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10.28., 0시 기준)-50대 연령층, 기저질환자, 얀센 접종자, 11월부터 추가접종 실시(10.28., 정례브리핑)

하이거 2021. 10. 28. 15:44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10.28., 0시 기준)-50대 연령층, 기저질환자, 얀센 접종자, 11월부터 추가접종 실시(10.28., 정례브리핑)

작성일2021-10-28 최종수정일2021-10-28 담당부서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예방접종기획팀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 (0시 기준)

 

◈ 백신 접종자 1차 76,802명, 접종완료 255,616명

◈ 신규 확진자 국내 2,095명, 해외유입 16명

 

□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10월 28일 0시 기준으로 1차 접종은 76,802명으로 총 40,970,884명이 1차 접종을 받았고, 이 중 255,616명이 접종을 완료하여 총 36,970,850명이 접종을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구분 전일 누계(A) 신규 접종(B)1) 누적 접종(A+B)1) 인구2)대비 접종률

18세 이상

1차 접종 40,894,082 76,802 40,970,884 79.8 92

접종 완료 36,715,234 255,616 36,970,850 72 83.7

1)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만으로 접종이 완료되므로 접종 시 ‘1차 접종’과 ‘접종 완료’ 통계에 모두 추가 

다만 접종건수에는 1건으로 추가

2) ’20.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백신별 접종 현황】

(단위: 명)

 

구분 전일 누계(A) 신규 접종(B) 누적 접종(C=A+B)

1차(a=c+e+g+i) 40,894,082 76,802 40,970,884

완료(b=d+f+h+i) 36,715,234 255,616 36,970,850

AZ1) 1차(c) 11,105,441 167 11,105,608

완료(d) 10,952,013 8,383 10,960,396

교차접종 1,744,688 2,360 1,747,048

PF 1차(e) 21,784,582 68,815 21,853,397

완료(f) 19,859,479 125,999 19,985,478

M 1차(g) 6,523,726 6,791 6,530,517

완료(h) 4,423,409 120,205 4,543,614

J2)(i) 1,480,333 1,029 1,481,362

1)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경우 완료에 AZ-PF 교차접종자 포함시키고, AZ-PF 교차접종자 통계 추가로 표시

2)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만으로 접종이 완료되므로 1차 접종과 접종 완료 모두에 일괄 추가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10월 28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095명, 해외유입 사례는 16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358,412명(해외유입 15,040명)이라고 밝혔다. 

 

○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49,879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78,325건(확진자 639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9,453건(확진자 32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37,657건, 신규 확진자는 총 2,111명이다.

 

○ 신규 격리 해제자는 1,195명으로 총 330,853명(92.31%)이 격리 해제되어, 현재 24,751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45명, 사망자는 1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808명(치명률 0.78%)이다.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2,095 785 51 106 136 7 6 6 2 707 22 54 82 41 12 40 34 4

누계 343,3721)2)3) 115,5152) 13,361 16,560 18,368 5,073 7,398 5,231 1,297 103,4063) 6,937 7,5431) 9,969 4,868 3,326 9,184 12,339 2,997

1) 오신고로 인한 누계 정정(10.26. 0시 기준, 충북-1)

2) 중복집계로 인한 누계 정정(10.8. 0시 기준, 서울-1)

3) 중복집계(단순 재검출)로 인한 누계 정정(10.22. 0시 기준, 경기-1)

 

구분 합계 (추정)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중국 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16 0 7 1 5 3 0 8 8 9 7

누계 15,0401) 156 8,488 2,047 3,2901) 1,021 38 6,266 8,7741) 7,5571) 7,483

-1.00% -56.40% -13.60% -21.90% -6.80% -0.30% -41.70% -58.30% -50.20% -49.80%

1) 중복집계(단순재검출)로 인한 누계 정정(9.26. 0시 기준, 아메리카-1, 지역사회(서울)-1, 내국인-1)

* 아시아(중국 외): 필리핀 2명(2명), 인도네시아 1명(1명), 카자흐스탄 1명, 러시아 3명(1명), 유럽: 프랑스 1명, 아메리카: 미국 4명(1명), 캐나다 1명, 아프리카: 에티오피아 1명(1명), 카메룬 1명(1명), 이집트 1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구분 격리해제 격리 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10.27.(수) 0시 기준 329,658 23,8461)2)3)  341 2,797

10.28.(목) 0시 기준 330,853 24,751 345 2,808

변동 (+)1,195 (+)905 (+)4 (+)11

1) 오신고로 인한 누계 정정(10.26. 0시 기준, 충북-1)

2) 중복집계로 인한 누계 정정(10.8. 0시 기준, 서울-1)

3) 중복집계(단순 재검출)로 인한 누계 정정(9.26. 0시 기준, 서울-1, 10.22. 0시 기준, 경기-1)

* 10.27일 0시부터 10.28일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일일확진자’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붙임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 일일 확진자 현황 (10.28. 0시 기준, 358,412명)

< 국내 신고 및 검사 현황*(‘20.1.3. 이후 누계) >

구 분 총 계** 결과 양성 검사 중 결과 음성

확진자 격리해제 격리 중 사망

10.27.(수) 0시 기준 15,628,3082)3)  356,3011)2)3)  329,658 23,8461)2)3) 2,797 1,387,186 13,884,8211) 

10.28.(목) 0시 기준 15,678,187 358,412 330,853 24,751 2,808 1,389,130 13,930,645

변동 49,879 2,111 1,195 905 11 1,944 45,824

1) 오신고로 인한 누계 정정(10.26. 0시 기준, 충북-1 양성→음성)

2) 중복집계로 인한 누계 정정(10.8. 0시 기준, 서울-1)

3) 중복집계(단순 재검출)로 인한 누계 정정(9.26. 0시 기준, 서울-1, 10.22. 0시 기준, 경기-1)

* 10.27. 0시부터 10.28.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국비 및 건강보험 급여 지원검사만 포함되며, 확진자의 격리해제 전 검사 등은 미포함)

** 검사 중 건수는 당일 검사 진행 중인 건수와 입력 지연(결과 음성 값) 건수 포함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지역별 확진자 현황 (10.28. 0시 기준, 358,412명)

< 지역별 확진자 현황(‘20.1.3. 이후 누계) >

지역 금일신규 확진자누계 (%) 인구10만명당

국내발생 해외유입 발생률*

서울 785 3 117,3582)3)  -32.74 1,213.82

부산 51 1 13,765 -3.84 405.81

대구 106 0 16,878 -4.71 697.92

인천 136 1 18,961 -5.29 644.31

광주 7 0 5,327 -1.49 367.36

대전 6 0 7,505 -2.09 512.68

울산 6 0 5,409 -1.51 476.14

세종 2 0 1,356 -0.38 381.08

경기 707 1 106,2823)  -29.65 791.55

강원 22 0 7,130 -1.99 462.13

충북 54 0 7,7921)  -2.17 486.75

충남 82 0 10,414 -2.91 490.99

전북 41 0 5,084 -1.42 281.8

전남 12 0 3,488 -0.97 188.38

경북 40 1 9,571 -2.67 362.62

경남 34 1 12,740 -3.55 381.41

제주 4 0 3,086 -0.86 457.43

검역 0 8 6,266 -1.75 -

총합계 2,095 16 358,4121)2)3)  -100 691.53

1) 오신고로 인한 누계 정정(10.26. 0시 기준, 충북-1)

2) 중복집계로 인한 누계 정정(10.8. 0시 기준, 서울-1)

3) 중복집계(단순 재검출)로 인한 누계 정정(9.26. 0시 기준, 서울-1, 10.22. 0시 기준, 경기-1)

* 지역별 ‘20.1월 이후 누적 확진자수 / 지역별 인구 (‘20.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기준)

** 신고 기관 주소 환자 수에 대한 발생률로 실제 해당지역 발생률과 차이가 있음

< 지역별 격리 중, 격리해제, 사망자 현황*(‘20.1.3. 이후 누계) >

구 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검역

격리 중 24,751 10,950 415 450 1,891 69 158 46 24 8,050 226 499 655 230 126 412 364 62 124

격리해제 330,853 105,626 13,191 16,170 16,963 5,229 7,293 5,307 1,330 97,318 6,838 7,211 9,700 4,788 3,341 9,064 12,336 3,022 6,126

사망 2,808 782 159 258 107 29 54 56 2 914 66 82 59 66 21 95 40 2 16

합 계 358,412 117,358 13,765 16,878 18,961 5,327 7,505 5,409 1,356 106,282 7,130 7,792 10,414 5,084 3,488 9,571 12,740 3,086 6,266

* 10.27. 0시부터 10.28.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최근 1주간 검사 및 확진자 현황 (10.22.~10.28.)

구 분 10.22. 10.23. 10.24. 10.25. 10.26. 10.27. 10.28. 주간누계 총 누계

검사 건수(건)1) 298,800 281,985 187,491 146,207 291,330 310,417 집계중 1,516,230 81,076,040

의심신고 검사자 수(명)2) 45,3786)  44,087 23,511 25,493 48,952 48,883 49,879 286,183 15,678,187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74,171 75,837 55,128 41,338 82,142 77,500 78,325 484,441 14,843,802

검사 건수(건)3)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11,900 11,136 11,198 10,489 12,584 11,144 9,453 77,904 3,278,560

검사 건수(건)4)

신규 확진자 수(명) 1,4386)  1,508 1,422 1,190 1,2655)  1,952 2,111 10,886 358,412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461 444 390 357 284 601 639 3,176 64,856

확진자 수(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17 28 23 25 29 36 32 190 9,666

확진자 수(명)

1) (검사 건수) 검사 기관(의료기관, 검사전문기관(수탁), 보건환경연구원)으로부터 보고된 건수를 보고일 기준으로 집계한 수치로서 보고기관의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는 잠정 통계임

* 신규 의심신고 검사, 확진자 경과 관찰 중 검사, 격리해제 검사, 취합검사대상 검사, 지자체 주관 일제검사, 의료기관·시설의 신규 입원·입소자 검사, 익명 검사 등 

2) (의심신고 검사자 수) 의심환자 신고 후 검사를 진행한 건수(결과 양성(신규 확진자 수)+결과 음성+검사 중)로서 중복 검사 건수는 포함하지 않음

3)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를 통해 전일 보고된 건수를 집계한 수치

4)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운영지역 중 실적 제출에 협조한 지역의 집계 반영

5) (누계정정) 오신고로 인한 누계 정정(10.26. 0시 기준, 충북–1)

6) (누계정정) 중복집계(단순 재검출)로 인한 누계 정정(10.22. 0시 기준, 경기-1)

 

50대 연령층, 기저질환자, 얀센 접종자, 11월부터 추가접종 실시

- <코로나19 예방접종 11~12월 시행계획> 발표 -

◇ 인구 대비 80% 이상 접종 완료로 안전하게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

 

◇ 50대 연령층, 기저질환자, 얀센 접종자 등 추가접종 확대 실시

 

◇ 미접종자 및 불완전접종자 접종 독려방안 마련

 

◇ 이상반응 판단의 독립성·전문성을 확보한 전담기구 구성·운영, 인과성 근거 불충분한 환자의 의료비 지원 확대

 

◇ 예방접종센터 단계적 운영 종료, 위탁의료기관 요일제 운영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단장 정은경, 이하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4분기 시행계획>(9.27.) 발표 이후, 백신 도입상황, 예방접종 진행상황 및 최근 방역상황 등을 반영하여 <코로나19 예방접종 11~12월 시행계획>을 발표하였다.

 

○ 이번 시행계획은 인구 대비 70% 접종 완료(10.23.)에 따라 구체화된 “단계적 일상회복”을 보다 안전하게 이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10.27.)를 거쳐 결정되었다.

○ 추진단은, 이번 계획으로 추가접종 대상 확대를 통해 접종효과가 감소한 고위험군을 보다 두텁게 보호하는 한편, 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고 지원을 확대하였다.

 

- 미접종자와 불완전접종자의 접종을 독려하여 면역 형성인구를 최대한 확대하고, 접종 추이를 감안한 접종기관 운영 조정을 통해 의료 자원을 효율화하고자 한다.

 

1. 예방접종 추진 현황

 

□ 지난 1월 28일 코로나19 예방접종 계획 발표 이후, 1차접종 70% 달성(9.17.), 접종완료율 70% 목표를 달성하였다(10.23.).

 

○ 10월 28일 현재까지 4,097만 명(인구 대비 79.8%)이 1차접종을 받았고, 3,697만 명(인구 대비 72.0%)이 접종을 완료하였다.

 

【연령대별 접종현황 (10.28. 0시 기준)】

 

구분 인구(명)* 1차 접종 접종 완료

1차접종자(명) 인구 대비 접종률(%) 접종완료자(명) 인구 대비 접종률(%)

51,349,116 40,970,884 79.8 36,970,850 72

80세 이상 2,255,736 1,890,005 83.8 1,839,949 81.6

70∼79 3,757,129 3,516,461 93.6 3,461,389 92.1

60∼69 7,140,703 6,799,629 95.2 6,655,257 93.2

50∼59 8,570,076 8,176,301 95.4 7,914,943 92.4

40∼49 8,109,221 7,426,764 91.6 6,393,227 78.8

30∼39 6,686,639 5,898,952 88.2 4,945,884 74

18∼29 7,619,756 6,910,247 90.7 5,743,755 75.4

12~17 2,768,836 352,525 12.7 16,446 0.6

11세 이하 4,441,020 - - - -

* ’20.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현재, 12~17세 소아청소년, 임신부를 대상으로 기본접종이 시행중이며, 16~17세 소아청소년의 사전예약률은 63.7%(87.9만 명 중 56.0만 명)이고, 약 31.2만 명이 1차접종을 완료하였다.

○ 임신부는 약 3.2천명이 예약하였고, 914명이 1차접종을 시행하였다.

 

○ 추가접종 또한 차질 없이 진행 중이며, 코로나19 치료병원 종사자, 60세 이상 연령층 및 고위험군 등 총 약 6만 명이 접종받았다.

 

- 1단계 고위험군 중 그 외 대상의 경우 면역저하자는 11월 1일(월), 요양병원·시설 대상자는 11월 10일(수),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종사자는 11월 15일(월)부터 추가접종이 순차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2.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국내 18세 이상 내국인을 대상으로 주차별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의 감염, 위중증, 사망 예방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 분석 대상은 18세 이상 내국인 4,398만여 명이고, 분석 기간은 코로나 19 예방접종이 시작된 2월 26일부터 10월 2일까지 약 7개월이다.예방접종력에 따라 ‘미접종군’과 ‘완전접종군’의 주차별 발생률을 비교하여 예방접종에 따른 효과를 평가하였다. 

 

◇ [자료원] 예방접종등록 DB(10.3일 0시 기준) / 확진자 DB(10.3일 0시 기준)

◇ [분석대상] ’21.2.26.∼10.2. 만 18세 이상 내국인 43,983,105명*

* 18세 미만, 외국인 및 국적미상, 해외예방접종자, 예방접종 사업 시작 전 확진자, 정보 부정확 등 제외

◇ [예방접종력분류] 

- 미접종군 : 코로나19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 접종 후 14일 미경과자 

- 완접종군 : 코로나19 백신별 권장 횟수 접종 후 14일 이상 경과자

◇ [계산식] 

- 접종군별 일별 관찰인일(Daily person-day) : 당일 접종군별 접종자 수 - 접종군별 전일까지 확진자 누계

- 일별 발생률(Daily IR) : 접종군별 연령표준화 신규 확진‧위중증‧사망 / 접종군별 연령 표준화 일별 관찰인일

- 감염예방효과 : 1-(완전접종군 발병률/ 미접종군 발병률)

○ ‘미접종군’과 ‘완전접종군’의 연령을 표준화하여 주차별 감염, 위중증, 사망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9월 5주 기준 ‘미접종군’이 ‘완전 접종군’에 비해 코로나19에 감염될 위험은 2.7배, 코로나19로 인해 위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은 22배, 코로나19로 인해 사망할 위험은 9.4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예방접종력에 따른 연령표준화 발생률, 위중증률, 치명률 비교(9월 5주 기준)> 

 

○ 시기별로는 델타변이 검출률이 90% 이상을 차지한 6월 말부터 발생률은 지속 증가하면서 감염예방효과는 감소하여 60%대였지만, 중증 및 사망 예방효과는 9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5월 이후 주차별 감염예방효과> 

 

<5월 이후 주차별 중증예방효과> 

 

<5월 이후 주차별 사망예방효과>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번 분석 결과가 델타변이 바이러스 우세화 영향으로 예방접종의 감염 예방 효과가 다소 감소하였지만 위중증 및 사망 예방효과는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위중증 및 사망 예방을 위해 반드시 접종완료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또한 델타 변이 바이러스 유행으로 코로나19 감염 예방 효과가 다소 감소하여 예방접종을 받았더라도 실내 마스크 착용, 주기적 환기, 의심 증상 발생 시 신속한 검사 등 생활방역 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최근 들어 요양병원, 요양시설 집단 감염이 증가함에 따라 고령층의 위중증 환자 비율이 높으므로, 어르신 등 고위험군은 추가접종이 꼭 필요하다.

3. 11~12월 접종계획 추진방향

 

□ 11~12월 시행계획은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를 목표로 추진한다.

 

<추진목표> 

① 인구 대비 80% 이상 접종완료로 안전하게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 

 

② 추가접종 대상 확대로 접종효과 증대 및 고위험군 보호 강화 

 

③ 미접종자 접종대책 강구, 면역형성인구 확대 도모 

 

④ 이상반응 판단의 전문성·독립성 확보를 통한 접종정책 신뢰 제고

 

⑤ 접종기관 운영개편으로 의료자원의 효율적 활용 

 

○ 첫째, 인구 대비 80% 이상 접종완료를 통해 보다 안전하게 단계적 일상회복으로의 이행 기반을 마련한다.

 

○ 둘째, 50대 연령층, 기저질환자, 얀센백신 접종자 등까지 추가접종 대상을 확대하여 접종효과를 증대시키고 고위험군을 보호한다. 

 

○ 셋째, 미접종자군 중심의 집단감염 및 중증사망 증가를 예방하기 위해, 미접종자 및 불완전접종자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접종을 독려한다.

 

○ 넷째, 이상반응 인과성 평가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독립성·전문성을 확보한 전담기구를 구성하고, 인과성 근거가 불충분한 환자의 의료비 지원을 확대한다.

 

○ 다섯째, 단계적으로 예방접종센터 운영을 종료하여 의료 인력을 재배치하고, 위탁의료기관을 요일제로 운영하여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한다.

4. 11~12월 접종계획 세부사항

 

□ 11월부터 시행할 주요 접종계획은 다음과 같다. 

 

? [추가접종 대상 확대]

 

○ 감염 및 중증·사망 위험, 돌파감염 등을 고려하여, 50대 연령층, 기저질환자, 얀센백신 접종자 등을 추가접종 대상 고위험군에 포함한다.

 

- 지난 10월부터 추가접종을 시행 중인 1단계 고위험군에 이어, 2단계 고위험군은 11월부터 추가접종을 실시하게 되며, 일반 국민 추가접종은 국내외 연구결과, 국외 동향 등을 고려하여 지속적으로 검토한 후 결정할 예정이다.

1단계 (10월-) 2단계 (11월-) 3단계 (검토)

?면역저하자  ?50대 연령층  ?일반국민

?60세 이상 고령층  ?18-49세 기저질환자 

?코로나19 치료병원  ?얀센백신 접종자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우선접종 직업군 

?요양병원·요양시설 

?감염취약시설

 

○ 2단계 고위험군 중 11-12월 접종대상은 총 205만 명으로, 대상군별 세부 접종계획은 다음과 같다.

 

【대상별 예약 및 접종 일정】 

대상자 사전예약 예방접종 잔여백신 접종 

50대 연령층 11.01.(월) 20:00~ 11.15.~ 11.01.~

기저질환자 11.01.(월) 20:00~ 11.15.~

얀센백신 접종자 10.28.(목) 20:00~ 11.08.~ (의료기관 예비명단 활용*)

우선접종 직업군 11.01.(월) 20:00~ 11.15.~

* SNS 당일 신속예약을 통한 추가접종은 11월 중순 경부터 예정(잠정)

① 50대 연령층은 높은 치명률* 등 위험도를 고려하여 접종완료 후 6개월 경과자를 대상으로 추가접종을 실시하며, 오늘 0시 기준 50대 접종완료자 약 791만 명 중 4분기 접종 대상은 약 32만 명이다. 사전예약은 11월 1일(월), 접종은 11월 15일(월)부터 실시한다.

 

* 연령별 누적 치명률: 20대 0.02%, 30대 0.04%, 40대 0.07%, 50대 0.31% (’21.10.27 기준)

* 연령별 누적 중증화율: 20대 0.21%, 30대 0.64%, 40대 1.29%, 50대 2.58% (’21.10.27 기준)

 

② 기저질환자는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사망 위험이 높아 우선적으로 추가접종이 필요하며, 아래 질환에 해당하는 대상 및 의사 판단 하에 추가접종이 권고되는 자에 대하여 11월 1일(월)부터 사전예약을, 11월 15일(월)부터 접종을 실시한다.

 

【기저질환의 범위】

구분 주요질환

내분비 장애 당뇨, 뇌하수체기능이상, 부신질환

심혈관 질환 심부전, 심근염, 심근경색, 만성류마티스성심장질환,

판막질환, 고혈압 

만성 신장 질환 만성신부전, 사구체질환

만성 호흡기 질환 폐기종, 만성폐쇄성폐질환, 기관지확장증, 천식, 진폐증, 

기타간질성폐질환

신경계 질환 파킨슨병, 치매, 뇌성마비, 다계통위축증, 척수손상, 간질,

중추신경계탈수초질환

소화기 질환 간경변, 만성B형간염, 낭포성섬유증

 

③ 얀센백신 접종자(148만 명)는 높은 돌파감염 비율*과, 접종자의 다수가 활동성이 큰 청장년층인 점을 고려하여 추가접종이 필요한 바, 기본 접종자 전체를 대상으로 접종 완료 2개월 이후 추가접종을 시행한다.

 

* (백신별 10만 명 당 돌파감염자 수, ’21.04.03.-10.16.) 

전체 74.1명, 얀센 266.5명, AZ 99.1명, 화이자 48.2명, 모더나 4.6명, 교차접종 71.1명

 

 

- 위탁의료기관에서 mRNA 백신으로 접종받을 수 있고, 30세 이상 연령층 중 본인이 희망하는 자는 얀센 백신으로 추가접종도 가능하며, 이 경우 보건소에 유선으로 연락하여 확인 후 접종받을 수 있다.

 

* 잔여백신으로 접종할 경우 11월 1일(월)부터 추가접종 가능(의료기관 예비명단 활용)

 

- 사전예약은 10월 28일(목) 20시부터, 접종은 11월 8일(월)부터 시작된다.

 

【예약시기별 예약가능 접종일】 * 변동 가능

접종일 11.8(월) 11.15(월) 11.22(월) 11.29(월) 12.6(월) 12.13(월) 12.20(월) 12.27(월)

예약시기 ~11.14(일) ~11.21(일) ~11.28(일) ~12.5(일) ~12.12(일) ~12.19(일) ~12.26(일) ~12.31(금)

1차 10.28(목) 20:00 ~ 

10.29(금) 24:00

2차 10.30(토) 00:00 ~

11.4(목) 24:00

11.5(금) 00:00 ~

11.18(목) 24:00

11.19(금) 00:00 ~ 

11.25(목) 24:00

11.26(금) 00:00 ~ 

12.2(목) 24:00

12.3(금) 00:00 ~   

12.9(목) 24:00

12.10(금) 00:00 ~ 

12.16(목) 24:00

12.17(금) 00:00 ~ 

12.23(목) 24:00

 

④ 우선접종 직업군은 업무 특성상 감염·전파 위험이 높아 상반기에 우선접종을 실시한 대상으로, 접종완료 후 6개월 경과자는 11월 1일(월)부터 사전예약을 통해 11월 15일(월)부터 접종 받을 수 있다.

 

【기본접종 후 6개월이 도래하는 우선접종 직업군】

?1차 대응요원

 

?보건의료인 (의원급 의료기관 및 약국 종사자)

 

?돌봄 종사자

 

?특수교육·보육, 보건교사 및 어린이집 간호인력

 

?사회필수인력 (경찰, 소방, 군인 등)

 

? [추가접종 세부 시행기준 마련]

 

○ 추가접종 대상이 점차적으로 확대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기본접종과 국내 미승인 백신 접종 등에 대한 추가접종 세부 시행기준이 필요하게 되었고, 주요 연구결과와 국외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세부기준을 마련하였다.

 

○ 접종백신은 기본적으로 ①mRNA 백신을 활용하며, ②가급적 동일백신으로, ③백신 종류가 2종을 초과하지 않도록 권고한다.

 

- 예외적으로, ①mRNA 백신 금기 또는 연기 대상*에 해당하는 대상자는 의사 판단 하에 피접종자에게 적합한 백신으로 접종이 가능하며, ②얀센백신 기본접종자 중 희망자는 얀센백신으로 접종 가능하다.

 

* (금기) 기본접종 시, 아나필락시스 등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 발생

(연기) 기본접종 시, 심근염·심낭염 등 이상반응 발생

 

○ 접종용량의 경우, 모더나 백신을 활용한 추가접종은 기본접종 용량의 절반(0.25㎖, 항원량 50㎍)으로 시행하며, 그 외 백신은 기본접종과 동일한 용량으로 추가접종을 실시한다.

 

* 美FDA, 모더나 백신 기본접종은 0.5㎖(100㎍), 추가접종은 0.25㎖(50㎍)으로 승인

 

○ 접종간격은 원칙적으로 기본접종 완료 6개월이 지난 후부터, 가급적 8개월 이내에 추가접종을 시행한다.

* 단, 국외 출국, 질병 치료 등의 사유가 있을 경우 기본접종 완료 후 6개월을 기준으로 4주 전부터 추가접종 가능(10.13일 보도참고자료 참고)

 

- 예외사항으로, ①면역저하자는 기본접종으로 면역형성이 불완전하고, ②얀센백신 접종자는 돌파감염 발생 비율이 높은 점을 고려하여, 기본접종 완료 2개월 이후부터 추가접종을 권고한다.

 

○ 기본접종 유형별 추가접종 실시기준은 다음과 같다.

【추가접종 실시기준】

□ (기본접종)AZ 백신 2회 또는 AZ-Pf 교차접종 ⇒ (추가접종)mRNA 백신

 

ㅇ AZ 백신 기본접종자는 mRNA 백신으로 추가접종

 

ㅇ AZ-Pf 교차접종자는 가급적 화이자 백신으로 추가접종 권고

 

□ (기본접종)mRNA 백신 2회 ⇒ (추가접종)mRNA 백신 (동일백신)

 

ㅇ mRNA 백신 기본접종자는 기본접종과 동일백신* 추가접종 권고

 

* 단, mRNA 백신 간 교차접종도 가능

 

□ (기본접종)얀센백신 1회 ⇒ (추가접종)mRNA 백신 (단 희망자는 얀센백신 가능)

 

ㅇ 얀센백신 기본접종자는 mRNA 백신을 기본으로 하되, 희망자의 경우

얀센백신 접종도 가능 (30세 이상) 

 

□ (기본접종)국내 미승인 백신 중 WHO 승인 백신 ⇒ (추가접종)mRNA 백신

 

ㅇ WHO 승인 백신 기본접종자는 mRNA 백신으로 추가접종 

 

* WHO 미승인 백신 기본접종자는 추가접종 대상에서 제외

 

? [미접종자 접종률 제고방안]

 

○ 현재, 누적 1차접종자가 전체 인구 대비 80%를 바라보고 있고, 접종완료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단계적 일상회복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면역형성인구를 확대하고, 중증사망 예방을 위하여 미접종자에 대한 접종률 제고 노력이 필요하다. 

 

○ 18세 이상 성인 중 1차접종 미접종자는 약 517만여 명으로, 코로나19 인식조사(제43차, 10월 2주차) 결과 주요 미접종 사유는 이상반응에 대한 우려(70%), 백신효과 불신(58%) 및 기본방역 수칙을 통한 예방 가능(40%) 순으로 조사되었다.

 

○ 이에, 우선적으로 이상반응의 인과성 평가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안전성 정보를 신속하고 투명하게 안내하여 예방접종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자 한다.

 

* 해당 내용은 “? [접종 후 이상반응 대응강화 및 지원 확대](12p)” 에서 상세하게 확인 가능

- 현재, 1차접종 미접종자는 언제 어디서든 예약 없이 간편하게 접종 가능하다.

 

- 사전예약 없이도 접종기관 보유백신을 확인한 후 간편하게 당일 접종받을 수 있으며, 네이버 또는 카카오에서 잔여백신 접종을 신청하거나, 의료기관에 문의 후 예비명단에 이름을 올려 잔여백신 접종을 수시로 받을 수 있다.

 

- 또한, 인구 구성이나 외국인 비율 등 각 지역별 여건에 따라 지자체 주도로 미접종자 접종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지자체별 우수사례를 전파하여 다른 지자체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단계적 일상회복과 연계하여 접종증명·음성확인제를 도입하여 접종완료자는 다중이용시설 및 행사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으로, 세부사항은 10월 29일(금) 별도 발표할 계획이다.

 

○ 한편, 1차접종을 실시한 이후 접종간격에 따른 2차접종일이 지났음에도 접종을 받지 않은 2차접종 미접종자는 약 32.9만 명(10월 27일까지 백신별 권고 접종간격 범위 내 2차접종 대상자 약 3724.6만 명 중 0.9%)이다.

 

- 2차접종은 1차접종 후 자동으로 예약되나, 본인이 2차접종 예약일 조정을 원하는 경우 백신별 접종간격 범위 내에서 사전예약 누리집을 통해 직접 변경 가능하다.

 

- 또한, 접종간격을 넘겼거나, 부득이한 사유로 예약일에 접종받지 못한 2차접종 미접종자도 접종기관 보유백신을 확인한 후 별도 예약일 변경 없이 편리하게 당일 접종 가능하고,

 

- 1차접종과 마찬가지로, 카카오 또는 네이버를 통해 잔여백신을 검색하거나 의료기관에 문의 후 예비명단에 이름을 올려 백신별 최소 접종간격 범위* 내에서 일정을 변경하여 접종이 가능하다.

 

* 1차접종 후 (화이자) 3주, (모더나) 4주, (아스트라제네카) 4주 

 

- 2차접종 미접종자에 대해서는 개별 문자 발송을 통하여 접종을 독려하고, 접종방법을 지속적으로 안내할 예정이며, 접종완료의 필요성 및 효과성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 [접종 후 이상반응 대응강화 및 지원 확대]

 

○ 추진단은 코로나19 백신의 이상반응에 대한 국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하여 백신접종 안전성 검토를 강화한다.

 

- (가칭)「코로나19 백신 안전성 위원회」를 의학 분야의 최고 석학들의 기관인「대한민국 의학한림원」을 중심으로 구성하여 백신 접종과 이상반응에 대한 조사·분석 및 안전성 검토를 실시한다.

 

- 위원회는 국외 이상반응 조사, 연구현황 분석과 함께 국내 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신고된 건강문제에 대해 적극적, 능동적으로 분석·검토하고, 이를 통해 백신의 안전성을 분석한다.

 

- 추진단은 이를 통한 과학적 근거를 인과성 평가에 반영하고, 의료계 및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 또한,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심의의 객관성과 독립성을 확보하여 국민의 신뢰를 제고하고, 신속한 피해보상을 추진한다.

 

-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위원 중 정부위원을 백신 민간 전문가로 대체(1→3명) 등 위원회의 인적 구성을 개편한다.

 

- 피해보상 이의신청 사례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를 위하여 관련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분야별 전문가 자문팀(가칭)’을 운영한다.

 

○ 아울러, ‘21년 신설하여 시행 중인 인과성 근거자료 불충분 환자의 의료비 지원을 ’22년에도 지속하고, 그 한도를 1천만 원에서 최대 3천만 원(이상반응 발생일로부터 1년 이내)으로 확대 추진*(이전대상자에 대해서도 소급적용)하여 예방접종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 현재, 관계부처와 협의 마무리 단계이며, 국회 예산 심의를 통해 최종 확정 예정

○ 한편, 현재 국내 이상반응 사망 신고율은 영국보다 낮고 일본과 동일수준이나, 피해보상 인정 건수는 10월 25일 기준 2,287건으로 미국(1건), 일본(66건), 싱가폴(144건)에 비해 적극적인 피해보상이 이뤄지고 있다.

 

? [접종기관 운영개편 방안]

 

○ 18~49세 연령층의 2차접종이 마무리되고, 11월 이후 접종대상 규모 감소에 따라 백신 등의 효율적인 활용에 어려움이 많아지고 있다.

 

○ 이에, 접종기관의 운영 상황과, 11월 이후 접종에 필요한 역량을 면밀하게 파악하여 의료진의 소진을 사전에 방지하고, 방역 및 접종의 적절한 배분 및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접종기관의 운영을 개편하고자 한다.

 

① 예방접종센터는 11월부터 단계적으로 운영을 종료하여 의료 인력을 재배치하되, 위탁의료기관이 부족하거나 접근성이 떨어지는 등 공익적 사유가 있는 지자체는 올해 말까지 센터 기능을 유지한다. 

 

- 운영이 종료되는 예방접종센터의 종료일자 이후 예약자는 위탁 의료기관으로 예약을 조정하여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며, 백신 잔량과 초저온 냉동고는 인근 보건소 또는 보건지소로 이관하여 활용하고자 한다.

 

② 위탁의료기관은 요일제 운영을 통하여 분산된 접종인원의 집중을 유도하여 의료기관의 기본업무를 수행하고, 백신 폐기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 11월부터는 의료기관이 코로나19 예방접종 예약 가능일을 주 3일 이내에서 선택하도록 하였으며, 요일제를 시행하기 전 이미 예약을 완료한 대상자는 요일제와 관계없이 예약한 날짜에 접종이 가능하다.

 

□ 보다 상세한 내용은 별첨 <코로나19 예방접종 11~12월 시행계획>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을 위한 예방접종 참여 당부

 

□ 정은경 단장은, 성인 접종이 마무리되어 가는 시점에서 성숙한 시민의식과 공동체에 대한 책임의식을 바탕으로 접종에 참여해준 국민들에게 거듭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 또한, 높은 접종률과 낮아진 중증사망 위험을 바탕으로 보다 안전하고 준비된 단계적 일상회복을 위해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 아울러 단계적 일상회복에 따라 감염 및 중증사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는 어르신 등 고위험군은 기본접종 및 추가접종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주실 것을 거듭 당부했다.

 

○ 특히, 최근 들어 요양병원, 요양시설 집단 감염이 증가함에 따라 고령층의 위중증 환자 비율이 높으므로, 어르신 등 고위험군은 추가접종까지 꼭 받아주시기 바란다.

 

□ 한편, 코로나19 예방접종 의료기관에서는 모더나 백신의 추가접종 용량이 기본접종과 상이함에 따라, 접종 전 대상자, 백신 종류 및 접종 차수 등을 철저히 확인하여 안전한 접종을 실시하도록 만전을 기할 것을 요청드린다.

 

 

<붙임> 1. 코로나19 백신 안전성 위원회 구성·운영 (안)

2. 코로나19 예방접종 미접종자 접종 안내문

 

<별첨> 코로나19 예방접종 11~12월 시행계획

붙임 1 코로나19 백신 안전성 위원회 구성ㆍ운영 (안)

 

□ 인과성 평가근거 보강 및 소통 강화

 

ㅇ (전담기구 구성) <(가칭)코로나19 백신 안전성 위원회>(전문가 약 20명)를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중심으로 신설, 접종-이상반응 간 인과성 평가의 객관성과 전문성 보강

 

ㅇ (평가근거 보강) 국외 이상반응 조사, 연구현황 분석과 함께 국내 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신고된 건강문제에 대해 분석·검토하고, 이를 통해 백신의 안전성 분석하여 인과성 평가기준 마련

 

ㅇ (소통 강화) 백신의 안전성, 백신-이상반응 간 인과성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신속·투명하게 분석결과를 제공하여 접종 불안 해소 

 

 

<코로나19 백신 안전성 위원회 구성(안)>

 

코로나19 백신 안전성 위원회

 

행정집행부

 

 

 

역학분과 임상분과 소통분과

 

중증이상반응 신경 및 순환계 국내외 전문가포럼

 

 

특별관심이상반응 혈액 및 면역체계 언론 및 국민소통

 

 

취약연구집단 백신 및 감염

 

 

신고감시자료 소아청소년

 

 

임신부

 

붙임 2 코로나19 예방접종 미접종자 접종 안내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