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연간 수소차 1만대에 충전가능한 수소 생산 및 공급 추진-‘23년, 연간 1,400톤(1일 4톤) 규모의 수소생산기지 착공
담당부서 수소산업과등록일 2021-12-02
광주, 연간 수소차 1만대에 충전가능한 수소 생산 및 공급 추진
-‘23년, 연간 1,400톤(1일 4톤) 규모의 수소생산기지 착공 -
-‘22년 수전해 기반 생산기지 3개 착수 등 청정수소로의 전환 가속화 예정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21.12.2(목) 오후 2시 광주광역시 광산구 연산동 소재 일반산업단지에서 ’광주 수소생산기지 착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힘
ㅇ 이번 행사는 수소차 등 모빌리티에 필요한 수소를 보다 저렴하고, 적기에 공급하기 위해 수요지인 대도시 인근에 추진 중인 수소 생산기지 사업 중 중규모급으로서는 제1호로 착공하게 된 것을 기념하고자 마련됨
* (소규모급 생산기지) 하루 1톤 규모로 수소를 생산․공급하는 시설로 창원, 삼척, 평택, 대전, 부산, 인천, 완주 등 총 8개 지역에 구축 중이며, 창원은 올해 3월 준공
□ 그간 산업부는 광주광역시, 창원시(’20.4월) 및 평택시(‘21.7월)를 중규모 수소 생산거점으로 선정하였고, 운영사인 한국가스공사와 함께 각 생산기지별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물품조달계약 체결, 실시설계 완료 등의 절차를 진행해 왔음
ㅇ 광주 수소 생산기지는 ‘23.3월 준공 예정(工期 16개월)으로 준공 시 일평균 4톤, 연간 1,400톤 규모로 수소를 생산하게 되며, 한국가스공사가 20년간 위탁 운영하는 가운데 광주광역시는 사업관련 인허가 및 부지 임대료 할인 등을 통해 동 사업을 지원할 예정임
□ 이번 광주 수소생산기지는 울산․여수․대산 등 석유화학단지 인근이 아닌 대도시 인근에 중규모급의 생산기지를 구축하게 되는 첫 번째 사례임
ㅇ 현재 광주지역에서 운영 중인 수소충전소 4곳은 약 120km 떨어진 여수․울산 등에서 수소를 공급받는 관계로 운송거리에 따라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고 있었으나, ‘23년 준공 이후에는 운송비용이 절반 이하로 줄어들게 되어 수소충전 가격도 인하될 것으로 기대됨
□ 산업부는 현재 진행 중인 광주, 창원, 평택 외 중규모급 수소생산기지를 내년에 2개 추가로 선정하여, ‘25년까지 총 5개 지역에 중규모 수소생산기지를 구축할 계획임
ㅇ 이날 착공식에 참석한 양병내 수소경제정책관은 축사를 통해 정부는 지난 11월 26일에 발표한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에 따라 수소생산을 LNG 개질 기반에서 수전해 기반의 그린수소 또는 CCS 장비를 설치한 블루수소 등 청정수소 공급체계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계획”임을 밝히고,
ㅇ 동 차원에서 내년도에는 신규 사업으로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를 전국 3개 지역에 공모를 통해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고 함
참고 광주 수소생산기지구축 착공식 개요 및 조감도
□ 일시 : ‘21.12.2(목) 14:00~14:40
□ 장소 : 광주 수소생산기지 인접 을로운수 차고지(연산동 소재)
□ 참석자 : 산업부 수소경제정책관, 광주시 부시장(조인철), 광주시 시의회의장(김용집), 광산구 부구청장(이돈국), 가스공사 사장(채희봉), 가스기술공사 사장(조용돈), 수소에너지네트워크 대표이사(도경환), 코하이젠 대표이사(이경실), 현대글로비스 부사장(정진우) 등
□ 세부 행사 일정(안)
시 간 행 사 내 용 비 고
13:30 ~ - ?내빈영접 및 VIP대기실 환담
13:50 ~ 14:00 10‘ ?식전 공사 홍보영상 시청 비전2030 영상*
14:00 ~ 14:05 5’ ?개식 선언 및 국민의례 사회자
14:05 ~ 14:08 3’ ?주요 내·외빈 소개 사회자
14:08 ~ 14:12 4’ ?경과보고 수소인프라처장
14:12 ~ 14:16 4’ ?기념사 가스공사 사장
14:16 ~ 14:25 9’ ?축사 국장, 부시장, 시의회 의장
14:25 ~ 14:28 3‘ ?안전결의문 낭독 시공사
14:28 ~ 14:35 7’ ?시삽식 세레머니 및 기념촬영 주요 내·외빈
14:35 ~ 14:40 5’ ?폐식선언 및 내빈환송 사회자
- ?행사 종료
< 광주 수소생산기지 조감도 >
'판교핫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30 NDC 및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지속가능한 재생에너지 보급확대 방안 논의 (0) | 2021.12.03 |
---|---|
2021년 대한민국패션대상 개최 (0) | 2021.12.03 |
에너지 탄소중립 13대 분야, 197개 핵심기술 로드맵 발표-「2050 탄소중립 에너지기술 로드맵」및「에너지 국제공동연구 로드맵」발표 (0) | 2021.12.03 |
「WTO 서비스 국내규제 복수국간 협상」타결선언 (0) | 2021.12.03 |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RCEP) 국회비준동의 완료 (0) | 2021.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