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그린리모델링 위한 지역 연결망 넓힌다-6일부터 지역거점 플랫폼 5개권역 8개 기관 모집
담당부서녹색건축과 등록일2021-12-06 06:00
지속가능한 그린리모델링 위한 지역 연결망 넓힌다
- 6일부터 지역거점 플랫폼 5개권역 8개 기관 모집 -
□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와 LH(사장 김현준), 국토안전관리원(원장 박영수)은 ‘그린리모델링 지역거점 플랫폼’에 참여할 대표기관과 참여기관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ㅇ ‘그린리모델링 지역거점 플랫폼’은 ‘한국판 뉴딜’ 및 ‘2050 탄소중립 선언’ 등 국·내외 여건 변화에 발맞춰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의 인식확산 및 저변확대를 위한 권역별 전문기관 간 협력체계로서,
ㅇ 효율적 사업추진을 위해 사업을 총괄 지위 및 기획하는 대표기관과 전문적 역량을 통해 사업을 직접 수행하는 참여기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해서 지원해야 하며, 작년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선정하게 된다.
□ 올해에는 지난해*보다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지원대상이 늘어(821동→896동) 전국 5개 권역에서 8개의 대표기관·참여기관(수도권2, 강원권1, 충청권1, 전라권2, 경상권2)을 모집할 예정이다.
* 5개 권역 6개 대표기관·참여기관(수도권2, 강원권1, 충청권1, 전라권1, 경상권1) 모집
《 2021년 그린리모델링 지역거점 플랫폼 공모 개요》
ㅇ (신청기간) 12월 6일(월) ∼ 12월 17일(금), 18:00 까지
ㅇ (제출서류) 사업신청서, 첨부서류 및 관련 증빙자료 일체
ㅇ (사업규모) 총 33억 이내로 권역별 대표기관·참여기관 간 배분 예정
ㅇ (신청방법) 공고기간 이내 e나라도움(www.gosims.go.kr)을 통해 접수
※ 국토안전관리원에서 별도로 지정한 서류 공문 접수 필요
< e나라도움 온라인 사업신청서 작성 절차 >
① e나라도움 로그인 → ② 사업수행관리 → ③ 신청관리 → ④ 사업신청관리 → ⑤ 공모현황 → ⑥ 공모명 ‘2021년 그린리모델링 지역거점 플랫폼’ 선택 후 ‘신청서 작성’을 클릭하여 사업신청서 작성 및 제출
※ 본 공모 신청자는 e나라도움 회원가입 필수(공인인증서 필요)
ㅇ 이에 따라 올해 ‘그린리모델링 지역거점 플랫폼’에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은 ①해당권역 내 소재하며 그린리모델링 사업에 대한 일정 수준 이상의 ②인프라를 갖춘 기관* 등 5개 권역 8개 대표기관·참여기관으로 협력체를 구성하여 참여할 수 있다.
*「국토교통과학기술 육성법」 제8조에 따른 국공립 연구기관 등(연구기관, 학교, 기업부설연구소, 민법이나 다른 법률에 따라 설립된 법인으로서 국토교통 관련 연구를 하는 기관 등)
ㅇ 12월 6일부터 12월 17일까지 국토안전관리원 그린리모델링센터에서 정한 양식의 신청서 및 사업계획서 등을 작성하여 국고보조금통합관리시스템(e-나라도움)을 통해 신청·접수*하면 된다.
* 사업접수 : 국토안전관리원 044-771-4753·4822·4971, e-나라도움 : 1670-9595
ㅇ 권역별로 신청·접수된 희망기관의 사업계획서를 바탕으로 기관 전문성, 사업역량 등을 그린리모델링, 건축물 에너지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별도의 선정위원회를 거쳐 최종 선정될 예정이다.
《 2021년 그린리모델링 지역거점 플랫폼 선정 평가기준(안) 》
평가영역 평가항목 주요내용
전문성 전문인력·기관역량 등 사업수행기반 현황(전문인력, 교육시설 등)
사업역량 사업계획·추진역량 등 사업계획의 적정성·실현가능성·구체성 등
과제발굴 추진계획·정책과제 등 향후 사업추진계획·정책과제 도출 등
기타 지역특화사업 등 타지역과 차별성 있는 지역특화사업 등
□ 이번 공모는 12월 6일부터 22일까지 17일간 진행되며, 공모기간 중사업의 이해를 돕고자 설명회를 개최(12월 13일) 하고, 별도의 선정위원회를 통해 내년 1월에 최종 선정된 기관들은 1년 동안 활동 하게 된다.
《 2021년 그린리모델링 지역거점 플랫폼 사업 추진 일정(안) 》
구분 일정(안) 비고
플랫폼 기관 모집공모 ’21.12.6. ∼ 22.(17일간) 대표기관·참여기관 모집
사업설명회 ’21.12.13(예정) 국토안전관리원 인재교육관(진주)
플랫폼 기관 선정 ’21.12. ∼ ’22.01 선정위원회 개최
보조금 교부(1차, 2차) ’22.01. ∼ ’22.09 별도 진행 예정
사업수행 ’22.01. ∼ ’22.12 그린리모델링 지역거점 플랫폼 활동
사업종료 및 정산 ’22.12 사업성과보고회 등
※ 공고‧접수‧일정확인‧결과확인 등 자세한 사항에 대한 확인가능 누리집
① LH 그린리모델링 센터 (https://www.greenremodeling.or.kr)
② 국토안전관리원 (https://www.kalis.or.kr)
③ 유관기관 (대한건축학회, https://www.aik.or.kr) 등
※ 사업 추진 일정에 따라 변동 될 수 있음
□ 국토교통부 엄정희 건축정책관은 “그린리모델링 정책·사업은 각 지역의 전문가, 지자체 그리고 시민들이 함께 할 때 지역의 경제·산업·사회 여건을 개선하는 효과가 극대화 될 것” 이라며,
ㅇ “대표기관·참여기관으로 선정되면 녹색건축과 온실가스감축의 지역 주체로서 활동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인 만큼 해당 권역의 많은 기관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참고 2021년 그린리모델링 지역거점 플랫폼 사업 개요
□ 추진배경
ㅇ 현장중심 그린리모델링 품질·에너지성능 확보, 지역인재 활용·육성, 홍보 등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 지원을 위한 지역거점 구축
□ 주요내용
ㅇ (플랫폼 구성) 권역별 공모를 통해 플랫폼 참여기관 선정, 국토안전관리원 그린리모델링센터에서 운영·지원(’21.12월~)
ㅇ 권역구분 : 5개 권역 / 8개 대표기관
권역구분 권 역 지 역
➊ 수도권 서울·인천·경기
➋ 강원권 강원
➌ 충청권 대전·세종·충남·충북
➍ 경상권 부산·대구·울산·경북·경남
➎ 전라권 광주·전북·전남·제주
ㅇ 권역별 선정규모(안)
구 분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21년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대상지 232 123 128 194 219
대표기관 수* 2 1 1 2 2
사업예산** 해당권역 대표기관 별 약 4억원 내외(총 33억 이내)
《 2021년 그린리모델링 지역거점 플랫폼 운영계획(안) 》
지역거점 플랫폼 운영체계 주요역할
∙(사업지원) 그린리모델링 대상 에너지 성능 평가 및 사업 기술지원단 운영 등
∙(역량강화) 교육·홍보 프로그램 운영, 그린리모델링 인재양성 및 전문가 확충 등
∙(활성화) 대학생(원) 기자단 운영, 경진대회, 포럼 및 세미나 개최 등
∙(지역특화)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 그린리모델링 특화사업 모색·수행 등
∙(과제발굴) 지역 그린리모델링 수요조사, 향후 사업 추진계획 도출 등
'판교핫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코로나 시대 수출 성과 새 모범 만든 중소기업 14개사 표창-7일 ‘2021년 경기도 수출기업인의 날’ 맞아 우수 수출기업 및 유공자 표창 (0) | 2021.12.07 |
---|---|
국민들이 직접 뽑는 내가 살고 싶은 집-6일부터 공공주택 설계공모전 15개 당선작 대상 온라인 국민투표 실시 (0) | 2021.12.07 |
고속도로에서 전기차, 수소차 충전이 더욱 편리해집니다 내년 말까지 전기차 충전기 1,000여기·수소충전소 43기 구축 (0) | 2021.12.06 |
ICT 동향정보[2021.12.06.정보통신기획평가원] (0) | 2021.12.06 |
KOTRA, 해외시장뉴스[2021.12.06.] (0) | 2021.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