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7회 전국과학전람회 시상식 개최
작성일 2021-12-01 부서 국립중앙과학관 과학교육과
제67회 전국과학전람회 시상식 개최
□ 제67회 전국과학전람회 시상식이 12월 1일(수) 오후 3시 국립중앙과학관(관장 유국희) 사이언스홀에서 개최되었다.
ㅇ 전국과학전람회는 과학인구의 저변 확대와 전 국민의 과학화를 위해 1949년에 제1회 대회를 개최한 이후 올해로 67회째를 맞이하는 가장 권위 있는 전국 규모의 과학경진대회이다.
ㅇ 이번 대회는 전국에서 총 2,308점의 작품이 출품되었고, 이 중 294점이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
※ 대통령상 2점, 국무총리상 2점, 최우수상 10점, 특상 75점, 우수상 99점, 장려상 106점(총 294점)
□ 영예의 대통령상은 학생부에서 「정색반응* 분석을 위한 IAS(Image Analysis System) 제작 및 활용에 관한 탐구」를 출품한 ‘I Am Sorry but I love you팀’(충북과학고등학교 2학년/김도율, 김연욱, 정광혁 학생)이,
* 어떤 성분 또는 화합물이 특정한 시약에 대하여 발색(또는 변색)하는 반응
ㅇ 교원부에서는 「AI융합 ‘폐각 활용 물분해 실험장치’ 및 에듀테크 콘텐츠 개발」을 출품한 ‘디자인씽킹공작소팀’(전라남도 경호초등학교 강순기, 여천초등학교 김기범, 소라초등학교 김상현 교사)이 수상하였다.
□ 또한, 국무총리상은 학생부에서 「사람마다 그네를 다르게 타는 이유는? 무게중심 위치에 따른 최적의 그네타기 전략 탐구」를 출품한 ‘Swing My 근근팀‘(충북과학고등학교 1학년/노수빈, 이승환, 안연수 학생)이,
ㅇ 교원부에서는 「참다슬기의 서캐디안* 리듬(circadian rhythm)에 관한 연구」를 출품한 ‘슬기로운 탐구생활팀’(전라남도 순천남산초등학교 박혜정, 동산초등학교 박승현 교사)이 수상하였다.
* 사람 및 동식물의 생체 주기(일반적으로는 24시간 주기리듬)
□ 이날 시상식에 참석한 과기정통부 용홍택 제1차관은 수상작들을 둘러보고 수상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ㅇ “수상작들마다 그간의 노력과 열정이 느껴져 감동했다.”고 전하며, “앞으로도 과학에 대한 열정과 탐구를 계속 이어가서 우리나라 과학기술을 이끌 인재로 성장하길 바란다.”고 격려하였다.
참 고 제67회 전국과학전람회 주요 수상작 현황
□ 대통령상(학생부)
부 문 화 학 출품번호 1235 소 속 충북과학고등학교
2학년
작품명 정색반응 분석을 위한 IAS(Image Analysis System) 제작 및 활용에 관한 탐구
성 명 김도율, 김연욱, 정광혁 학생
작 품 설 명 작 품 사 진
- (연구 내용) ① 기본 탐구
▪GC-MS를 이용해
반응이 진행됨을 분석할 수 있었다. ▪픽셀수를 정량적인 농도 데이터로 얻을 수 있다. ▪코딩을 통해 이미지 기반 분석시스템 IAS를 제작하였다.
② 심화 탐구
▪IAS를 활용해 확산 기반 친핵성 치환반응을 분석할 수 있다. ▪IAS와 교반을 동시에 진행하며 반응 속도를 분석할 수 있다. ▪농도 변화에 따른 반응 속도를 분석할 수 있다.
- (연구 결과)
▪실시간으로 반응속도 상수 측정 및 화학반응 차수를 알 수 있다. ▪AI 머신러닝을 통한 성능 향상 가능 ▪색을 기반으로 정량적인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분석 장비인 UV-Vis Spectrophotometer를 대체할 수 있는 분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 대통령상(교원부)
부 문 화 학 출품번호 2201 소 속 경호초등학교
여천초등학교
소라초등학교
작품명 AI융합 ‘폐각 활용 물분해 실험장치’ 및 에듀테크 콘텐츠 개발
성 명 강순기, 김기범, 김상현 교사
작 품 설 명 작 품 사 진
- (연구 내용) ① AI융합 물분해 실험장치 기반연구, ② AI융합 물분해 실험 장치 개발,
③ AI융합 물분해 실험장치의 교육적 활용
- (연구 결과)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AI융합 물분해 실험장치 설계 및 굴껍질 활용 물분해 촉매 합성 가능성 확인, 폐각의 upcycling을 통해 AI융합 물분해 실험장치 및 촉매를 개발하였고, 높은 재현성 및 물분해 성능을 나타냄. 에듀테크 활용 AI융합 콘텐츠를 개발하였으며, 개발 전 과정을 교육과정에 적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높임
□ 국무총리상(학생부)
부 문 물 리 출품번호 1129 소 속 충북과학고등학교
1학년
작품명 사람마다 그네를 다르게 타는 이유는? 무게중심 위치에 따른 최적의 그네타기 전략 탐구
성 명 노수빈, 이승환, 안연수 학생
작 품 설 명 작 품 사 진
- (연구 내용) 앉아서 그네를 탈 때, 무게중심 위치와 몸을 접는 위치에 따른 그네의 진폭이 효과적으로 커지는지 최적의 방법을 발견하고 직접 그네 타기 로봇을 만들어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 (연구 결과) ① 사람 무게중심의 위치에 따라 가장 효과적인 그네타기 방법은 무게중심의 위치가 상체에 위치한 사람은 그네가 중앙(최저점)을 지날 때 몸을 접는 것이, 무게 중심의 위치가 회전축에 위치한 사람은 그네가 끝점(최고점)을 지날 때 몸을 접는 것이 그네타기 방법임 ② 우리가 어려서부터 경험을 통해 본능적으로 익혀서 타고 있는 그네타기의 방법이 역학적으로도 자신의 체형에 맞는 최적의 방법일 가능성을 발견하였고 간단한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 국무총리상(교원부)
부 문 생 물 출품번호 2305 소 속 순천남산초등학교
동산초등학교
작품명 참다슬기의 서캐디안 리듬(circadian rhythm)에 관한 연구
성 명 박혜정, 박승현 교사
작 품 설 명 작 품 사 진
- (연구 내용) 참다슬기는 야행성 동물로 참다슬기의 일주기 및 연주기 서캐디안 리듬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 (연구 결과) ① 참다슬기의 행동을 3가지(고정, 부착, 이동)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참다슬기는 빛이 없더라도 약 25시간 8분의 리듬으로 활동과 휴식을 반복한다. ② 어항에 유기물을 넣고 타임랩스 카메라로 참다슬기의 행동을 관찰하였으며 오염된 물에서는 서캐디안 리듬이 교란된다. ③ 참다슬기 어항을 0~5℃, 20℃~30℃로 수온을 맞추고 참다슬기의 행동을 관찰한 결과 계절에 따라 참다슬기가 살 수 있는 적정 온도가 다르며 고온에서는 폐사함 ④ 계절에 따른 참다슬기의 서캐디안 리듬(행동)과 몸무게 변화, 번식과 짝짓기, 서캐디안 리듬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판교핫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명인의 초상·성명이 지닌 재산적 가치, 이제 법으로 보호된다-퍼블리시티권 보호를 위한 국내 최초의 명문규정 신설,데이터 보호를 위한 부정경쟁방지법 개정안과 함께 국무회의 통과 (0) | 2021.12.02 |
---|---|
지식재산 우수제품의 유통 촉진을 위한 '2021 대한민국 지식재산 대전' 개최 (0) | 2021.12.02 |
2021 정보통신방송 장관회의 개최 (0) | 2021.12.02 |
탄소중립 혁신기술 학술토론회(심포지엄) 개최 (0) | 2021.12.01 |
2021년 12월 과학기술인상, 포스텍 김철홍 교수 선정-광초음파 의료영상 개발 및 상용화로 디지털건강(헬스)산업 경쟁력 강화 (0) | 2021.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