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 거시경제금융 점검회의 결과
2021.11.29.
제목: 기획재정부 거시경제금융 점검회의 결과
1. 회의 개요
□ `이억원 제1차관은 11.29일(월) 08:30, 기획재정부 내 거시경제금융 관련부서* 및 국제금융센터 등이 참여하는 거시경제 금융 점검회의를 개최하였음
* 기획재정부 자금시장과, 국제금융과, 외화자금과, 국채과
ㅇ 금일 회의에서는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발생에 따른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방향 등을 논의하였음
2. 주요 논의내용
□ 최근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발생에 따라 국내외 주가가 하락하고 환율(원/달러)이 상승한 가운데
ㅇ 그간 상승세를 보이던 금리와 국제유가가 크게 하락하는 등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
* 11.26일 중 주요 지표 변동(美S&P500)△2.27 (유럽)△4.74, (中상해)△0.56, (日니케이)△2.53, (코스피)△1.47(원/달러 환율)+3.1원, (달러인덱스)△0.70% (美국채10년물 금리)△16bp (韓국채10년물 금리)△9bp (WTI)△13.1%[78.4→68.2($/b)]
ㅇ WHO가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를 알파‧베타‧감마‧델타에 이어 다섯 번째 우려변이(Variant of Concern)로 지정한 가운데
▪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미국, EU 등 주요국이 남아공 및 인접국가 등에 대한 입국 제한 조치를 시행하는 등 글로벌 차원에서 오미크론 확산 차단을 위한 대응과 함께
* 오미크론 발생·인접국가 아프리카 8개국을 방역강화국가·위험국가·격리면제 제외국가로 지정
▪ 국제금융시장에서의 위험회피가 강화되고, 투자심리가 위축됨에 따라 우리 금융시장도 일정부분 영향을 받는 모습
□ 이억원 차관은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 추이와 위험성 등에 대한 명확한 분석이 나오기 전까지는*
ㅇ 정보부족으로 인해 단기적으로 오미크론이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확대시킬 수 있는 불확실성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평가하면서도
* (11.26일, WHO)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 연구가 진행 중
(11.26일, UN) WHO COVID 19 thechnical lead Dr. Maria Van Kerkhove:“오미크론 변이의 파급력을 이해하는 데까지 수주가 소요될 것”
ㅇ ❶과거 재확산기에 나타난 우리 금융시장의 복원력과, ❷글로벌 차원에서 코로나에 대응한 방역․의료 체계의 개선, ❸비대면 근무와 온라인 소비 확산 등 경제활동 측면에서 코로나 확산에 대한 충격 완충능력이 높아진 점 등을보다 종합적이고 차분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함
❶ 우선 우리 금융시장은 과거 코로나 재확산 시에도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충격에서 회복1」되는 복원력을 보인 바 있음
* ‘20.8~9월(2차 확산) ’20.11~‘21.2월(3차 확산): 주가 하락‧환율 상승 후 1~2주 내 충격 전 수준 회복
❷ 코로나 바이러스 등장 이후 글로벌 차원에서 방역․의료(백신, 치료제) 대응 체계가 지속 확충․강화
* 화이자, 모더나 등 주요 백신 제조사의 오미크론 관련 데이터 확보, 시험 진행 등 신속한 오미크론 대응 착수 등 보도(11.26일 CNBC)
❸ 경제활동 측면에서도 비대면 근무1」와 온라인 소비 확산2」 등 코로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적응력도 높아진 상황
1」 근로형태별 부가조사의 유연근무제 중 재택 및 원격근무 활용 비중(통계청):(‘19.9월)4.3%, (’20.9월)17.4%, (‘21.8월)32.3%
2」 소매판매액 중 온라인 상품 거래액 비중(통계청):(‘19.9월)21.4%, (’20.9월)26.4%, (‘21.9월)27.6%
□ 이억원 차관은 오미크론 변이의 등장에 따라 글로벌 국제 금융시장에서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상존하는 만큼,
ㅇ 오미크론 변이가 경제․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점검하면서 변이 바이러스와 국내외 금융시장에 대한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가동해 가고
ㅇ 특히, 금융시장별․상황별 시장안정 조치수단을 보다 꼼꼼히점검해 가는 한편, 필요시에는 관계기관과 함께 선제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임을 강조하였음
□ 정부는 앞으로도 거시경제금융회의 등을 통해 관계부처ㆍ기관*과 긴밀히 소통하며 국내외 경제ㆍ금융상황에 대응해 나갈 예정임
*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국제금융센터
기획재정부 대변인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77 정부세종청사 4동 moefpr@korea.kr
'판교핫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권 운영 지점‧ATM 정보제공 모바일 앱 서비스 개시-11.29일부터 전 금융기관의 지점 및 ATM의 세부정보를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0) | 2021.11.29 |
---|---|
기술금융 체계의 신뢰성을 높여 기술력, 미래성장성 높은 중소기업을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하겠습니다. (0) | 2021.11.29 |
11월분 상생소비지원금 캐시백 2,583억원 발생 (0) | 2021.11.29 |
소부장 강소기업100+ 프로젝트 20개 사 추가 선정 (0) | 2021.11.29 |
중신용 집합금지·영업제한·경영위기업종도 특례보증 지원 (0) | 2021.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