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참여 뉴딜펀드」가 11월29일(월)부터 2주간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판매됩니다.
담당부서 : 뉴딜금융과 2021-11-25
제 목 : 「국민참여 뉴딜펀드」가 11월29일(월)부터 2주간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판매됩니다.
◈ 11월29일(월)부터 2주간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800억원 규모 「국민참여 뉴딜펀드」 2차분 판매(16개 은행·증권사 및 온라인 출시)
◈ 12월중 국민자금(800억원)과 정부재정(200억원)으로 1,000억원 규모의 「국민참여 뉴딜펀드」 결성 예정
1
추진 경과
□ 금융위와 뉴딜펀드 주관기관(산업은행·성장금융)은 지난 9월9일 「국민참여 뉴딜펀드」 추가조성 계획을 발표*하였고,
* ’21.9.9일자 보도자료 「국민참여 뉴딜펀드를 추가로 조성하여 뉴딜펀드 투자 성과를 국민과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ㅇ 위탁운용사 모집공고(9.10일 공고 → 10.29일 6개 운용사 선정*) 등 펀드 추가조성을 위한 관련 절차를 진행하였습니다.
* 디에스, 멀티에셋, 밸류시스템, 신한, 에이원, 파인밸류
2
주요 내용
▸ (판매규모) 일반국민 대상 800억원 판매
▸ (판매일정) 11.29일(월)∼12.10일(금) 2주간. 단, 800억원 물량 소진시 조기마감
▸ (판매사) ⑴은 행(5):국민은행,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⑵증권사(7):DB금투, 신한금투, IBK투자증권, KB증권, 하나금투, 한화증권, 현대차증권
⑶온라인(2):키움증권, 한국포스증권
⑷현장·온라인 병행(2):유안타증권, 한국투자증권
▸ (가입한도) 1인당 최저 가입한도 0∼1백만원 사이, 1인당 최고 가입한도 3억원 이하에서 판매사 자율결정(판매사별 개별 확인 필요)
▸ (환매가부) 4년간 중도환매 불가.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는 가능하나 비활성화
▸ (보수·수수료) 연 1%대 후반(온라인 1%대 중반)으로, 판매사별 상이(펀드 가입시 확인 필요)
□ (펀드출시) 800억원 규모의 펀드상품은 11월29일(월) 출시되어,
ㅇ 12월10일(금)까지 2주간(물량 소진시 조기마감*) 16개 은행·증권사 및 온라인을 통해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판매될 예정입니다.
* 지난 3.29일 출시된 「국민참여 뉴딜펀드」 1차분(1,400억원 규모)은 당초 3주간 판매할 예정이었으나, 출시 후 일주일만에 조기마감
□ (결성·투자) 이번 펀드상품 출시를 통해 모집될 국민자금 800억원과 재정 200억원으로 1,000억원 규모의 펀드가 결성되며,
ㅇ 12월중 7개 자펀드에 출자*되어 6개의 자펀드 운용사가 뉴딜분야(디지털·그린) 기업에 대한 투자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 재정 200억원은 펀드에 후순위 재원으로 출자되어 위험을 우선분담
< 「국민참여 뉴딜펀드」 2차분 구조도 >
3
향후 일정
□ 「국민참여 뉴딜펀드」는 12월 결성시점부터 2년간 뉴딜분야를 영위하는 상장 또는 상장예비기업에 투자하게 되며, 투자자금 회수시 펀드상품에 가입한 국민들이 수익을 공유*하게 됩니다.
* 「국민참여 뉴딜펀드」의 주요 투자분야인 메자닌 등에 대한 투자는 대체로 만기시점(4년후)에 투자자금이 회수되면서 수익이 실현되므로, 초기 수익률은 높지 않음
□ 아울러, 펀드가 판매된 이후 2차 조성분을 운용할 운용사의 펀드매니저가 국민자금의 투자현황과 운용전략 등을 국민들에게 직접 영상을 통해 주기적으로 소개*해 드릴 예정입니다.
* 1차분 영상은 旣 진행(7.13∼11.9, 9개사)하였으며, 격주로 영상 게재(유튜브 금융위TV)
☞ 본 자료를 인용 보도할 경우 출처를 표기해 주십시오.
금융위원회 대 변 인
prfsc@korea.kr
“혁신금융, 더 많은 기회 함께하는 성장”
참고1
「국민참여 뉴딜펀드」 주요 Q&A
1. 2차 출시분의 1인당 가입한도는?
ㅇ 1인당 ➊최저 가입한도는 0∼1백만원 사이에서, ➋최고 가입한도는 3억원 이하에서 판매사가 자율적으로 정하도록 하였으므로, 1인당 가입한도는 판매사별 개별 확인 필요
2. 2차 출시분의 온라인 펀드가입 방법은?
ㅇ 2차 출시분의 온라인 가입은 4개 증권사*를 통해 가능하며, 그 외의 판매처는 지점에 직접 방문하여 가입이 가능
* (온라인 판매사) 유안타증권, 키움증권, 한국투자증권, 한국포스증권
3. 「국민참여 뉴딜펀드」의 예상 수익률은?
ㅇ 「국민참여 뉴딜펀드」는 올해 첫 출시된 펀드로 투자분에 대한 회수시점에 수익이 실현*되며, 메자닌 등에 대한 투자는 대체로 만기 시점(4년후)에 투자자금이 회수됨
* 투자자금 회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초기에는 수익률은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
4. 2차 출시분의 보수 수준은?
ㅇ 금번 2차 출시분의 보수*는 연 1%대 후반(온라인 1%대 중반)으로 예상되며, 판매사별로 상이하므로 펀드 가입시 확인 필요
* ➊판매보수 + ➋공모펀드 운용보수 + ➌자펀드(사모펀드) 운용보수로 구성
5. 중도환매를 통한 투자자금 회수 가능성은?
ㅇ 4년간(펀드결성일부터 46개월) 폐쇄형으로, 중도환매는 불가*
* 다만, 폐쇄형 상품은 거래소에 상장되므로 거래할 수는 있으나, 유동성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매매가 사실상 어려울 수 있음
※ (참고) 「금융소비자보호법」에 따른 청약철회 대상 상품에 해당하지 않음
참고2
「국민참여 뉴딜펀드」 1차분 결성·투자현황(10월말 기준)
□ (결성액) 2,019억원*
* 총 9개 운용사, 10개 자펀드 결성(’21.4.21일)
□ (투자액) 1,474억원(집행률 73%) ※ 11.19일 기준 수익률 +2.05%
⑴ (뉴딜분야*) 그린 872억원(59.2%), 디지털 521억원(35.3%), 기타 81억원(5.5%)
* 40개 뉴딜분야 중 첨단영상진단, 능동형컴퓨팅, 환경보호 등 분야에 투자
※ 「국민참여 뉴딜펀드」 주요 투자사례
➊ (첨단영상진단디지털/인공지능 원격영상진단) A사 :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파킨슨, 뇌졸중, 치매 등의 뇌신경질환 진단 솔루션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기업
➋ (능동형컴퓨팅디지털/인공지능) B사 :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을 기반으로 마케팅, 비대면 상담, 디지털 트윈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기업
➌ (환경보호그린/폐자원에너지) C사 : 음식물쓰레기, 하수슬러지, 축산분뇨 등을 재활용·재순환하여 바이오가스 기반 재생에너지를 생산·판매하는 재생에너지 전문기업
⑵ (기업유형) 중소기업 1,097억원(74.4%), 중견기업 377억원(25.6%)
⑶ (투자지역) 수도권 1,005억원(68.2%), 비수도권 469억원(31.8%)
⑷ (투자종목) 메자닌 1,062억원(72.0%), 주식 412억원(28.0%)
* 상장사 1,085억원(74%), 비상장사 389억원(26%)
< 「국민참여 뉴딜펀드」 분야별 투자비중* >
뉴딜분야별 비중
기업유형별 비중
투자지역별 비중
투자종목별 비중
* 10월말 기준 투자현황이며, 향후 투자액이 증가함에 따라 분야별 투자비중은 변동 가능
'판교핫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양시설 코로나19 백신 추가접종 집중 실시 (0) | 2021.11.26 |
---|---|
2021년 제25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개최 (11.25) (0) | 2021.11.26 |
옵티머스자산운용㈜에 대한 금융투자업 인가·등록 취소 및 신탁계약 인계명령 (0) | 2021.11.26 |
우대금리 금융상품 가입시 소비자 유의사항-소비자경보 “주의”발령 (0) | 2021.11.26 |
기획재정부,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최초 인도 사업 승인 (0) | 2021.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