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제1차관,‘친환경(그린)수소 중개연구단’현장 방문-㈜테크로스(기술이전 기업) 수소시험센터 개소식 참석 및 현장의견 청취
부서 연구성과일자리정책과
과기정통부 용홍택 제1차관,
‘친환경(그린)수소 중개연구단’현장 방문
- ㈜테크로스(기술이전 기업) 수소시험센터 개소식 참석 및 현장의견 청취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김종남, 이하 ’에기연‘), ㈜테크로스(대표 박석원) 및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원장대행 신경호)은 과기정통부의 ’공공연구성과 활용 촉진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에기연의 그린수소 생산기술 연구성과가 ㈜테크로스로 기술이전*되었고, 본격 개발을 위해 ㈜테크로스에서 수소시험센터를 설립·개소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 기술이전 : (에기연→(주)테크로스) ‘고효율 수전해 스택 설계 기술에 관한 특허 및 노하우’(기술료 5억원, ’21.6.11)
ㅇ ㈜테크로스는 “에기연으로부터 기술이전 받은 공공연구성과에 대한 실용화·검증·성능향상을 통해 친환경 지속 성장동력으로 본격 개발하여 전 세계적인 친환경(그린)수소 에너지 가치사슬을 구축하겠다”라는 포부를 밝혔다.
□ 과기정통부의 ‘공공연구성과 활용 촉진연구개발’ 사업은 대학이나 출연(연)의 상업적 잠재력이 있는 실험실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시장의 수요에 맞게 실용화하는 연구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ㅇ 에기연은 ’21년도 ‘공공연구성과 활용 촉진연구개발’ 사업 ‘친환경(그린)수소 중개연구단’의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되어 3년간 총 84억원의 정부 연구개발 예산을 지원을 받을 계획이다.
□ 에기연 김종남 원장은 “‘공공연구성과 활용 촉진연구개발’ 사업은 공공연구성과의 기술실용화를 위한 최적의 사업으로, 성과를 보유한 공공영역과 실용화시키는 시장 모두를 만족시키는 사업이다. 이번 ㈜테크로스의 수소시험센터 개소가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이며, 에기연은 ‘친환경(그린)수소 중개연구단’을 대표로 우리나라를 ‘탄소중립 선도 국가’, ‘친환경(그린)수소 선도 국가’로 만들어 국가 위상 제고와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겠다”라는 강한 의지를 보였다.
□ ㈜테크로스 박석원 대표는 “우리는 선박평형수 처리 분야에서 지난 20여 년간 축적된 전기분해 기술로 세계 1위를 달성했다. 이러한 전문 노하우와 당사의 국제연결망(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에기연과 협력하여 국내 친환경(그린)수소 수전해 시장에서 반드시 국산화를 달성하고, 세계적인 친환경(그린)수소 에너지 가치사슬을 구축하겠다”라는 자사의 전망을 확신있게 밝혔다.
* 선박평형수 관련 해외 지사 5개(미국, 네덜란드(EU), 사이프러스, 싱가포르, 일본), 해외 고객서비스(A/S)망(11개국 17개 Agent) 및 해외 판매망(21개국) 구축
□ 용홍택 제1차관은 “친환경(그린)수소 기술과 같은 우수한 공공연구성과가 ㈜테크로스와 같은 혁신 기업에 이전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하고, “친환경(그린)수소를 본격적으로 사업화하기 위한 수소시험센터의 개소를 축하한다”고 말했다.
ㅇ 또한 “친환경(그린)수소 분야의 기술사업화를 위한 연구자․수요기업들의 노력과 헌신에 감사드리며, 성공적인 기술사업화를 위해 앞으로도 긴밀히 협력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참고 1 공공연구성과 확산 연구현장 방문·점검 계획(안)
□ 추진목적
□ 방문·점검 개요(안)
◇ ‘친환경(그린)수소 생산 중개연구단’은 ‘탄소중립 중개연구단’으로
‘재생에너지 직접 연계형 수전해 확장형 모듈 기술개발’이 목표
· 연구단 구성 : 4개 세부과제와 1개 기술실용화 지원과제
· 참여기관 : (주관)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기(연)), 순천향대학교, 단국대학교
· 수요기업 : ㈜테크로스, ㈜보야스에너지, ㈜네이션스, ㈜수경화학
ㅇ (일시/장소) 2021.10.28.(목), 14:30~16:30 / ㈜테크로스* 수소시험센터(화성)
* 제1세부과제(에기연 주관) 수요기업
ㅇ (주최/주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ㅇ (참석자) 과기정통부 1차관, 에기(연) 원장, 사업책임자(친환경수소 생산 중개연구단장 및 책임자), 수요기업 대표 등
ㅇ (주요 프로그램) ㈜테크로스 수소시험센터 개소식, 중개연구단 현황 점검 및 현장 방문(㈜테크로스 수소시험센터), 현장의견 청취·격려 등
시 간 세 부 일 정 비 고
14:30∼14:45 15‘ 도착·환담 ‣ 중요인물환담(차관, 원장, 수요기업 대표 등) 4동 회의실(2층)
14:45∼15:35 50‘ 개소식 ‣ 수소시험센터 개소식(30‘) 테크로스 진행
및 ▪개소 테이프 색줄자르기(기념촬영)(10‘) (3동 현관 및
시설 방문 ▪개식 선언 및 내빈소개(5‘) 스택검증실)
▪축사(차관님, 원장님, 수요기업 대표)(10‘)
▪㈜테크로스 수소시험센터 소개(5‘)
‣ 수소시험센터 내부 시설 시찰(20‘)
15:35∼16:20 45‘ 연구단 ‣ 중개연구단 현황 보고 및 현장 소통 에기연 진행
점검 및 ▪친환경(그린)수소 생산 중개연구단 현황 보고(10‘) (스택검증실)
현장소통 ▪친환경(그린)수소 분야 기술실용화를 위한 토론 및
의견 청취(35‘)
16:20∼16:25 5‘ 맺음말씀 ‣ 차관님 맺음말씀 차관님
16:25∼16:30 5‘ 환송 ‣ 인사 및 환송(기념촬영 포함) 참석자
참고 2 공공연구성과 중개연구 개요
□ 중개연구 개요
ㅇ (개념) 기본 발견 단계를 지나 실험실의 아이디어를 시장의 수요에 맞게 실용화 시키는 연구로 시작품 제작, 개념 증명 시험 등을 수반
※ 중개연구(Tranlsational Research) 지원 내용 : ①상업적 잠재력이 있는 연구성과 발굴, ②시장 가치있는 초기기술 개발 지원, ③연구기관과 민간의 협력 촉진, ④혁신생태계 구축, ⑤경영·사업 자문 ((Partnerships for Innovation(PFI), 미 NSF)
ㅇ (관련 현황) 과기정통부는 부처 특성상 기초연구 지원 성격이 강하여 연구과정이 대부분 기술성숙도(TRL) 4단계 정도에서 끝남
-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성숙도 7단계 이상을 지원하는 산업부 등에서 원천연구 성과물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술격차* 문제 해소가 절실
* 대량생산 과정의 수율향상, 공정개선 등 규모확대(Scale-up)을 위한 후속연구 등
- 미성숙된 연구개발 결과물이 실용화연구로 가는 중간단계 가공의 필요성 존재 ➡ ‘기술격차를 해소하는 중개연구(후속연구개발) 개념 도입’
< 원천기술 중개연구 추진 프로세스 >
참고2-1 에기연 ‘친환경(그린)수소 생산 중개연구단’ 사업 개요
□ 연구단명 : 친환경(그린)수소 생산 중개연구단(탄소중립 중개연구단)
□ 연구책임자 : 조원철 박사(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최종목표 및 연구내용
ㅇ (최종목표) 재생에너지 직접 연계형 수전해 확장형 모듈 기술개발
ㅇ (연구내용)
- 250kW급 저전력 소모의 고효율, 고내구성 재생에너지 직접 연계형 수전해 확장형 모듈 기술개발
- 고효율 Ni-based 3원계 OER 촉매 개발 및 촉매 대량 생산 절차(프로세스) 설계 및 개발
- 이원계 니켈 합금 활물질 코팅(전기화학 도금/스퍼터링) 최적화 및 250kW급 수전해 모듈 적용을 위한 대면적 전극 스케일업(50cmx50 cm, 2,500cm2)
- 높은 수소차단성·고성능·고내수 대면적 분리막 기술 개발(60cmx60cm, 3,600cm2)
□ 세부과제 구성 및 추진체계
ㅇ (과제구성)
ㅇ (추진체계)
참고2-2 ㈜테크로스 수소시험센터 개요 및 구축 현황
□ 수소시험센터 개요
ㅇ (목적) 청정 친환경(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 핵심소재 부품, 장치 개발, 친환경(그린) 수소생산 기술 국제 사업화 기반 구축
ㅇ (업무) 전극, 분리막 대면적화 양산기술 확보, 10MW급 시스템 최적 설계 등 주요 핵심 소재부품 국산화 및 세계 최고기술 구현
ㅇ (향후 기대효과)
- 친환경(그린)수소 생산 자립화 중개연구단 소재/부품/장치 상용화 개발, MW급 수전해 상용기술 확보를 통한 2030년 이내 세계 일류(top tier) 진입과 기술수출을 통한 국가 기술적 위상 제고
- 국내 온실가스 총배출량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5위(2018년 기준, 7억 2,760만톤), 기상이변 등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2050 탄소 중립 대본(시나리오)’에 부합하는 친환경(그린) 수소생산 기술 확보
□ 구축 현황
ㅇ‘21년 9월 전체 시험 및 시험장비 기반 구축(시스템 최대 0.5MW급)
※ (위치) 경기도 화성시 송산동 202 – 68 (면적) 670m2(지상 1층)
<수소시험센터 조감도>
참고2-3 ㈜테크로스 기업 현황
□ 기업 개요 및 연혁
기업명 ㈜테크로스 대표자명 박석원 대표
업종 제조업 설립일자/기업형태 ‘00.5월 / 중소기업
종업원수 216명 누리집 techcross.com
해외지사현황 미국, 네덜란드(EU), 사이프러스, 싱가포르, 일본
□ 주력 사업 및 개발 파이프라인
ㅇ (주력사업) 선박평형수* 처리 장치 개발(BWMS**)
* 선박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해수(해양오염의 주요 원인), 국제해사기구(IMO) 선박평형수 관리법 발효(2017.9월)로 모든 선박은 오염물 처리 장치 장착 필요
** BWMS(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 : 선박평형수 처리 장치
ㅇ (개발 파이프라인)
- 선박평형수의 직접식 전기분해(ECS : Electro-CleenTM System)
- 선박평형수의 간접식 전기분해(ECS-HYCHLOR : ECS-HYCHLORTM System)
- (중개연구지원사업) MW급 수전해 상용기술 확보⇒2030년 이내 세계 일류(top tier) 진입 목표
· ‘21년 9월 시험 장비 개발기반 구축(시스템 최대 0.5MW급)
ㅇ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시장 점유율) 세계 1위
- (시장 점유율) 테크로스 18%. ERMA FIRST 16%, Sunrui 11%, Qingdao Headway 10%, 기타 45% (클락슨리서치 2021.08)
- (’20년 매출액) 2,393억원 (영업이익 356억원/결산)
ㅇ (각종 수상 현황) 장영실상, 국가녹색기술대상, 신기술실용화대통령상, 장보고 대상, 대한민국 친환경 대상, 벤처천억기업 등
□ 중개연구지원 사업 기술수요
❚ 기술 수요
◦ 250kW급 재생에너지 직접 연계형 수전해 확장형 모듈 스택 기술개발
- 기술이전 1 (고효율 수전해 스택 설계 기술): 5억원(‘21.6.11) 계약 체결 완료
- 기술이전 2 (25kW 개발성공시): 15억원(기술이전확약서 제출)
- 기술이전 3 (250kW 개발성공시): 25억원(기술이전확약서 제출)
참고2-4 친환경(그린)수소 관련 에기연 기술이전 현황
① 친환경(그린)수소 생산 중개연구단 고효율 수전해 스택 설계 기술에 관한 특허 및 비법(노하우)
○ 수행기관/연구책임자 : KIER / 조원철 박사
○ 수요기업 : ㈜테크로스 (’2000.5월 설립 /대표 박석원) (재생에너지 연계형 알칼라인 수전해 스택)
○ 세부과제명 : 재생에너지 직접 연계형 수전해 확장형 모듈 스택 기술 개발 (과기부, COMPA)
○ 연구목표
- 재생에너지 직접 연계형 알칼라인 수전해 스택 모듈 개발 (100 셀, 2,500 cm2) (수전해 스택 핵심 소재 및 부품)
- 핵심 소재 및 부품 신뢰성 향상 기술 개발
○ 기술이전 기술(특허명)
- 션트전류 해소를 위한 가압형 수전해 셀 프레임
- 술폰화된 폴리프로필렌 메쉬 지지체를 이용한 수전해 다공성 격막 및 이의 제조방법
○ 사업성과
기술명 계약금액(천원) 체결일
고효율 수전해 스택 설계 기술에 관한 특허 및 노하우 500,000 `21.06.11
○ 기대성과 :
- 알칼라인 수전해 스택 국산화 기여
- 재생에너지 연계형 그린수소 생산 시장 선점
'판교핫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관 데이터 플랫폼 발전협의체 1차 회의 개최 (0) | 2021.10.28 |
---|---|
인공지능 지역확산 추진방향 발표 (0) | 2021.10.28 |
인공지능 법제정비단, 두 번째 대국민 논의의 장 마련 (0) | 2021.10.28 |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성과제고를 위한 혁신활동을 견인한다-‘2022년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실시계획’수립 (0) | 2021.10.28 |
제34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 개최 (0) | 2021.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