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

과기정통부, 2022‘청년미소 프로젝트’본격 추진

하이거 2022. 1. 25. 14:46

과기정통부, 2022‘청년미소 프로젝트본격 추진

부서 소프트웨어정책과

 

 

과기정통부, 2022‘청년미소 프로젝트’본격 추진

 

- 소프트웨어 교육으로 디지털 청년들의 미래를 지원하는 기업-대학 협력형 인재양성 사업 추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장관 임혜숙)는 금주부터 청년미소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하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사업을 공고할 예정이다. 

* 청년미소 : 청년들의 미래를 소프트웨어 교육으로 준비한다

ㅇ 청년미소 프로젝트는 산업계 SW인력난 해소를 위해 지난해 6월 마련한 ‘민·관 협력기반 SW인재양성 대책’에 따라 신설된 기업-대학 협력형 SW인재양성 사업으로 구성되며, 각 사업별로 대학, 기업, 지자체, 협·단체 등 다양한 형태의 컨소시엄으로 지원 가능하다. 

 

<청년미소 프로젝트 주요 사항>

구분 사업명 ‘22년 예산 주요내용 선정규모

(양성인원)

비정규과정 캠퍼스 30.7억원 기업이 대학 내에서 수요에 맞는 SW인재를 양성하는 집중 교육과정 운영 4개 기업·대학 

SW아카데미 (200명) 컨소시엄

NW형 46.4억원 지역대학-산업체-지자체가 협력하여  4개 기업·대학

SW아카데미 (350명) 지역의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을 공동 운영 컨소시엄

기업멤버십 124억원 기업이 직접 교육과정에 참여해 특화된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채용으로 연계 5개 내외 기업·협회·단체 컨소시엄

SW캠프 (600명)

정규과정 AI융합 37.5억원 기업과 대학이 협력하여 AI융합 프로젝트 연구를 통해 고급 AI융합인재 양성 5개 대학(원)

혁신인재양성 (100명)

ㅇ 이번에 공고되는 SW인재 양성 사업은 산업계와 청년들의 교육 수요에 맞춰 기업이 교육과정 설계 및 강의 등에 직접 참여하고, 대학 또는 민간교육기관이 협력하는 교육과정을 통해 기업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인재를 집중 양성한다. 

□ [캠퍼스 SW아카데미] 기업이 대학 내에 “SW 인재 사관학교’를 설립하여 개발자를 직접 양성하는 사업을 신규 추진한다.

ㅇ 대학 재학생 등을 대상으로 선발하여 문제해결 중심의 프로젝트 수행 등 집중 교육을 실시하고, 대학은 교육 인프라 제공 등으로 교육을 지원하며, 올해 4개의 기업-대학 컨소시엄을 선발할 계획이다.

(’22년~’25년 1,900명 양성)

□ [네트워크형 캠퍼스 SW아카데미] 올해 4개 컨소시엄을 선발하는 ’네트워크형 캠퍼스 아카데미‘ 사업은 지역 대학-기업-지자체가 협력하여 운영하는 지역 기반의 SW 아카데미이다.

ㅇ 대학은 컴퓨터 공학 이론 등 체계적인 기초 교육을 실시하고, 이후 기업이 운영하는 산업 수요에 특화된 실무 중심의 심화교육을 통해 지역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청년 인재 양성을 지원할 계획이다.(‘22년~’25년 2,450명 양성)

□ [기업 멤버십 캠프] 개발자를 꿈꾸는 청년이 기업 맞춤형 실무 전문인력으로 성장하고 취업도 할 수 있는 ‘기업 멤버십 캠프’도 운영을 시작한다.

ㅇ 본 사업은 우수 중소·중견·벤처기업이 주관하여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SW개발 업무를 가장 잘 아는 재직자들이 참여하여 현업의 데이터와 업무 환경을 적용하여 생생한 교육을 실시 후, 수료생의 50% 이상 채용을 지원한다.(’22년~’25년 2,400명 양성)

□ [AI융합 혁신인재 양성] 산업계의 현안 해결을 위해 AI융합혁신인재 양성 사업을 신설(‘22∼’26년, 총사업비 472.5억원)하고 올해 5개 대학원을 선정한다. 

* (인공지능융합혁신인재) ’22년 5개 → ‘23년 4개(누적 9개, 1,260명 양성 예정)

ㅇ 대학은 기업과 함께 산·학 공동 AI융합 프로젝트(4년간, 대학당 10개) 발굴·연구를 통해 기업이 당면한 현안을 해결하고, 기업은 교육과정 설계 및 강의 등에 직접 참여하여 고급 AI융합 인재를 양성한다. 

ㅇ 본 사업은 산업계 재직자가 공동 연구에 참여하여 산학 융합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청년 연구자를 지도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 사업별 추진계획 및 사업공고 등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홈페이지를 통해 추후 확인할 수 있다. 

<주요 사업별 추진일정>

사업명 추진 일정 전담기관

캠퍼스 SW아카데미 공고(1.27 예정) → 평가‧선정(3~4월) → 교육 개시(7월) IITP

NW형 캠퍼스 SW아카데미 공고(1.27 예정) → 평가‧선정(3~4월) → 교육 개시(7월) IITP

기업멤버십 SW캠프 공고(1.25 예정) → 평가‧선정(3월) → 교육 개시(7월) IITP

AI융합혁신인재 공고(1.27 예정) → 평가‧선정(5월) → 신규 개원(9월) IITP

□ 과기정통부 김정삼 SW정책관은 “청년들이 디지털 분야에서 꿈과 희망을 갖고 도전할 수 있도록 청년미소 프로젝트를 적극 지원하여, 디지털 전환 시대의 청년의 미래를 함께 하겠다“며, 

ㅇ ”과기정통부는 산업계 및 지역 등이 원하는 현장 맞춤형 인재 양성을 위해 디지털 교육 지원을 공고히 하는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붙임 청년미소 프로젝트 사업별 추진사항 

 

캠퍼스 SW SW아카데미

□ 사업개요

 

ㅇ (목적) 대학의 교육자원 활용 및 기업이 가진 실전 노하우를 전수하여 역량이 검증된 경쟁력 있는 SW전문 인재양성

□ 공모 및 지원사항

 

ㅇ (참여형태) 대학(필수) + 기업(필수) + 전문 교육기관 등(선택) 컨소시엄

ㅇ (지원규모) 컨소시엄당* 연간 15억원(1차년도 7.5억원)

* ’22년 4개 컨소시엄 신규 선정

ㅇ (지원기간) 최대 4년(2년+2년)

ㅇ (기업 부담금) 사업비의 20% 이상 매칭

□ 교육 운영사항

 

ㅇ (양성인원) 컨소시엄 당 연 100명(1차년도 50명)

 

ㅇ (교육기간) 16주 이상

 

ㅇ (교육분야) SW 전 분야 가능

 

ㅇ (교육대상) 대학교 재학생 등 

 

ㅇ (교육생 선발) 선발 방법·기준은 컨소시엄이 자율 결정

□ 우대 사항(가점 부여)

 

ㅇ 수료생에 대한 채용 연계 계획을 제시할 경우

 

ㅇ 학점연계로 교육과정 개설시 

 

네트워크형 캠퍼스 SW SW아카데미

□ 사업개요

 

ㅇ (목적) 지역 SW인재양성 플랫폼 및 대학과 산업체의 지속 가능한 협업 체계로 지역산업의 SW인력 수요 대응 및 지역 청년 일자리 확대

□ 공모 및 지원사항

 

ㅇ (참여형태) 대학(필수 2개 이상) + 기업(필수) + 지역 진흥기관 등(선택) 컨소시엄

ㅇ (지원규모) 컨소시엄당* 연간 22.5억원(1차년도 11.25억원)

* ’22년 4개 컨소시엄 신규 선정

ㅇ (지원기간) 최대 4년(2년+2년)

ㅇ (기업 부담금) 사업비의 20% 이상 매칭

□ 교육 운영사항

 

ㅇ (양성인원) 컨소시엄 당 연 175명(1차년도 88명)

 

ㅇ (교육기간) 16주 이상

 

ㅇ (교육분야) SW 전 분야 가능

 

ㅇ (교육대상) 컨소시업 참여대학 재학생 등 

 

ㅇ (교육생 선발) 선발 방법·기준은 컨소시엄이 자율 결정

□ 우대 사항(가점 부여)

 

ㅇ 수료생에 대한 채용 연계 계획을 제시할 경우

 

ㅇ 학점연계로 교육과정 개설시 

 

기업 멤버십 SW캠프

□ 사업개요

 

ㅇ (사업목적) 기업 수요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으로 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중·고급 인재 양성 및 채용연계 지원

 

ㅇ (수행기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전문), 협단체·기업 등 컨소시엄(주관)

 

ㅇ (ˊ22년 예산) 116억원 내외

□ 지원내용

 

ㅇ (지원기간) 최대 4년(2년+1년+1년)

 

ㅇ (지원대상) 협·단체, 멤버십 기업, 교육기관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

※ (필수구성) 협·단체, 멤버십 기업

 

ㅇ (지원규모) ˊ22년 총 600명* 양성

* (교육대상) SW역량을 갖춘 만 34세 이하 청년 미취업자

 

ㅇ (지원분야) ➀ 디지털·SW기업이 주도하는 SW전문캠프, 

➁ 非 디지털·SW 기업이 주도하는 SW+α(융합) 캠프

□ 운영방식

 

ㅇ (교육운영) 8개월 집중교육(~ˊ23.2), 전체 교육과정의 50%이상을 실무 프로젝트로 구성, 프로젝트 당 1인 이상의 현직자 멘토 배정 등

 

ㅇ (채용연계) 멤버십 기업에서 교육인원의 50% 이상 채용 의무

 

 

인공지능 융합 혁신인재 양성

□ 사업 개요

ㅇ (목적) 산업 디지털 전환에 필요한 인공지능 융합 연구를 지원하고, 실무능력을 갖춘 인공지능 실무형 고급(석·박사급) 전문 인재양성

ㅇ (’22년 예산) 37.5억원(’26년까지 총 472.5억원 지원, 9개 대학* 선정·지원)

* (’22년) 5개 대학(원) 선정, (’23년) 4개 대학(원) 선정

□ 지원 사항 및 참여 요건

ㅇ (지원대상) ICT분야 대학원이 설치된 국내 대학(원)*

* 기존 AI융합연구센터 운영 대학은 지원 가능, AI대학원 운영 대학은 주관기관으로 참여 제외

ㅇ (지원규모) 대학당 연 15억원(1년차는 7.5억원)

ㅇ (지원기간) 최대4년(2년+2년)

ㅇ (필수요건)

- 석(박)사학위 과정 운영, 대학원생 정원 40명(1차년도 20명) 확보

- 교원 겸직 학칙 반영, 산학공동 프로젝트 10건 이상(4년간) 수행 등

□ 주요 내용(안)

ㅇ (AI융합연구) 대학-기업이 협력하여 산학공동 AI융합 프로젝트 기획·발굴 및 연구 수행(대학당 4년간 10개 이상)

- 기업이 직면한 현장의 문제에 대하여 대학-기업이 함께 AI를 활용한 협력 프로젝트로 구성하여 해결, 워크북 형태로 작성·공유 

ㅇ (AI융합교육) 기업이 직접 AI융합 프로젝트 기반의 교육과정 설계에 참여하고, 필요 시 기업 재직자가 겸직을 통해 직접 강의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