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5대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추진단 공식출범-반도체·이차전지·디스플레이·탄소소재·정밀기계 분야 43개 기관 참여

하이거 2021. 10. 27. 19:01

5대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추진단 공식출범-반도체·이차전지·디스플레이·탄소소재·정밀기계 분야 43개 기관 참여

담당부서 소재부품장비시장지원과등록일 2021-10-27

 

5대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추진단 공식출범

 

- 반도체·이차전지·디스플레이·탄소소재·정밀기계 분야 43개 기관 참여

- 정부·지자체·선도기업 공동협력으로 최대 2.6조원 투입 추진

- 선도-소부장기업간 협력생태계 구축으로 세계적 공급망(GVC) 선도

 

행 사 개 요

 

□ 산업부(장관 문승욱)는 10월27일(수), 5대 소부장 특화단지의 협력 생태계 조성을 책임질 「소부장 특화단지 추진단」의 출범식을 가졌다.

 

ㅇ 이날 행사에는 박진규 산업부 차관, 특화단지 소재 5개 지자체 부지사, 5개 추진단장, 특화단지 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 행 사 개 요 >

 

 

◇ 일시 및 장소 : ‘21.10.27(수) 10:00∼11:15, 포시즌스호텔(서울) 3층 그랜드볼륨

◇ 참 석 자 : 박진규 산업부 차관, 류광열 경기 경제실장, 성일홍 충북 부지사, 

이필영 충남 부지사, 신원식 전북 부지사, 박종원 경남 부지사 및 

5개 특화단지 추진단장, 앵커기업 관계자, KIAT 석영철 원장, KEIT 정양호 원장 등

 

◇ 주요내용 : 추진단 출범식, 업무협약, 단지별 육성계획 발표, 간담회 등

 

특화단지추진단 출범 의의

 

□ 소부장 특화단지는 반도체, 이차전지 등 핵심 산업의 소재·부품부터 완성품까지 가치사슬을 집적화하는 협력단지로서, 정부는 금년 2월 반도체 등 5개 분야의 특화단지를 지정하였다.

 

< 소부장 특화단지 지정현황 >

분야 반도체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탄소소재 정밀기계

지역 경기 용인 충북 청주 충남 천안·아산 전북 전주 경남 창원

지정위치 신규 1개 산단 기존 2개 산단 기존 5개 산단 기존 2개 산단 기존 1개 산단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오창 과학산단 등) (천안 제2산단 등) (친환경복합산단 등) (창원국가산업단지)

신규 1개 산단 신규 1개 산단 신규 1개 산단

(오창 테크노폴리스) (아산 스마트밸리) (전주 탄소국가산업단지)

앵커기업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삼성디스플레이 효성첨단소재 두산공작기계, 

화천기계

 

ㅇ 특화단지는 선도기업(이하 앵커기업), 중소·중견 소부장 기업, 연구기관, 대학 등 산학연간의 연대와 협력 생태계 조성으로 세계적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고 국제적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 금일 출범하는 추진단은 특화단지별 테크노파크(TP), 공공연구기관, 지역대학, 업종별 협·단체 등 산학연 핵심 43개 기관으로 구성되어, 

 

ㅇ 상호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본격적으로 △기업간 협력수요 발굴, △신규 사업 기획, △산학연 네트워킹 활동 지원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ㅇ 단지별 추진단 대표기관은 차세대융합기술원(반도체), 충북TP(이차전지), 충남TP(디스플레이), 탄소산업진흥원(탄소소재), 경남TP(정밀기계)가 각각 맡았다.

 

< 소부장 특화단지 추진단 구성도 >

소부장 특화단지 지원단

(산업부, 지자체, 앵커기업, 대표 협력기업) 협력 기관

KIAT, KEIT

 

 

 

경기 추진단 충북 추진단 충남 추진단 전북 추진단 경남 추진단

주영창 단장 송재빈 단장 이응기 단장 방윤혁 단장 노충식 단장

(융기원장) (충북TP원장) (충남TP원장) (탄소산업 진흥원장) (경남TP원장)

차세대융합기술원 충북TP 충남TP 탄소산업진흥원 경남TP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캠틱종합기술원 한국재료연구원

등 5개 기관  등 11개 기관 등 7개 기관 등 10개 기관 등 5개 기관

육 성 계 획

 

□ 한편 이날 행사에서 산업부와 추진단은 세계적 첨단 협력단지 도약을 위한 각 단지별 육성계획을 발표했다.

 

ㅇ 산업부는 우선적으로 단지별 공급망 분석을 통해 취약 가치사슬 보완을 위한 품목을 선정하여 개발을 지원하고, 분야별 제품 시험·평가를 위한 신규 시험장(테스트베드)도 구축할 예정이다.

 

< 특화단지별 주요개발 품목 및 테스트베드 >

분야 주요 개발품목 (20개 품목) 테스트베드 (190여종)

반도체 ALD장비, PKG Track, 차폐소재공정 등 장비 공동개발 및 실증, 관련 소재·부품 내재화

이차전지 전해액 첨가제, 파우치, 고안전 모듈 등 ESS, EV용 소재·부품 고도분석

디스플레이 산화물 소재, LED, In-cell OPD 등 QD소재 합성가공, 물성분석, 신뢰성 확보

탄소소재 수소저장용·차세대이동체용 탄소섬유 등 수소저장용기 등 4대 품목용(用) 공정·시험

정밀기계 경량화 소재, AI접목 머시닝센터·터닝센터 등 전략금속소재 소성가공, CNC 장기신뢰성 확보

 

ㅇ 5개 특화단지에는 앵커기업의 1.4조원 규모 상생협력 계획과 정부·지자체의 기술개발(R&D), 테스트베드 구축, 전문인력 양성 등 지원 사업 연계 계획을 포함하여 최대 2.6조원*이 투입 될 예정이다.

 

* 정부·지자체가 추진중인 예타 사업, ’22년 신규사업 등을 포함한 금액이며, 

앵커기업의 설비투자, 단지 기반 구축비용, 기술협력 등 간접 투입금액은 제외

 

※ 단지별 계획: (경기) 약1.7조원, (충북) 약0.3조원, (충남) 약0.3조원,, (전북) 약0.1조원, (경남) 약0.2조원

 

□ 5개 추진단은 특화단지 육성방안 발표를 통해 정부, 지자체, 앵커기업 등과 긴밀히 협력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소부장 협력단지(이하 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ㅇ 반도체(경기 용인)의 경우 ‘세계 최대의 반도체 소부장 클러스터 구축’이라는 목표로 현재 진행중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신속히 구축하고,

 

* 비전 : 2030년 세계적 초격차 반도체 강국 실현

* 추진내용 : 6대 품목(ALD, PKG Track 등) 기술개발 등 20대 품목 공급 안정화 추진

ㅇ 이차전지(충북 청주)의 경우 핵심소재 개발과 중대형 배터리 성능평가를 위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신뢰성 향상을 지원하고,

 

* 비전 : 4대 핵심소재 세계 최고 강국으로 도약

* 추진내용 : 핵심소재부품(전해액, 바인더, 파우치 등) 기술개발, 배터리 성능 평가기반 구축

 

ㅇ 디스플레이(충남 천안·아산)의 경우 QD-OLED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가치사슬 완성을 위해 ‘아산스마트밸리’에 투자유치를 집중 지원하고,

 

* 비전 : 탄탄한 공급망으로 세계 최대·최고의 디스플레이 클러스터 조성

* 추진내용 : 핵심 소부장 투자유치, 가치사슬 완성(터치, 본딩) 및 시장선도(증착, 화소, 검사) 품목 개발

 

ㅇ 탄소소재(전북전주)의 경우 신속한 경쟁력 확보를 위해 수요창출과 중간재 산업을 지원하는 탄소섬유 인큐베이션허브를 설립하고,

 

* 비전 : 수요-공급 글로벌가치사슬(GVC) 구축을 통한 글로벌 3위 탄소소재단지로 도약

* 추진내용 : 5대 수요타깃(수소압력용기, 풍력블레이드, PAV, 차량부품, 건축재) 수요창출

 

ㅇ 정밀기계(경남창원)의 경우 첨단 미래 산업에 대응하는 초정밀, AI 접목 가공장비 개발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 비전: 초정밀 가공장비 세계 4대 강국 도약

* 추진내용 : 공작기계용 전략금속소재(Ti 등) 국산화, 국산CNC 및 정밀가공AI 신뢰성 향상

 

간 담 회

 

□ 산업부 박진규 차관은 “‘19년 7월 일본수출규제 이후 공급망 안정에 많은 성과가 있었으나 기후변화 대응, 미·중 갈등, 감염병 확산 등 글로벌 공급망 불안요인은 상존하는 바 외부 리스크에 흔들리지 않는 소부장 산업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ㅇ 중앙정부, 지자체, 앵커기업, 연구기관, 대학이 모두 합심하여 소부장 특화단지를 성공시켜야 하며, 추진단이 그 린치핀 역할을 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5개 지자체 부지사는 특화단지를 세계적 일류 클러스터로 키우기 위해 추진단 운영을 행정적·재정적으로 지원하고, 정부와 협력하여 다양한 지원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 앵커기업은 특화단지 성공을 위해 상생펀드 조성, 기술개발 이행계획 공유 및 요구 사양 제공을 통한 기술개발(R&D) 공동기획, 기술·장비 이전, 양산라인 개방 등 다양한 협력프로그램을 제공 할 계획임을 밝혔다.

 

붙임1 행 사 개 요

 

□ 일 시 : ’21.10.27일(수), 10:00 ~ 11:15 (75분)

 

□ 장 소 : 포시즌스 호텔 서울(서울 종로) 3층 그랜드볼룸

 

□ 참석자 : 산업부 1차관, 경기·충북·충남·전북·경남 부지사

5개 앵커기업* 관계자 KIAT·KEIT 원장, 5개 특화단지 추진단

*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삼성디스플레이, 효성첨단소재, 두산공작기계

 

□ 행사 세부 내용

※ 개회 및 출범식까지 언론 공개

 

시간 주요내용 비고

개회 및 출범식

10:00~10:02 (2‘) ‧ 특화단지 관련 동영상 -

10:02~10:05 (3‘) ‧ 인사말씀 산업부 1차관

10:05~10:10 (5‘) ‧ ‘특화단지 추진단’ 출범식 참석자

10:10~10:20 (10‘) ‧ 업무협약식 및 기념사진 촬영 참석자

육성계획 발표

10:20~10:25 (5‘) ‧ 특화단지 지원방안 및 추진단 소개 산업부

10:25~10:55 (30‘) ‧ 육성계획 발표 (단지당 6분) 5개 추진단

간담회

10:55~11:15 (20‘) ‧ 간담회 참석자

붙임2 소부장 특화단지 추진단 참여기관

 

 

구 분 참여기관

경기  연구기관(4개) · 차세대융합기술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추진단 한국나노종합기술원, 한국세라믹기술원

(6개) 학회(2개) · 한국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 반도체 디스플레이학회 

충북  연구기관(5개) ·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추진단 대학(3개) · 충북대학교, 청주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12개) 기타(4개) · 충북테크노파크, 충북에너지산학융합원, (사)한국전지협회, 충북지역사업평가단

충남  연구기관(4개)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추진단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8개) 대학(2개) · 호서대학교, 순천향대학교

기타(2개) · 충남테크노파크,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전북  연구기관(7개) · 한국탄소산업진흥원,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추진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11개)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캠틱종합기술원, 자동차융합기술원

대학(3개) · 전북대학교, 전주대학교, 원광대학교

기타(1개) · 전북테크노파크

경남  연구기관(2개) · 한국재료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추진단 대학(2개) · 창원대학교, 한국폴리텍대학

(6개) 기타(2개) · 경남테크노파크, 창원산업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