 전면 재개 하되, 쿠폰별 특성 고려*

 

* (여행 쿠폰) 상품 공모접수・심사 등에 따른 소요기간 필요→11월 중순 재개 예정

 

ㅇ (시행방식) 9개 쿠폰 모두 오프라인 사용을 전면 재개하되,방역 친화적 관점에서 기존 비대면 방식*도 병행 추진

 

* (외식쿠폰) 배달앱(22개)에서 2만원 이상 4회 주문시 1만원 환급

(공연쿠폰) 온라인 유료공연(뮤지컬 등) 관람시 할인 적용

 

▪ 쿠폰별 집행상황 및 피해분야 지원효과 등을 고려하여 할인폭․할인대상 등 시행방식 일부 조정

 

* (여행쿠폰) 할인율 기존 30%에서 40%로 상향

(숙박쿠폰) 부산 등 일부 지자체에서 2~3만원 추가할인 제공

(전시쿠폰) 박물관 할인대상 확대(입장료 → 입장료 및 교육・체험 프로그램) 

미술관 할인폭 확대(최대 3천원 → 최대 5천원)

 

※ [참고] 소비쿠폰별 주요내용 및 신청방법

 

소비쿠폰 주요내용 신청방법

농수산 농수산물 구매시 20%(최대1만원) 할인 제공 온・오프라인 매장 연계

외식 외식업소 4회(회당 2만원 이상) 이용시 1만원 환급 개별 카드사・지역화폐

공연 1인당 8천원 할인 제공 티켓링크 등 예매처

숙박 온라인 예약시 2~3만원 숙박할인 제공 인터파크 등 50여개 여행사

체육 실내체육시설 월 누적 이용금액 8만원 이상시 3만원 환급 ‘1타3만’ 홈페이지 신청

영화 1인당 6천원 할인 제공 멀티플렉스 홈페이지 등

여행 공모 선정된 국내여행 조기예약 할인상품 선결제시 40% 할인 투어비스 홈페이지

전시 미술관 1~5천원 할인 / 박물관 40% 할인(최대 3천원)  문화N티켓 등

프로스포츠 축구・야구・농구・배구 경기 관람시 50% 할인 제공(최대 7천원) 인터파크 등 온라인 예매처

Ⅲ. 향후 추진계획

 

◇ 철저한 방역 하에 안전한 소비쿠폰 여건 조성 및 대국민 홍보・추진실적 점검 등에 만전

 

ㅇ (방역친화적 여건조성) 시설별 방역 점검 및 방역수칙 준수 홍보․관리 강화 등을 통해 안전한 소비쿠폰 사용여건 조성

 

* (예) 실내체육시설 방역물품 지원 및 우수방역 시설 선발(약 5,000개소),

호텔・콘도업계 등 숙박시설 방역비 지원(2,301개소) 등

ㅇ (홍보 확대) 각 부처별로 쿠폰별 상세 보도자료를 배포하고(10.26일/10.29일 등) 카드뉴스 등 다양한 홍보방안 마련

 

▪ 문화부 공식 홈페이지(누리집)을 통한 통합 안내창구 구축

 

▪ 카드사․예매처 등 쿠폰 주관기관 등을 통해 적극 홍보 

 

ㅇ (추진실적 점검) 관계부처 합동으로 주간 단위 사용실적․예산잔액 등 점검체계 마련

 

 

참고 소비쿠폰 주요 내용 및 현황

 

분야 주요내용 사용처 한도 예산 참여방법 주관

(억원)

농수산 농수산물 구매시 20%(최대1만원) 할인  대형마트, 중소마트 등 - 739 온・오프라인 자동연계 등 한국농수산

식품유통공사

외식 외식업소 4회 국내 카드사・ 지역화폐별 1일 최대 2회 180 카드사・지역화폐별 온라인 신청 한국농수산

(회당 2만원 이상) 외식업소・ 식품유통공사

이용시 1만원 환급 배달앱

공연 온라인 예약시 국내공연 매2주 1인 4매 139 인터파크 등 온라인 예술경영

1인당 8천원 할인 (뮤지컬, 연극 등) (예매처별 중복 불가) 예매처(8곳) 지원센터

숙박 온라인 예약시 국내  1인 1매 565 인터파크 등 50여개 여행사 한국관광공사

2~3만원 할인 숙박업체 온라인신청

(7만원 기준)

체육 실내체육시설, 누적 이용금액 8만원 이상시 3만원 환급 실내 체육시설 1인 1매 330 ‘1타3만’ 국민체육

(체력단련장, 체육도장 등) (누적 홈페이지 진흥공단

8만원 이상) 온라인신청

영화 온·오프라인 구매시 국내 영화관 ID당 2매 123 멀티플렉스 체인영화관 홈페이지 등  영화진흥

1인당 6천원 할인 (각 사 중복 가능) 또는 현장 위원회

여행 공모 선정된 국내여행 조기예약 할인상품 선결제시 40% 할인 국내여행 1인 1매 90 투어비스 홈페이지 한국여행업협회

(여행사) 온라인신청

박물관 온라인 예약시 박물관 관람 40% 할인 국내 박물관 1인 10매 86 문화N티켓 한국

(최대 3천원) 박물관협회

미술관 온라인 및 현장구매시 미술전시 관람 1~5천원 할인 미술전시 (온라인) 예매처별 1인 4매 온라인 및 예술경영

* (현장 할인권은 1~3천원 할인권 발급·사용) (현장) 현장 구매 지원센터

1인 6매

프로 프로스포츠 경기 프로 회차마다 한 ID당 2매 30 인터파크 등 온라인 예매처 발급 한국프로

스포츠 (축구, 야구, 농구, 배구) 스포츠 경기장 (예매처별) 스포츠협회

온라인 예매 시 50%(최대 7천원) 할인

 

 

문체부, 소비할인권 7종 지원 다시 시작한다

- 단계적 일상 회복 개시 시점, 11월 초부터 ‘다시 일상으로, 문화와 함께’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황희, 이하 문체부)는 문화 활동과 소비를 회복하고 코로나로 피해를 입은 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20년 11월 이후 중단했던 숙박‧여행‧공연‧전시‧영화‧실내체육시설‧프로스포츠 7개 분야 소비할인권 사용을 단계적 일상 회복 시점(11월 초)부터 재개한다. 

 

분야별 세부 운영 기간, 단계적 일상 회복 전환일에 문체부 누리집에서 확인

분야별 예약시스템, 단계적 일상 회복 전환일부터 이용(여행 11월 중순)

 

숙박‧공연‧전시‧영화‧실내체육시설‧프로스포츠 소비할인권은 단계적 일상 회복 시점(11월 초)부터, 여행 소비할인권은 11월 중순부터 분야별 주관기관과 참여 업체 누리집 등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숙박 분야에서는 온라인 예약 시 7만 원 이하 숙박은 2만 원, 7만 원 초과 숙박은 3만 원을 할인한다.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해 일부 지자체와 협업해 7만 원 초과 숙박 시 5만 원을 할인하는 할인권(전체 7만 장)도 배포할 예정이다. 숙박 할인권은 국내 50여 개 온라인여행사(OTA) 누리집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사업에 참여하는 온라인여행사 누리집은 대한민국 구석구석 누리집(visitkore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행 분야에서는 ‘투어비스’ 누리집(www.tourvis.com)을 통해 해당 상품을 검색・예약할 수 있다. 접수·공모를 통해 선정된 국내 여행상품에 대해 조기 예약 및 선결제 시 상품가의 40%를 할인해 준다. 그동안 코로나로 여행이 쉽지 않았던 장애인과 국가유공자는 무료로 여행을 즐길 수 있다.

 

공연 분야에서는 인터파크, 예스24 등 8개 온라인 예매처를 통해 공연 예매 시 사용할 수 있는 8천 원 할인권을 제공한다. 지난 5월 18일부터 네이버티브이(TV) 등에서 온라인 공연 관람 시 적용했던 1인당 8천 원 할인권도 계속 지원한다. 대면 공연과 온라인 공연을 통합해 1인당 2주마다 최대 3만 2천 원(8천 원 할인권 × 1인당 4매)을 할인받을 수 있다.

 

영화 분야에서는 203만 명에게 6천 원 할인권(주당 1인 2매, 복합상영관 기준)을 제공한다. 할인권은 복합상영관(멀티플렉스)뿐만 아니라, 독립·예술영화관, 작은영화관, 개별 단관 극장 등을 포함한 전국 521개의 영화상영관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복합상영관은 개별 누리집을 통해 할인권을 내려받아 결제 시 적용하고, 이 외의 극장은 온라인 또는 현장에서 영화 관람권 예매 시 즉시 할인받을 수 있다.

 

박물관과 미술전시 관람도 할인을 받을 수 있다. 박물관은 ‘문화엔(N)티켓 사이트’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관람권 가격의 40%(최대 3천 원, 1인당 10매)를 지원한다. 미술전시는 온라인 예매처 4곳[인터파크, 위메프, 티켓링크, 문화엔(N)티켓]과 카카오톡 채널(미술전시관람료지원)을 통해 최대 5천 원(예매처별 1인당 4매, 카카오톡 채널 1인당 6매)의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실내체육시설 이용 할인은 ‘1타 3만’ 체육쿠폰 사이트(www.kspo.or.kr/smile)에서 신청할 수 있다. 민간 실내 체육시설 결제금액 누적 8만 원 이상 사용 시, 3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는 혜택을 선착순으로 100만 명에게 제공한다.

 

프로스포츠 관람권 할인은 각 프로구단의 온라인 입장권 예매 사이트를 통해 선착순 40만 명에게 발급한다. 할인권을 적용해 온라인으로 프로스포츠 경기 관람을 예매할 경우, 50%(최대 7천 원)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할인권은 총 3회에 나누어 배포하고, 1회 2매를 발급받을 수 있다.

 

<문화 소비할인권 주요 내용>

분야 주요내용 사용처

숙박 온라인 예약 시 2-3만 원 할인 국내 

숙박업체

여행 공모에 선정된 국내여행 조기예약 선결제 시 40% 할인(최대 16만 원) 국내여행

*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무료 (여행사)

공연 온라인 예약 시 1인당 8천 원 할인 국내공연장

(뮤지컬, 연극 등)

영화 온라인(현장) 예약 시 1인당 6천 원 할인 국내 영화관

전시 온라인 예약 시 박물관(전시·교육·체험) 40% 할인(최대 3천 원) 국내 박물관

온라인 예약 시 미술전시 1-5천 원 할인 미술 전시장

현장할인 시 미술전시 1-3천 원 할인 

실내체육시설 실내 체육시설, 누적 8만 원 이상 시 3만 원 환급 실내 체육시설

(체력단련장, 체육도장 등)

프로 프로스포츠(축구, 농구, 배구, 야구) 입장권 50%(최대 7천 원) 할인 프로스포츠 경기장

스포츠

 

국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통합 안내 시스템 운영

 

문체부는 소비할인권 개시 시점에 맞춰 누리집(www.mcst.go.kr)에 통합 안내 창구를 마련해 소비할인권 7종을 종합적으로 안내하고, 분야별 예약시스템도 연결해 국민들이 쉽게 할인권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사업 주관 기관과 운영업체를 통해 안내 시스템을 운영한다. ▲ 한국관광공사(숙박), ▲ 한국여행업협회·투어비스(여행), ▲ 영화진흥위원회·영화관(영화), ▲ 예술경영지원센터(공연 및 미술전시), ▲ 한국박물관협회(박물관), ▲ 국민체육진흥공단(실내체육시설), ▲ 한국프로스포츠협회(프로스포츠) 누리집에 접속하면 분야별로 할인권 이용 방법을 안내받을 수 있다.

 

노년층 등 온라인 접속 불편자에 대한 편의 지원책 마련

 

문체부는 지역민, 노년층, 장애인 등 온라인 접속 불편자가 할인 혜택에 소외되지 않도록 지원책도 마련한다. 숙박 분야는 장애인 전담 고객센터 및 채팅 로봇 서비스를 운영하고, 여행 분야는 노년층 및 장애인 등이 요청 시 여행사가 대행 접수할 수 있도록 조치할 예정이다. 영화 분야도 작은영화관(중소 시‧군 지역 문화향유 확대 목적 영화관), 실버영화관(어르신 대상 영화관)에서도 할인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박물관은 온라인 접속이 어려운 이들의 현장 요청 시 담당 직원이 온라인 접속과 할인권 구매를 대행해 관람객의 편의를 도모할 예정이다. 

 

지자체 협업 특별할인권 발급, 고령자·장애인·국가유공자 지원 확대

 

아울러 문체부는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해 일부 지자체와 협업해 특별할인권도 발급한다. 숙박 분야는 5만 원 할인권 7만 장을 특별 발급하고, 여행 분야는 40% 기본 할인에 지자체 할인이 추가되는 상품을 개발할 예정이다. 

 

특히 고령자·장애인·국가유공자 지원도 확대한다. 숙박 분야는 장애인 할인권 2만 장을 별도 배정했고, 여행 분야는 장애인과 국가유공자에게 무료 할인권을 지원한다. 프로스포츠 할인권은 기존의 장애인·국가유공자 할인 등과 중복해 사용할 수 있으며, 고령자·장애인·국가유공자 등을 위해 전체 할인권의 1%인 4천 장을 우선 배정했다.

 

철저한 방역 속 안전한 ‘일상회복’과 ‘소비진작’ 기대

 

문체부는 분야별 할인권 사용기간 중 국민들이 철저한 방역 가운데 안전하게 여가문화를 즐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한다. 이를 위해 작년 연말 이후 지속적으로 숙박·공연·영화·전시·체육시설의 방역을 점검하고, 여행 시 이동수단에 대한 인원 관리도 철저히 하고 있다. 실내체육시설은 이용자를 대상으로 방역 수칙 준수를 안내할 뿐만 아니라 현장에 필요한 방역물품을 지원하고 우수 방역 시설을 선발(약 5,000개소)해 포상하는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호텔·콘도업계 등 숙박시설(2,301개소)에 방역비를 지원하고 있으며, 호텔업협회 등 유관 단체와의 간담회를 열어 철저한 방역 수칙 준수도 요청했다.

 

문체부 황희 장관은 “소비할인권 사용 재개로 국민의 일상과 가장 밀접한 문화 활동이 회복되고 소비가 진작되어,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문화·체육·관광 현장이 활력을 되찾기를 바란다. 문체부는 철저한 방역으로 안전한 여가문화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현장을 찾아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방역 당국과 긴밀하게 협력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소비할인권 개요

2. 소비할인권별 이용 방법

 

 

 

 

붙임 1  소비할인권 개요

 

분야 할인내용 예약·판매  사용처 한도 예산 참여방법 주관

(억원)

숙박 온라인 예약시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일~ 국내  1인 1매 565 온라인 한국관광공사

2~3만원 할인 소진 시 숙박업체 신청

(7만원 기준)

여행 공모 선정된 국내여행 조기예약 할인상품 선결제시 40% 할인 추후 공지 국내여행 1인 1매 90 온라인 한국여행업협회

(여행사) 신청

공연 온라인 예약시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일~ 국내공연 매2주 1인 4매 139 온라인 예술경영지원센터

1인당 8천원 할인 추후공지 (뮤지컬, 연극 등) (예매처별 중복 불가) 예매처

(8곳)

영화 온·오프라인 구매시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일~ 국내 영화관 ID당 2매 123 온라인 영화진흥위원회

1인당 6천원 할인 소진 시 (각 사 중복 가능) 또는 현장

박물관 온라인 예약시 박물관 관람 40% 할인(최대 3천원)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일~추후 공지 국내 박물관 1인 10매 86 문화N티켓 한국박물관협회

미술관 온라인 및 현장구매 시 미술전시 관람 1~5천원 할인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일~ 미술전시 (온라인) 예매처별 1인 4매 온라인 및 예술경영지원센터

* (현장 할인권은 1~3천원 할인권 발급·사용) 추후 공지 (현장) 현장 구매

1인 6매

실내 실내체육시설, 누적 이용금액 8만원 이상시 3만원 환급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일~ 실내 체육시설 1인 1매 330 온라인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 소진 시 (체력단련장, 체육도장 등) (누적 신청

시설 8만원 이상)

프로 프로스포츠 경기(축구, 야구, 농구, 배구) 온라인 예매 시 50%(최대 7천원) 할인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일~ 프로 회차마다 한 ID당 2매 30 온라인 예매처 발급 한국

스포츠 소진 시 스포츠 경기장 (예매처별) 프로

스포츠협회

붙임 2  소비할인권별 이용 방법

 

구분 할인권 신청 및 이용방법 사용처 예약·판매

숙박 ■ ❶국내 온라인 여행사(인터파크, 야놀자 등 50여개소) 누리집 접속 ⇒ ❷회원가입 및 로그인 ⇒ 쿠폰 안내 배너 클릭 ⇒ ❸본인인증 ⇒ ❹할인 쿠폰 선택(2만 원 또는 3만 원) ⇒ ❺ 쿠폰 수령 완료 국내숙박 인터파크 등 50여개 여행사

(숙박업체)

여행 ■ ❶포털 사이트에서 ‘국내여행 할인상품’ 검색 또는 누리집(www.tourvis.com) 접속 ⇒ ❷회원가입 및 로그인 ⇒ ❸선호 여행에 따른 여행상품 검색 ⇒ ❹여행상품 예약 및 결제 시 40% 할인된 금액으로 결제 국내여행 투어비스

(여행사) www.tourvis.com

공연 ■ ❶공연티켓 예매처 누리집 접속 ⇒ ❷회원가입 및 로그인 ⇒ ❸쿠폰 신청 페이지 클릭 ⇒ ❹쿠폰 신청 ⇒ ❺마이페이지 메뉴를 통해 즉시 할인 쿠폰 지급 국내공연 인터파크티켓티켓링크,예스24티켓, 네이버N예약, 멜론티켓, 옥션티켓, 위메프, 티몬

(뮤지컬, 연극 등)

영화 ■ ❶각 사 누리집 및 앱 접속 ⇒ ❷회원가입 및 로그인 ⇒ ❸쿠폰 안내 배너 클릭 ⇒ ❹쿠폰 신청 및 다운로드(주당 1인 2매) ⇒ ❺예매 시 쿠폰 할인 적용 및 결제 국내 영화관 멀티플렉스 체인 영화관 홈페이지

* 복합상영관을 제외한 비계열영화관은 영화관별로 할인 적용 방법이 상이할 수 있음(현장 결제 시 할인 등) 비계열영화관 온라인 및 현장 발권

전시 ■ (박물관) ❶문화N티켓 누리집(www.culture.go.kr/ticket) 접속 ⇒ ❷회원가입 및 로그인(비회원도 가능) ⇒ 국내 박물관 문화N티켓

❸박물관 전시상품 선택 ⇒ ❹관람권 결제 시 쿠폰 할인 선택 ⇒ ❺카카오톡으로 이-티켓 수령 www.culture.go.kr/ticket

■ (미술)  미술전시 문화N티켓, 인터파크, 티켓링크, 위메프 및

-(예매처 할인) ❶각 예매처 누리집 접속 ⇒ ❷회원가입 및 로그인 ⇒ ❸할인권 발급 ⇒ ❹미술전시 상품 선택 후 결제 시 할인권 적용 결제 현장할인 참여기관

-(현장 할인) ❶카카오톡 앱 <미술전시관람료지원> 채널 접속 ⇒ ❷할인권 발급 ⇒ ❸ 전시 기관 현장 방문 ⇒ ❹ 관람권 구매 시 할인권 제시 후 결제

체육 ■ ❶1타3만 사이트(www.kspo.or.kr/smile) 접속 후 신청 ⇒ ❷접수확인 문자 발송 ⇒ ❸실내체육시설 이용(월회비 등) 결제 ⇒ ❹ 카드사 환급 실내체육시설 ‘1타 3만’

(체육도장 등) www.kspo.or.kr/smile

프로 ■ ❶온라인 예매처 접속 및 로그인 ⇒ ❷할인권 발급⇒ ❸관람 희망 경기 예매 ⇒ ❹ 할인권 적용하여 결제 프로 온라인 예매처

스포츠 스포츠 경기장 *인터파크, 티켓링크, KBL·WKBL·KOVO 누리집

 

 

올해 마지막 외식 할인 지원사업 대면까지 확대 재개

《 주 요 내 용 》

 

대면확대 외식 할인 지원사업 재개

❍ 재개시점 : 방역당국 단계적 일상회복 개시시점 

❍ 참여 카드사 : 9개(국민, 농협, 롯데, 비씨, 우리, 삼성, 신한, 하나, 현대)

❍ 참여 배달앱 : 22개(공공 13, 공공·민간 혼합 3, 민간 6)

❶ (공공) 배달특급, 띵동, 배달의명수, 일단시켜, 어디go, 배달올거제, 배달모아, 불러봄내, 배슐랭, 배슐랭 세종, 대구로, 씽씽여수, 방구석미식가

❷ (공공·민간 혼합) 위메프오, 먹깨비, 소문난샵

❸ (민간)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PAYCO, 딜리어스, 카카오톡주문하기

❍ 참여 지역화폐 : 76개 지자체 

* 붙임 참조

❍ 할인 인정조건 : 외식업소(유흥업소 제외) 방문 또는 배달앱으로 주문‧결제한 실적 모두 인정

❍ 참여방법 : ①카드사․지역화폐를 통해 참여 응모 → ②외식업소(유흥업소 제외) 및 참여 배달앱에서 2만원 이상 4회 카드․지역화폐 결제 → ③다음달 카드사․지역화폐에서 1만원 환급(캐시백 또는 청구할인)

* 참여 요일 제한 없음(단, 참여 횟수는 동일 카드사․지역화폐별 1일 2회로 제한)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그간 엄중한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비대면으로 진행해왔던 외식 할인 지원사업을 단계적 일상회복 시점에 맞춰 대면까지 확대 재개한다고 밝혔다. 

① 추진 방향

□ 이번 사업에는 잔여예산 180억원을 배정할 계획이며, 선착순으로 환급하여 예산 소진 시 종료될 예정이다. 

* 잔여예산 약 180억원 배정(신용카드 155, 지역화폐 25)

○ 외식 할인 지원은 신용카드사․지역화폐에서 외식업소 방문 또는 배달앱을 통한 외식 실적 달성을 확인․환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적용 대상 외식업소는 한국표준산업분류(통계청)의 ‘음식점 및 주점업’ 분류 중 유흥주점업(일반, 무도)과 구내 식당업 및 출장 음식서비스업을 제외

** 백화점, 대형 할인점 및 쇼핑몰 등에 입점한 외식업소 중 수수료 매장은 외식 부분에 대한 매출 확인이 어려워 제외

□ 참여 배달앱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김춘진) 공개 모집을 통해 총 22개사(공공 13, 공공·민간 혼합 3, 민간 6개)가 확정되었으며,

❶ (공공) 배달특급, 띵동, 배달의명수, 일단시켜, 어디go, 배달올거제, 배달모아, 불러봄내, 배슐랭, 배슐랭 세종, 대구로, 씽싱여수, 방구석미식가

❷ (공공·민간 혼합형) 위메프오, 먹깨비, 소문난샵

❸ (민간)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PAYCO, 딜리어스, 카카오톡 주문하기

○ 지역화폐도 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 인천광역시 등 총 76개 지자체가 참여할 예정이다.

② 참여 방법

□ 기존 신용카드 사업 참여자(793만명)의 응모와 누적 실적은 이번 사업에 그대로 이어서 적용되나, 지역화페는 신규 응모 후 사업에 참여하여야 한다. 

* 1․2차 사업기간(‘21.5.24~10.12) 동안 신용카드로 응모하여, 2만원 이상 음식을 두 번 주문․결제했다면 사업 재개 이후 두 번만 더 주문해도 1만원 환급

○ 신용카드나 지역화폐로 새롭게 참여할 경우 ①참여 카드사 또는 지역화폐 홈페이지·앱에서 먼저 응모한 후, ②외식업소를 방문하거나 사업 참여 배달앱을 통해서,

○ ③응모한 카드나 지역화폐(할인쿠폰, 포인트 등 제외)로 주문과 결제를 2만원 이상(최종 결제금액 기준) 총 4회를 하면, ④다음 달 카드사에서는 1만원 환급 또는 청구할인(지역화폐는 환급) 받을 수 있다.

○ 카드사 또는 지역화폐별 1일 최대 2회까지 실적이 인정되며, 간편결제는 응모 카드와 연계된 경우에 한해 실적으로 인정되며,

○ 구체적인 결제 실적 확인 등은 카드사 또는 지역화폐를 통해서, 배달앱 이용 및 주문 확인 등은 해당 배달앱에 문의하여야 한다.

□ 농식품부 관계자는 그간 외식 할인 지원사업에 대한 국민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덕분에 외식업계 매출 회복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면서, 사업 범위가 대면까지 확대되는 만큼 예산 소진 속도가 빠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붙임 1 참여 지자체 및 지역화폐명

□ 총 76개 지자체

운영사 지자체 지역화폐명 운영사 지자체 지역화폐명

코나아이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덕e로움 코나아이 경기도 구리시 구리사랑카드

강원도 동해시 동해폐이 경기도 안성시 안성사랑카드

(선불카드)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사랑카드 (선불카드)  경기도 의왕시 의왕사랑상품권

충청남도 천안시 천안사랑카드 경기도 포천시 포천사랑상품권

강원도 영월군 영월볓빛고운카드 경기도 동두천시 동두천사랑카드

강원도 인제군 인제채워드림카드 경기도 과천시 과천화폐 과천토리

인천광역시 인천e음,부평e음,계양e음, 경기도 가평군 가평사랑상품권

미추홀e음,연수e음,서로e음

부산광역시 동구 동구 e바구페이 경기도 연천군 연천사랑상품권

충청북도 청주시 청주페이 37개

제주특별자치도 탐나는전 (재) 경상남도 고성군 경남고성사랑상품권

강원도 횡성군 횡성사랑카드 한국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사랑상품권

충청북도 옥천군 향수OK카드 간편 경상남도 통영시 통영사랑상품권

서울시 강동구(1) 강동빗살머니 결제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사랑상품권

경기도 수원시 수원페이 진흥원 경상남도 산청군 산청사랑상품권

경기도 용인시 용인와이페이 (모바일)  서울특별시  서울사랑상품권

25개 자치구

경기도 고양시 고양페이 30개

경기도 화성시 행복화성지역화폐 한국 전라북도 군산시 군산사랑상품권

경기도 부천시 부천페이 조폐 충청남도 논산시 논산사랑상품권

경기도 남양주시 Thank You Pay-N 공사  경북 안동시 안산사랑상품권

경기도 안산시 안산사랑상품권 다온 경기도 성남시 성남사랑상품권

경기도 안양시 안양사랑페이 경기도 시흥시 시루

경기도 파주시 파주페이 5개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사랑카드 GB 대구광역시 대구행복페이

대구은행 

(선불카드)

경기도 광주시 광주사랑카드 나이스정보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사랑상품권

통신㈜ 

(모바일)

경기도 광명시 광명사랑화폐 주식회사  경기도 김포시 김포페이

경기도 하남시 하머니 KT  울산광역시 울산페이

경기도 군포시 군포愛(애)머니 (모바일) 2개

경기도 오산시 오산화폐 오색전 ㈜인조이 충청남도 부여군 굿뜨래페이

웍스 

(모바일)

경기도 양주시 양주사랑카드 합 계  76개 

붙임 2 aT, 카드사, 배달앱 문의처

 

□ 사업 문의: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외식지원부 (061-931-0722)

□ 배달앱 및 카드사 연락처(대표번호)

번호 배달앱(업체) 카드사

22개소 9개소

1 배달의민족 1600-9880 KB국민카드 1588-1688

2 요기요 1661-5270 NH농협카드 1644-4000

3 쿠팡이츠 1670-9827 LOCA(롯데카드) 1588-8100

4 위메프오 1833-4866 BC카드 1588-4000

5 PAYCO 1544-6891 삼성카드 1588-8700

6 먹깨비 1644-7817 신한카드 1544-7000

7 배달특급 1599-9836 우리카드 1588-9955

8 띵똥 1588-6880 하나카드 1800-1111

9 배달의명수 070-8878-6411 현대카드 1577-6000

10 딜리어스 1800-0727

11 카카오톡 주문하기 1670-7447

12 일단시켜 5122-4040

13 어디go 1522-4040

14 배달올거제 1800-2788

15/16 배슐랭/배슐랭세종 1566-0534

17 불러봄내 02-753-0103

18 배달모아 063-236-1941

19 대구로 1661-3773

20 소문난샵 1811-8674

21 씽씽여수 1833-3232

22 방구석미식가 041-568-9800

 

붙임 3 외식활성화 캠페인 참여 배달앱 현황

□ 총 22개소 : 공공 14, 민간 6, 혼합 2

번호 배달앱 공공/ 지역 비고

(업체) 민간

1 배달의민족 민간 전국

(우아한형제들)

2 요기요 민간 전국

(딜리버리히어로코리아)

3 쿠팡이츠 민간 수도권,

(쿠팡 주식회사) 부산, 대전 등

4 위메프오 혼합 전국

(위메프오) (공공-서울)

5 PAYCO 민간 전국

(엔에이치앤페이코(주))

6 먹깨비 혼합 전국

(㈜먹깨비) (공공-서울, 충북, 세종 등)

7 배달특급 공공 경기도

(코리아경기도(주))

8 띵똥 공공 서울

(㈜허니비즈)

9 배달의명수 공공 전북 군산

(㈜아람솔루션)

10 딜리어스 민간 충북 청주 ‘21년 1차 신규

((주)아티컴퍼티)

11 카카오톡 주문하기 민간 전국

((주)카카오)

12 일단시켜 공공 강원 속초, 정선

(㈜코리아센터)

13 어디go 공공 부산 남구

(㈜코리아센터)

14 배달올거제 공공 경남 거제시

(㈜원큐)

15 배달모아 공공 충북 제천 ‘21년 2차 신규

(㈜아람솔루션)

16 불러봄내 공공 강원 춘천

((주)더페이)

17 배슐랭 공공 전국

(한국결제인증)

18 배슐랭 공공 세종

(한국결제인증)

19 대구로 공공 대구

((주)인성데이타)

20 소문난샵 혼합 전국 ‘21년 3차 신규

((주)샵체인) (공공-충남 등)

21 씽씽여수 공공 여수

(만나플래닛)

22 방구석미식가 공공 천안

((주)그로우키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