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확장하는 우주경제, 역동적인 산업생태계 조망-대한민국(코리아) 스페이스토론회(포럼) 2021 개최

하이거 2021. 12. 7. 13:36

확장하는 우주경제, 역동적인 산업생태계 조망-대한민국(코리아) 스페이스토론회(포럼) 2021 개최

작성일 2021-12-06 부서 거대공공연구정책과

 

 

확장하는 우주경제, 역동적인 산업생태계 조망

- 대한민국(코리아) 스페이스토론회(포럼) 2021 개최

(12.6~7, 온라인 생중계)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우주산업분야 국내 대표 포럼인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2021」을 12월 6일(월)부터 7일(화)까지 이틀간 개최한다고 밝혔다.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2021」 개요 >

 

 

• (일시/장소) ’21. 12. 6.(월) ∼ 12. 7.(화) / 서울 포시즌스호텔, 온라인 생중계 병행*

* 생중계 플랫폼 : 유튜브

 

• (주제) “확장하는 우주경제, 역동적인 생태계 만들기”

 

• (주요 프로그램) 심포지엄(우주탐사 동향, 누리호개발 이야기 등), 컨퍼런스(뉴스페이스 동향 등)

 

• (주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주관)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 한국산업기술시험원(우주부품시험센터), 동아사이언스

 

 

ㅇ 올해로 세번째를 맞이하는 본 행사는 국내외 연사 및 패널 약 50여명이 참여하는 국제포럼으로,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진행된다.

ㅇ 코로나 19 확산 방지를 위해 행사 현장에는 최소 인원만 참석하고, 현장에 참석하지 못한 국민들을 위해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 생중계와 함께 시청자와 온라인 질의응답도 진행한다.

* https://www.youtube.com/user/KARItelevision

□ 포럼 첫날(12.6)에는 해외 우주탐사 동향을 살펴보고,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우주산업에 가져올 변화와 함께, 역동적인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추진전략을 논의하였다.

 

□ NASA의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의 주요 임무계획 책임을 맡고 있는 느주드 머랜시는 미국이 50년만에 다시 달을 탐사하게된 이유를 발표하고, 프랑스 꼬다쥐르천문대 패트릭미췔 연구책임자 등은 소행성의 지구 충돌을 막기 위한 우주탐사 실험인 DART* 프로그램의 진행현황을 소개하였다.

* Double Asteroid Redirection Test

 

□ 또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고정환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 본부장은 지난 10월21일 발사한 누리호의 개발과정을 소개하고, 향후 누리호가 우주산업에 가져올 변화에 대해 발표하였다.

 

□ 이어진 우주정책 세션에서는 권현준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이 지난 11월 15일 국가우주위원회를 통해 심의·확정한「우주산업 육성 추진전략」을 발표하였다.

 

ㅇ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동 전략을 통해 기업이 보다 쉽게 우주개발에 참여하고 마음놓고 투자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고, 발사체 발사장 등 우주 인프라도 확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ㅇ 또한, 향후 10년간 약 170여기의 위성과 40여기의 발사체 발사를 추진하여 기업이 안정적으로 우주산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공공 우주개발 수요도 확대해 나갈것이라고 밝혔다.

 

□ 포럼 둘째날(12.7)은 혁신적인 민간기업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뉴 스페이스” 기술 동향을 조망하고, 아시아태평양 지역의우주산업협력모델을 논의한다.

 

ㅇ 아울러, 세계적인 우주분야 투자회사인 스페이스캐피털의 채드앤더슨 매니징 파트너가 코로나 19이후의 우주산업 환경변화와 함께 향후 우주분야 투자방향을 소개한다.

 

□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코리아 스페이스포럼을 통해 많은 국민들이 우주개발에 관심을 갖고, 다양한 해외 우주개발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 우주개발 정책방향을 점검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라며,

 

ㅇ “과기정통부는 지난 11월 15일 발표한「우주산업 육성 추진전략」을 바탕으로 우주산업이 한단계 도약할 수 있도록 재정적,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이번 행사는 코로나19 상황임을 고려하여 사전·사후 방역실시, 손 소독, 발열 검사 등 정부의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계획’에 따른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한 가운데 진행 예정이다.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의 세부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www.spaceforum.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붙임1.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2021 행사개요

2.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2021 세부프로그램

 

 

붙임1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2021 행사개요

 

□ 추진목적

ㅇ 누리호 발사를 계기로 우주정책방향을 점검하고, 우주개발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조성 및 지지 확보

ㅇ 우주안보, 우주탐사 등 우주정책 전반에 대한 국내외 협력 채널을 마련하고, New Space 정책·기술 동향 공유

☞ (주제) “확장하는 우주경제, 역동적인 생태계 만들기”

□ 행사개요

ㅇ (일시/장소) ’21.12.6(월)∼7(화) / 포시즌스호텔(세종문화회관인근)

ㅇ (구성) 1일차 스페이스 심포지엄(우주탐사 동향, 누리호개발 이야기 등) / 2일차 우주산업 컨퍼런스(뉴스페이스 동향, 아태우주협력 방안 등)

ㅇ (규모) 청중 일별 100명 이내 / 해외연사·패널 19명, 국내연사·패널 29명 

※ '단계적 일상회복(위드코로나)' 1단계 기간으로, 100명 미만의 행사 가능

ㅇ (주최/주관) 과기정통부 /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항우연, 천문연,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 한국산업기술시험원(우주부품시험센터), 동아사이언스

ㅇ (진행) 화상회의 플랫폼(ZOOM)을 통한 국내외 연사의 발표 및 토론 실시(국내연사는 오프라인, 해외연사는 온라인 참여)

- 유튜브(항우연 KARI TV 등)를 통한 포럼 생중계 실시

 

<연사 발표 화면(예시)> <라운드테이블 화면(예시)>

붙임2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2021 세부프로그램

□ 1일차 스페이스 심포지엄“한국 우주산업의 도약”

시간 세부내용

09:00∼09:30 참가자 등록

개최 개회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 인사말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장

09:30∼09:40 주관기관 대표 소개

키노트1 달 너머 더 먼 우주를 향하여...미국은 왜 50년만에 다시 달로 돌아가나

09:40∼10:10 느주드 머랜시 / NASA(미국) / 탐사임무계획 책임자

키노트2 아르테미스 협정에서 기업들의 달 사업 진출하기

10:10∼10:30 마이크 골드 / 레드와이어(미국) / 민간 우주 대외 영업 부사장

10:30∼10:45 커피 브레이크

세션1 달은 기업에 어떤 기회를 줄까

10:45∼11:30 (발표1) 우주 수송시장이 커진다 CLPS 달 상업 수송

댄 헨드릭스 / 애스트로보틱스 테크놀러지(미국) / 부사장

(발표2) 우주벤처는 왜 달 표면에서 로켓을 발사할까

카와사키 고이치 / 와이스페이스(일본) / 최고경영자(CEO)

(발표3) 달 광물자원은 경제적 활용 가능한가

김경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오픈토크1 한국 기업과 학교, 기관은 달 탐사에서 어떤 기회를 포착해야 할까

11:30∼12:15 좌장 송경민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장

패널 김대관 항우연 달탐사사업단장, 심채경 천문연 선임,

이병선 ETRI 그룹장, 함진주 KAI 상무, 이준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상무

김경자 지질연 책임연구원

12:15∼13:20 점심

세션2 달 넘어 더 먼 우주로 

13:20∼14:20 NASA의 DART 임무: 세계 최초로 지구방위에 나선다!

앤디 리프킨 / 존스홉킨스대학(미국) / DART 연구책임자

NASA의 Psyche 임무: 세계 최초로 금속 천체를 탐사한다!

짐 벨 / 애리조나주립대학(미국) / Psyche 공동연구책임자

ESA의 HERA 임무: DART가 충돌한 흔적을 탐사한다!

패트릭 미셀 / 꼬다쥐르천문대(프랑스) / HERA 연구책임자 

한국의 아포피스 임무: 한국 최초로 소행성을 탐사한다! 

최영준 / 한국천문연구원 / 아포피스 동행비행 임무 연구책임자

14:20∼14:30 커피 브레이크

키노트3 한국 발사체, 시장에서 어떤 경쟁력을 가질까

14:30∼15:00 파콤 레빌론 / 유로컨설트(프랑스) / 최고경영자(CEO) 

발표 누리호가 가져올 변화

15:00∼15:30 고정환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

오픈토크2 경쟁력 있는 발사체 개발을 위한 조건 

15:30∼16:15 진행 이영완 과학기자협회장

패널 고정환 항우연 본부장, 이창한 KAI 실장, 이준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상무, 안재명 KAIST 교수,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우주탐사그룹장

특별세션 [우주정책센터 정책포럼]누리호 이후, 국내 우주산업의 기회와 도전

16:15∼17:30 (발표1) 우주발사체 확보, 그 이 후의 우주개발

임종빈 / 국가우주정책센터 / 팀장

(발표2) 저궤도 위성통신에서 어떤 기회를 찾을 수 있을까 

최경일 / KT샛 / CTO

(발표3) 한화, 우주를 향한 여정 

이준원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발사체사업부장 

(발표4) 글로벌 위성 영상데이터 서플라이 체인 진입하기

최명진 / 한컴인스페이스 / 대표

(발표5) 우리는 우주로 나아간다

한창헌 / KAI / 뉴스페이스TF장(미래사업부문장)

키노트4 역동적인 우주경제를 위한 한국 우주산업의 육성전략

17:30∼18:00 권현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거대공공연구정책관 

오픈토크3 모든 산업에 스며드는 우주개발

18:00∼18:30 좌장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 

패널 신재식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과장, 조황희 국가우주정책센터 센터장,

최경일 KT샛 CTO, 이준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상무,

한창헌 KAI 뉴스페이스TF장(미래사업부문장), 최명진 한컴인스페이스 대표

18:30∼18:40 1일차 엔딩 리마크

□ 2일차 우주산업 컨퍼런스“탐색과 도전” 

시간 세부내용

08:30∼09:00 행사 참가 등록

키노트5 새로운 세대는 왜 행성간 인류의 삶을 설계해야 할까

09:00∼09:40 애리얼 에크블로우 / MIT 우주 탐사 이니셔티브(미국) / 이사

세션3 우주산업의 아이디어 발굴부터 투자까지

09:40∼10:40 (발표1)우주에서 가치를 포착하는 방법

클린트 크로져 / AWS(아마존웹서비스, 미국) / 항공우주 및 위성 사업담당 이사

(발표2)동북아 우주산업의 기회와 도전

프랑수아 베고 / 에어버스(유럽) / 디펜스 앤드 스페이스 우주사업 총괄 부사장

키노트 6 코로나19 위기 후 우주산업 환경의 변화

10:40∼11:10 채드 앤더슨 / 스페이스캐피털(미국) / 매니징 파트너

오픈토크4 우주 스타트업 론칭하기

11:10∼12:15 좌장 박재필 나라스페이스 대표

패널 조남석 무인탐사연구소 대표, 박상영 연세대 교수,

김의찬 항우연 연구원, 김현수 포스텍기술투자 심사역

12:15∼13:50 점심

13:50∼14:00 오후 세션 오프닝 

세션4 패러다임을 바꾸는 우주기술, 인텔리전스를 중심으로

14:00∼15:45 (발표1) SAR 군집위성, 빠르게 변하는 세상을 포착한다 

스티브 영 / 아이스아이(핀란드) / 사업개발 및 세일즈 부사장

(발표2)복잡한 환경에서 위험을 조기 예측하는 AI

멜라니 스트리클랜 / 슬링샷 에어로스페이스(미국) / 창업자

(발표3) 군집위성 산업의 성공 조건 

힐러리 야프 / 스파이어(미국) / 커뮤니케이션 총괄

15:45∼16:00 커피 브레이크

발표 아시아태평양, 우주산업의 다음 성장을 이끌다 

16:00~16:20 이시다 마사야수 / 스페이스타이드(일본) / 대표

오픈토크5 커넥티비티, 아태 우주산업의 협력 모델

16:20∼17:00 좌장 안형준 STEPI 연구위원 

패널 박재필 나라스페이스 대표, 김상돈 스타버스트 코리아 대표,

박시수 스페이스뉴스 기자, 아이스페이스 또는 NASA 아태지역담당

17:00 코리아 스페이스 포럼 2021 폐막 알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