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운영 지점‧ATM 정보제공 모바일 앱 서비스 개시-11.29일부터 전 금융기관의 지점 및 ATM의 세부정보를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1-11-29 담당부서은행과
제 목 : 금융권 운영 지점‧ATM 정보제공 모바일 앱 서비스 개시
-11.29일부터 전 금융기관의 지점 및 ATM의
세부정보를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금융권이 운영 중인 지점‧ATM(현금자동인출기)의 위치, 운영시간, 제공서비스 등을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금융맵(“금융대동여지도”) 서비스가 11월 29일 개시되었습니다.
◦ 금융맵은 은행, 비은행예금취급기관(우체국,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증권사, 자동화기기 사업자 등 범 금융권의 지점‧ATM 관련 최신 정보를 통합 제공하고,
◦ 위치 등 기본사항 이외에도 제공서비스, 수수료, 폐쇄 정보, 장애인 지원기능 등 다양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며, 검색 기능도 이용 가능합니다.
◈ 금융맵 서비스 제공을 통해 그동안 지점‧ATM 정보가 통합 관리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던 금융소비자들의 금융접근성 및 이용편의성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은 금융소비자의 금융접근성 제고 및 현금이용 편의성 등 금융포용 확대를 위해 금융권과 함께 지속 노력해 나갈 계획입니다.
1 추진배경 및 경과
□ 디지털 금융의 확산으로 지점과 ATM이 감소하는 추세 속에서 금융소비자들의 현금이용 편의성 및 금융접근성을 높이고 금융기관 지점‧ATM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ㅇ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은 금융권과 공동으로 지난해부터 지점‧ATM 정보를 통합한 데이터베이스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앱 서비스의 구축‧개발을 진행해 왔습니다.
논의 경과
➊ 「금융포용 측면에서의 ATM 운영 개선 추진」 : 한국은행(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 금융포용위원회), 금융위원회, ‘20. 7월~
➋ 「금융권 지점 합리화 추진 T/F」 : 금융위원회, ‘20. 11월~
➌ 금융위원회·한국은행 추진사항을 연계하여 「금융권 공동 협의체」 구성, 금융MAP DB 및 API 검토 : 금융결제원, ‘21. 1월~
2 주요 내용
이용방법
□ 금융맵 서비스는 금융결제원에서 제공 중인 기존의 ➊어카운트인포 앱, ➋모바일현금카드 앱*을 다운로드 받아 이용 가능합니다.
* 계좌정보통합관리 서비스인 어카운트인포 앱은 ATM과 지점 정보 모두를 제공하며, ATM 이용을 위한 모바일현금카드 앱은 ATM 정보를 제공
ㅇ 또한, 데이터 공유 및 활용이 가능하도록 API*를 구현하여, 향후 개별 금융기관 앱이나 지도 앱 등에서도 금융맵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제공정보
? 통합된 정보의 제공 은행, 비은행예금취급기관, 증권사, 자동화기기운영자(CD VAN사) 등 범 금융권 정보를 한 번에 제공
□ 은행, 비은행예금취급기관*, 증권사, 자동화기기사업자(CD VAN사) 등 총 38개 기관이 참여하여,
* 우체국, 상호저축은행, 신협, 새마을금고, 농‧수협중앙회, 산림조합
ㅇ 범 금융권의 통합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API화하고 전국의 지점, ATM 정보를 한 번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다양한 정보의 제공 제공서비스, 폐쇄예정 및 대체지점, 휠체어 공간확보 여부 등 지점/ATM별 특성정보를 함께 제공
□ 위치, 운영시간 등 기본 정보 외에도, 개별 지점과 ATM의 특성정보*를 함께 제공하며,
* 제공서비스, 수수료, 폐쇄예정 시 관련내용(폐쇄 예정일 및 대체지점), 장애인지원 등
ㅇ 특정 조건을 입력하여 이에 부합하는 지점‧ATM을 찾는 검색기능도 제공됩니다.
제공 세부정보
ATM 운영시간, 제공서비스(입출금, 통장거래, 현금서비스, 모바일현금카드, 공모주 청약 등), 수수료, 지원언어, 제휴기관 정보,
장애인 지원기능(점자표시, 화면확대, 이어폰잭, 휠체어공간)
지점 운영시간, 전화번호, 폐쇄 예정정보 및 대체지점,
지점 특이사항(외국인근로자 특화점포, 무인점포, PB 전담 등)
제휴기관 정보, 휠체어 고객 이용가능 여부
이용 예시
사례 1 급하게 현금을 인출해야 할 일이 있었는데 휠체어를 타고 방문할 수 있는 가까운 ATM을 앱을 통해 바로 찾을 수 있었습니다.
사례 2 기존에 방문하던 은행 지점의 폐쇄 예정일과 대체지점 정보 및 가까운 타 지점 등의 정보를 한 눈에 알 수 있었습니다.
? 정확한 정보의 제공 매일 1회 자동 업데이트를 통한 적시성 있는 정보 제공
□ 금융맵 서비스에서는 지점‧ATM의 정보가 매일 업데이트 되어 정확한 최신정보가 제공됩니다.
ㅇ API를 통해 전국 지점과 ATM이 매일 1회 자동 업데이트 되어 적시성 있는 정보 제공이 가능해졌습니다.
3 기대효과 및 향후 계획
□ 그간 지점‧ATM 정보가 통합 관리되지 않아 이용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ㅇ 이번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금융맵(“금융대동여지도”) 서비스 개시로 국민의 지점‧ATM 접근성 및 이용 편의성이 제고되는 한편,
ㅇ 금융권의 효율적인 지점‧ATM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앞으로도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은 금융소비자의 금융접근성 제고 및 현금이용 편의성 등 금융포용 확대를 위해 금융권과 함께 지속 노력해 나갈 계획입니다.
ㅇ 금융소비자의 의견 청취를 통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고도화*하여 국민 누구나 쉽게 볼 수 있는 “금융대동여지도”를 완성해 나가겠습니다.
* (예시) ①서민금융진흥원 등 금융유관기관의 정보 제공, ②특판상품, 이벤트정보, 방문예약 등 지점 부가정보‧서비스 추가 제공
ㅇ 또한 수집된 ATM 데이터 분석 등을 바탕으로 은행권과 함께 ATM 운영 공조방안을 논의하고, 지점‧ATM 대체인프라 활성화 등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 본 자료를 인용 보도할 경우 출처를 표기해 주십시오. 금융위원회 대 변 인
http://www.fsc.go.kr prfsc@korea.kr
첨부 1 금융맵 이용 방법(예시)
1. ATM
앱 실행 화면 서비스 메인 화면
어카운트인포 앱 실행하여 하단
‘지점/ATM 한눈에’ 조회하기 선택
모바일현금카드 앱 실행하여 하단 장소, 주소, 은행명으로 정보조회
‘ATM 위치 안내’ 조회하기 선택 (기본설정은 내위치 주변)
세부 조회 화면 조건 검색 화면
지도에서 선택한 ATM 세부정보를 표시 원하는 조건의 ATM을 검색
(길찾기기능 제공) (특정은행, 지원언어, 휠체어 이용가능, 지원서비스 등)
2. 지점
앱 실행 화면 서비스 메인 화면
어카운트인포 앱 실행하여 하단 장소,주소,은행명으로 정보조회
‘지점/ATM 한눈에’ 조회하기 선택 (기본설정은 내위치 주변)
세부 조회 화면 조건 검색 화면
지도에서 선택한 지점 세부정보를 표시 원하는 조건의 지점을 검색
(전화걸기, 길찾기기능 제공) (특정은행, 휠체어 이용가능, PB센터 등)
첨부 2 금융맵 서비스 제공기관
구 분 기관명
은행 국민은행, 경남은행, 광주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산업은행, 수협은행, 신한은행, 씨티은행, 우리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 하나은행, 케이뱅크, SC제일은행
(17개)
비은행예금취급기관 농협중앙회, 산림조합중앙회, 새마을금고중앙회, 수협중앙회, 신협중앙회, 우체국, 저축은행중앙회
(7개)
증권사 메리츠증권, 유안타증권, 이베스트투자증권, 하나금융투자, 하이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DB금융투자
(8개)
CD VAN사 브링스코리아, 에이티엠플러스, 코리아세븐, 한국전자금융, 한네트, 효성티엔에스
(6개)
총계 38개
※ 가나다 순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국 초등학교 취학통지서 온라인으로 발급-12.3.(금)~12.12.(일) ‘정부24’에서 초등학교 취학통지서 온라인 발급 서비스 개시 (0) | 2021.11.29 |
---|---|
5개 리셀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불공정 약관 시정 (0) | 2021.11.29 |
기술금융 체계의 신뢰성을 높여 기술력, 미래성장성 높은 중소기업을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하겠습니다. (0) | 2021.11.29 |
기획재정부 거시경제금융 점검회의 결과 (0) | 2021.11.29 |
11월분 상생소비지원금 캐시백 2,583억원 발생 (0) | 2021.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