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단기(299일) 무역 1조 달러 돌파-코로나19 영향 극복하며 사상 최대 무역규모 전망
담당부서 수출입과등록일 2021-10-26
사상 최단기(299일) 무역 1조 달러 돌파
- 코로나19 영향 극복하며 사상 최대 무역규모 전망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 이하 산업부)・관세청(청장 임재현)은 10월 26일 13시 53분, 우리나라 무역액이 1조 달러*를 돌파하였다고 밝혔다.
* 무역액 1조 달러 = 수출액 5,122억 달러 + 수입액 4,878억 달러
ㅇ 우리 무역은 ‘11~’14년, ‘17~’19년 총 7회 1조 달러를 달성하였으나, ’20년 코로나19로 인한 세계 무역 침체로 1조 달러 이하(9,801억 달러)로 감소한 이후, 올해 들어 곧바로 1조 달러를 회복하였다.
* 1조 달러는 자동차 5천만 대에 달하는 금액, 자동차만으로 무역이 이루어진다면 국내 등록된 모든 자동차(2,470만 대)를 수출하고 같은 양을 수입한 것과 같은 규모
□ 특히, 금년에는 사상 최단 기간에 무역규모 1조 달러를 넘어서며, 이전 수준 회복을 넘어 무역통계 집계 이래 최고의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ㅇ 이번 쾌거는 ’18년 달성한 최단 기간(’18.11.16, 320일)을 21일 앞당겨 299일 만에 달성한 것으로 우리 무역의 기초가 견고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ㅇ 이러한 흐름이 이어진다면 올해 연간 무역규모는 코로나19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된다.
* 역대 무역규모 순위(억 달러) : ①(’18년)11,401, ②(’14년)10,982, ③(’11년)10,796
【 역대 무역 1조 달러 달성 시점(억 달러) 】
구 분 ‘11년 ‘12년 ‘13년 ‘14년 ‘17년 ‘18년 ‘19년 ‘21년
연간 무역액 10,796 10,675 10,752 10,982 10,522 11,401 10,456 10,000+α
돌파 일자 12.5일 12.10일 12.6일 11.28일 12.14일 11.16일 12.16일 10.26일
(339일) (345일) (340일) (332일) (348일) (320일) (350일) (299일)
□ 올해 수출액도 지난 10월 20일 5,000억 달러를 돌파하며 5년 연속 5,000억 달러 행진을 이어나갔다.
ㅇ 10월 중 연간 수출액이 5,000억 달러를 돌파한 만큼, ’21년 수출액이 6,000억 달러를 넘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 역대 수출액 순위(억 달러) : ①(’18년)6,049, ②(’17년)5,737, ③(’14년)5,727
최단기간 무역 1조 달러, 수출 5,000억 달러 달성의 원동력
【 제조업 경쟁력 】
□ 세계경기 및 교역 회복으로 수출 우호적인 대외여건이 마련된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주요국 대비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었던 것은 우수한 방역체계와 탄탄한 제조업 경쟁력이 바탕이 되었기 때문
ㅇ 코로나19 상황에서도 국내 생산 차질을 최소화하는 가운데, 반도체・조선・스마트폰 등 주력산업은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에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는 한편,
【 주력 품목의 글로벌 시장점유율 추세 】
반 도 체 올해 2분기 반도체 매출 세계 1위 지위 탈환
조 선 수주금액 1위, 수주량 2위, 수출액은 4년 만에 세계 1위(1~5월 기준)
스마트폰 금년 들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2위→1위로 부상
* 출처 : IC Insights, ITC 통계, 카운터포인트 리서치
- 시장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며 시스템 반도체・친환경 자동차・고부가가치 선박・이차전지・OLED・바이오헬스 등 新성장・고부가가치 품목들이 새로운 수출 유망품목으로 성장
* 대형 LNG운반선・컨테이너선・VLCC 등 高부가 선박 세계발주 중 한국 수주비중 63%
* 디스플레이內 OLED 비중(%) : (’18)41.7 → (’19)50.0 → (’20)60.6 → (’21.1~9)66.5
【 유망품목 연간 수출액(억달러) 】 ※ ’21년은 전망치
시스템반도체 친환경차 이차전지 OLED 바이오헬스
⇒ 15대 주요 품목 수출 증가 요인은 별첨[첨부 1]
【 수출 물량과 단가의 고른 성장세 】
□ 지난해 3분기부터 수출물량지수가 반등하기 시작한 이후, 올 들어 수출단가지수도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양 지수가 동반 증가세 지속
【 수출 물량 및 단가 추이(출처 : 한국은행) 】
【 대한민국의 글로벌 위상 제고 】
□ K-팝, K-콘텐츠 등 한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문화적인 위상이 높아지면서, 농수산식품・화장품・가전 등 소비재 품목 수출 확대
ㅇ 농수산식품・화장품 수출은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예상되며, 가전은 11년 만에 최대 증가율 기록하며(+27.5%) 성장세 지속
* ‘21년 수출액(억 달러, 1~9월) : (농수산식품)73(+12.0%), (화장품)68(+26.3%), (가전)63(+27.5%)
【 수출 저변의 확대 】
□ ’21.1~9월 중소기업의 수출 누계액은 역대 1위를 차지하며(853억불, 전년대비 +18.5%) 최근 수출 호조세에 큰 역할을 담당
ㅇ 중소기업의 온라인 수출도 크게 상승 → 수출저변 확대에 기여
* 중소기업 온라인 수출액(‘21.1~9월, 전년비) : 8.5억 달러(+74.9%)
□ 중간재(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위주의 신남방(아세안・인도) 수출 호조세, 한-중미 FTA 체결 등 新시장 진출 확대에 따른 수출지역 다변화
ㅇ 특히, 9월 누계 신남방 수출은 역대 최고치를(887억 달러) 기록 중이며, 5년 연속 수출 1,000억 달러를 목전에 두고 있음
* 신남방 수출액(억 달러) : (‘17)1,103→(‘18)1,157→(‘19)1,102→(‘20)1,010→(‘21.1~9)887(+21.7%)
⇒ 유망품목 수출 성공사례는 별첨[첨부 2]
□ 이러한 원동력을 바탕으로 우리 무역규모는 지난해보다 한 단계 상승한 세계 8위를 기록하며 무역 강국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ㅇ 글로벌 경기 회복으로 세계 주요국의 무역이 동반 성장하는 가운데, 순위를 끌어올리며 9년 만에 8위에 올라섰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韓 무역 순위 : (‘07~’08)11위→(’09~‘11)9위→(‘12)8위→(’13~‘20)9위→(‘21.1~7월)8위
【 세계 주요국 무역규모(억 달러) 】 (’21.1~7월 기준, WTO)
중 국 미 국 독 일 네덜란드 일 본 홍 콩 프랑스 한 국 이탈리아 영 국
32,956 26,127 17,596 8,849 8,600 7,551 7,447 6,976 6,736 6,538
* ’20년 대비 순위 변화 : 네덜란드(5→4위), 일본(4→5위), 한국(9→8위), 이탈리아(10→9위), 영국(8→10위)
□ 산업부 문승욱 장관은 “사상 최단기 무역 1조 달러 달성은 수출입 물류 애로, 변이 바이러스 지속, 공급망 차질 등 여러 난관을 극복하고 모든 국민들이 함께 이루어낸 값진 성과”라며,
ㅇ “무역 성장의 모멘텀을 이어나가 연간 수출액도 사상 최고치를 달성하기 위하여, 수출입 물류 등 현장 애로 해소, 중소기업 수출역량 강화, 미래 무역기반 확충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관세청 임재현 청장은 “올해 우리 무역은 코로나19 이후 기저효과를 넘어 실질적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밝혔다.
ㅇ 특히, “반도체 호황으로 역대 최대 무역액을 기록했던 ’18년과 달리, 승용차·무선통신기기·철강제품 등 다양한 품목이 고른 수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며, “앞으로도 수출입기업 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해나가고, 경기진단 및 예측에 유용한 무역통계 공표도 확대하겠다”고 하였다.
□ 한편, 27일(수)에는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로 확대무역전략조정회의를 개최하여 무역 1조 달러 달성의 원동력을 공유하고, 수출현장애로 해소 및 미래 무역기반 확충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첨부 1 15대 주요 품목 수출 증가 요인
(단위 : 억 달러, 전년동기대비 %)
품 목 ’21.1.1~10.20일 수출 증가 요인
금 액 증감률
총 계 5,018 26.8 ?10.20일 기준 5년 연속 수출 5,000억 달러 돌파
반도체 983 26.8 ?메모리반도체는 슈퍼사이클을 맞아 수요・단가의 강세 속에,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지속하며 수출 호조
?시스템반도체(31.4%)는 메모리반도체(25.6%)보다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반도체 수출內 비중 상승
* 반도체內 시스템반도체 비중 : (’20.1~9)29.7%→(’21.1~9)30.7%
석유화학 437 56.7 ?일회용품 등에 쓰이는 합성수지 수요가 견조한 가운데,
의료용 라텍스, 타이어 등 합성고무 수출 급증
* 수출증가율(%) : (합성수지)53.3, (합성고무)85.9, (중간원료)51.1
일반기계 416 11.9 ?주요국의 인프라 투자로 건설・제조업 경기가 회복
되면서, 건설기계・공작기계를 중심으로 수출 증가
* 수출증가율(%) : (건설기계)37.3, (공작기계)21.0, (광학기기)22.3
자동차 364 31.5 ?車반도체 수급 차질에도 불구, 친환경차・SUV를 중심으로 한 고부가가치화 성과로 수출 단가 상승
* 자동차 수출단가($/대) : (’20.8)17,975 → (’21.8)20,761
석유제품 286 45.6 ?국제유가 상승에 힘입어 제품가격 강세 지속
* 국제유가(두바이유, $/B) : (’20)42.29 → (’21)67.55
철 강 282 35.1 ?자동차・건설 등 글로벌 경기 회복에 더하여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단가 강세가 이어지며 수출 대폭 증가
차부품 181 31.1 ?완성차 공장 가동률이 회복되면서 부품 수출 증가
선 박 179 17.7 ?코로나19로 연기되었던 선박 인도가 재개되었으며, 수주 시장에서는 고부가・친환경 선박 분야에서 강세
디스플레이 165 24 ?OLED 시장에서 우리 기업들의 시장 지배력 지속
* 디스플레이內 OLED 비중(%) : (’19)50.0 → (’20)60.6 → (’21)66.5
컴퓨터 127 16.7 ?SSD 월수출액이 4개월 연속 신기록 경신하며 호조세
* SSD 수출액(백만 달러) : (’21.7)1,117 → (8)1,352 → (9)1,516
무선통신기기 125 28.6 ?글로벌 소비심리가 회복되는 가운데, 프리미엄 스마트폰 흥행에 힘입어 무선통신기기 수출 호조
바이오헬스 124 22.8 ?코로나19 진단키트, 바이오시밀러 제품 등 수출 호조
* ’21.1~7월 진단키트 수출액 : 26.3억 달러(바이오헬스의 29.2%)
섬 유 100 14.6 ?글로벌 소비 심리 회복으로 의류 소재 수요 확대
이차전지 69 19.6 ?미국 친환경정책에 힘입어 對美 수출이 성장세 견인
* 지역별 수출증가율(%) : (미국)191.9, (EU)2.0, (CIS)43.6
가 전 68 27.4 ?홈코노미 호재 속에서 프리미엄 가전 강세 지속
첨부 2 유망품목 수출 성공사례
유기농 인증으로 친환경 선호 소비자 공략
ㅇ 우리 김을 수출하는 7개의 생산‧가공기업으로 이루어진 A단체는 친환경 제품에 관심이 높은 시장 수요에 대응하여 유기농 제품인 찹쌀 김부각을 개발
ㅇ 미국 농무부로부터 유기농 인증(USDA ORGANIC)을 취득하고 코스트코, 바이오리빙(유기농 식품매장) 등 글로벌 유통매장에 판로를 개척하여 수출 증대
* A단체 김 수출액(백만 달러) : (`19년) 55 → (`20년) 70 (24.8%↑) → (`21.1~9) 55
현지 수요 맞춤형 상품 개발로 미국으로 김치 수출 확대
ㅇ 본격적인 미국 김치 수출을 위해 `18.4월 김치 전문 제조・수출법인으로 설립된 B社
ㅇ현지 소비자 선호에 맞춰 다양한 제품을 출시(젓갈을 뺀 피시프리 제품, 순한 맛 등)하고, 현지 브랜드 인수로 미국 전역에 유통망을 확보하여 1만여 개 매장에 김치 입점
ㅇ ‘20년 시장점유율 1위 달성(40.1%) 및 `21.9월 기준 전년 동기 대비 수출액 33% 증가
캐릭터 라이센싱을 통해 상품 인지도 제고
ㅇ 지역의 육류 가공‧수출기업인 C社의 경우 어린이용 소시지의 친근감을 제고하기 위하여 업계 최초로 ’12년 ‘뽀로로’ 캐릭터를 활용한 홍보 라이센스 획득
ㅇ 이후 해당제품은 중국・미국 등지에서 인기를 끌며 수출액이 지속 상승하고 있음
* C식품 수출액(천 달러) : (‘19)7,359 → (’20)7,549(2.6%↑) → (`21.1~9)6,462(19.7%↑)
혁신적 아이디어 K방역 용품을 일본에 수출하는 한국의 스타트업
ㅇ 미용실 헤어디자이너와 IT 사업 경험자가 ‘20.9월에 창업한 스타트업 D社
ㅇ 코로나19로 장기간 마스크 착용 상태로 근무하는 의료관계자 또는 미용업소 종사자의 수요를 포착하여 끈이 없는 마스크 개발에 성공
ㅇ 상시근로자 3명에 불구, ’21.3월부터 현재까지 약 8만달러의 수출을 성약하는 등 혁신적 아이디어와 높아진 K-방역 브랜드를 활용하여 일본 수출에 성공
온라인 마케팅을 통한 「한류열풍을 브랜드 가치 제고」에 성공
ㅇ E社는 한류 확산과 세계경기 회복에 따른 소비심리 개선으로 높아진 화장품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
ㅇ 말레이시아 진출을 위해 동영상 공유 플랫폼(구독자 168만명)을 활용하여 현지 소비자들의 관심을 반영해 자체 제작한 영상으로 비대면, 온라인 마케팅에 성공
ㅇ 동남아 유명 온라인 쇼핑몰(알테아)에 입점하여, ‘20년 對말레이시아 수출이 32.4% 증가하는 등 한류를 활용하여 신남방시장 진출에 성공
'판교핫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부 장관-코리아세일페스타 추진위원회 간담회 개최-업계‧정부, 우리 경제에 훈풍 불어넣는 “따뜻한 소비”일으키는데 힘 모아 (0) | 2021.10.27 |
---|---|
5대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추진단 공식출범-반도체·이차전지·디스플레이·탄소소재·정밀기계 분야 43개 기관 참여 (0) | 2021.10.27 |
유류세·LNG 할당관세 인하 시행에 따른 석유·가스시장 긴급점검 (0) | 2021.10.27 |
과기정통부, 2021 연구실 안전주간(10.27~11.2) 행사 개최 (0) | 2021.10.27 |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 간담회 개최 및 정보통신분야 표준 성과 전담기관 현판식 참석 (0) | 2021.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