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정보통신방송 장관회의 개최
부서 다자협력담당관
새 일상시대 아시아의 포용적 회복을 위한 정보통신기술 협력 강화
- 과기정통부, 「2021 정보통신방송 장관회의」(12.1) 개최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12월 1일 서울 에서 ‘새 일상(뉴 노멀) 시대, 디지털을 통한 포용적 사회 재건’을 주제로 「2021 정보통신방송 장관회의」(이하 ‘장관회의’)를 개최하였다.
ㅇ 동 회의는 ‘05년부터 아태·중남미 등 글로벌 정보통신기술 분야 정책협력 강화를 위하여 매년 개최해 온 장관급 회의로서, 지난 2년간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미(未)개최 되었다가 3년 만에 재개되었다.
ㅇ 특히, 올해 장관회의에는 신남방·신북방 10개* 국가의 정보통신기술 부처 장(차)관이 온·오프라인 병행 방식으로 참석하여, 코로나19 이후 새 일상 시대 대비, 광대역 통신망(브로드밴드) 연결성 강화와 디지털 포용사회 구축을 위한 범아시아 정보통신기술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 아제르바이잔, 브루나이, 캄보디아, 키르기스스탄, 라오스, 말레이시아, 몽골, 필리핀, 우크라이나, 베트남 (알파벳 순)
□ 이날 회의는 ‘광대역 통신망 연결성’과 ‘디지털 포용사회 구축’을 세부 주제로 분과를 구성하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마티아스 코만 사무총장과 유엔 아태경제사회위원회(UN ESCAP) 티지아나 보나페스 국장이 주제 발표를 하였으며, 이어서 참가국 장차관들이 자국의 관련 현황과 정책을 소개했다.
ㅇ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개회사를 통해 디지털 기술 발전의 기회와 혜택을 누구나 공평하게 누릴 수 있도록 포용적 디지털 전환 추진을 강조하였으며, 각 세션별 토론에 참여하여 농어촌 초고속인터넷 구축 지원, 공공장소 무료 와이파이 구축, 디지털 배움터 추진 사례 등 한국의 주요 정책을 소개했다.
□ 이번 장관회의의 결과로 과기정통부는 참가국과 함께 ‘아시아의 포용적인 연결성과 공동 번영’을 위한 의장 성명*을 발표했다.
* 「Chair’s Statement for Asia’s Inclusive Connectivity and Shared Prosperity」
ㅇ 이날 장관회의에 참석한 11개국 장차관들은 디지털 대전환의 세계 흐름 속에서 연결성이 디지털경제와 사회 발전의 필수 요소임을 인식하고, 누구나 디지털 전환이 제공하는 기회에서 소외되지 않고 더 나은 삶의 질을 누릴 수 있도록 정보통신기술 접근성 제고, 역량 강화 등 정보통신기술 포용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였다.
ㅇ 이에 기반하여 각 국은 아시아 지역의 보편적이고 합리적 가격의 안전한 연결성 구축을 위한 인프라 투자 확대, 정보통신기술 및 모범사례 공유에 대한 협력을 증진하고
- 연결성 증진에 균등한 접근성을 보장받으며 소득, 나이, 지리적 위치, 성별 등 다양한 측면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해 나가는 한편,
- 상호호혜적인 디지털 공동번영을 실현하기 위해 디지털 전환의 기회를 활용하고 도전과제 해결에 긴밀한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약속하였다.
□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회의를 통해 아시아 국가들과 ‘포용적인 사회 재건’을 위한 디지털 정책 전망을 공유하고 새 일상 시대의 동반자로서 협력의 기반을 구축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붙임1 2021년 정보통신방송 장관회의 개요
□ 회의개요
ㅇ (배경) ’05년부터 아태·중남미 등 글로벌 정보통신기술분야 정책협력 강화 및 역내 리더십 제고를 위해 글로벌 장관급 회의를 매년 개최
※ ‘19-’20년은 코로나19 등 사유로 미개최 (3년 만에 재개)
ㅇ (일시/장소) ’21.12.1(수) / 그랜드 인터컨티넨털 서울 파르나스 호텔(2F)
ㅇ (주최/주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ㅇ (주제) ‘뉴노멀 시대, 디지털을 통한 포용적 사회 재건’
: 브로드밴드 연결성 증진과 디지털 포용사회 구축
ㅇ (참가국) 키르기스스탄(대면), 몽골,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라오스, 우크라이나, 캄보디아, 아제르바이잔, 베트남, 필리핀(9개국, 온라인) 등 10개국
□ 세부 프로그램 ※ 진행 :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시 간 주 요 내 용 비고
개회식
15:00∼15:25 ㅇ 참석자 소개 및 회의진행 설명(10‘) 사회자
ㅇ 개회사(5‘) 장관
ㅇ 축사(각 5‘) 과방위 위원장(영상)/
외교부 과기협력대사(온라인)
분과 I. 광대역통신망(브로드밴드) 연결성 증진
15:30∼16:20 ㅇ 기조 발표(15‘) OECD 사무총장(영상)
ㅇ 국가별 발표(25‘, 5개국) 및 토론(10’) 아제르바이잔, 브루나이, 라오스, 말레이시아, 우크라이나
16:20∼16:30 휴식 시간(10‘)
분과 Ⅱ. 디지털 포용사회 구축
16:30∼17:20 ㅇ 기조 발표(15‘) UN ESCAP 국장(온라인)
ㅇ 국가별 발표(25‘, 5개국) 및 토론(10’) 몽골, 키르기스스탄,
캄보디아, 베트남, 필리핀
폐회식
17:20∼17:30 ㅇ 의장 성명 발표 및 폐회사(10‘) 장관
붙임2 장관회의 의장성명(국문)
‘아시아의 포용적인 연결성 및 공동번영’을 위한
의장 성명
1. 2021 정보통신방송장관회의는 2021년 12월 1일 한국의 서울에서 개최되었으며, 온라인-오프라인 하이브리드로 진행되었다. 본 장관회의에서는 아제르바이잔, 브루나이, 캄보디아, 키르기스스탄, 라오스, 말레이시아, 몽골, 우크라이나, 베트남, 그리고 대한민국의 장(차)관들이 모여 ‘뉴노멀 시대, 디지털을 통한 포용적 사회 재건’을 주제로 논의하였다.
2. 우리들 디지털 리더들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가속화된 디지털 전환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새롭게 부상한 비대면 경제가 제공하는 (생활의 편의성 등) 기회를 활용하고 동시에 (실업, 디지털 격차 확대 등) 위협요인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다할 것을 지지하였다.
3. 리더들은 디지털 대전환의 글로벌 흐름 속에서 연결성이 디지털 경제와 사회 발전의 필수요소임을 인식하였고, 아시아 역내의 개도국과 격오지역 등 서비스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는 지역의 연결성 향상이 특히 시급한 문제임을 강조하였으며, 이를 위해 한국과 아시아 국가 간 연결성 개선을 위한 인프라 개발, 역량 강화 등에서 협력이 필요함에 동의하였다.
4. 리더들은 중소기업, 여성, 아동 등 취약계층이 디지털 전환이 제공하는 기회에서 소외되지 않고 더 나은 삶의 질을 누릴 수 있도록, 정보통신기술 접근성 제고, 역량강화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5. 이에 기반하여, 리더들은 다음과 같이 공동의 목표를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하였다.
<연결성 강화와 디지털 혁신>
6. 코로나 극복을 위한 경제회복 및 국가 성장의 동력으로서 아시아 지역의 보편적이고, 합리적인 가격의(affordable), 안전한 연결성 구축을 위해, 인프라 투자 확대, 기술과 모범사례 공유 등 협력을 증진한다. 디지털 신기술, 디지털 인프라, 데이터 등 디지털 전환의 핵심적인 도구와 기반을 혁신적으로 활용하여, 역내 안전하고 신뢰받는 상호 연결된 디지털 생태계 구축 실현에 노력한다.
<인간에 중심을 둔 포용적 성장>
7. 연결성 증진에 있어 누구도 뒤처지지 않고 균등한 접근성을 보장받으며, 소득, 나이, 지리적 위치, 성별 등 다양한 측면에 따른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한다. 또한 디지털 문해력과 디지털 스킬 강화를 통해 아시아 디지털 공동체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모두가 디지털 전환의 혜택을 향유할 수 있도록 인간중심적인 접근에 기반한 지속가능하며 균형잡힌 포용적 성장을 추진한다.
<공동번영을 위한 노력과 협력>
8. 상호 호혜적인 디지털 공동체를 이룩하고 공동번영을 실현하기 위해, 디지털 전환의 기회를 활용하고 도전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공동의 이해를 지닌 디지털 연결성 분야를 중심으로 정부, 산업계, 시민사회, 국제기구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긴밀한 협력을 강화한다.
<향후 이행과 협력 (Way Forward)>
9. 아시아 국가의 코로나 극복과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성장을 위해 협력하고 각자의 역할을 인식하며, 상호 협력을 강화할 것을 약속한다.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재산 우수제품의 유통 촉진을 위한 '2021 대한민국 지식재산 대전' 개최 (0) | 2021.12.02 |
---|---|
제67회 전국과학전람회 시상식 개최 (0) | 2021.12.02 |
탄소중립 혁신기술 학술토론회(심포지엄) 개최 (0) | 2021.12.01 |
2021년 12월 과학기술인상, 포스텍 김철홍 교수 선정-광초음파 의료영상 개발 및 상용화로 디지털건강(헬스)산업 경쟁력 강화 (0) | 2021.12.01 |
제1회 과학기술문화 학술토론회 개최 (0) | 2021.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