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7월 자동차산업 동향(잠정)
담당부서 자동차과등록일 2022-08-16
2022년 7월 자동차산업 동향(잠정)
- 자동차 月수출액 첫 50억 달러대 달성, 7년 7개월 만에 최고치 경신 -
- 친환경차 수출물량(5.4만대)·금액(14.7억불) 모두 역대 최고 -
- 하이브리드차·전기차 최고 실적 → 친환경차 수출 최초 5만대 돌파 -
【자동차】
□ (총괄)‘22년 7월 자동차산업은 생산(+9.1%)과 수출물량(+23.1%), 수출금액(+25.3%)은 전년동월 대비 증가, 내수는 감소(△3.0%)한 것으로 잠정 집계
ㅇ 글로벌 공급망 불안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부품 수급난이 다소 완화되어 완성차社 모두 전년동월 대비 생산과 수출이 증가했지만,
ㅇ 국산차 내수판매는 전년동월 수준인 반면, 수입차가 크게 감소하여 전체 내수는 전년동월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분석
【 ‘22년 7월 자동차산업 실적 (단위:대, 억불, %) 】
구 분 ’22.7월 전월비(%) 전년동월비(%) ’22.1-7月 전년동기비(%)
생 산 324,668 △1.1 9.1 2,103,707 △0.4
내 수 143,293 △1.9 △3.0 950,898 △10.2
국산차 121,852 0.8 △0.8 790,802 △9.4
수입차 21,441 △15.0 △13.8 160,096 △13.8
수 출 223,633 30.2 23.1 1,296,658 4.6
수출금액 51.4 30.6 25.3 294.9 6.5
부품수출금액 20.3 8 2.1 138.3 1.8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무역협회
□ (생산) 車반도체 및 부품 수급난 일부 완화로 전년동월 대비 9.1% 증가한 324,668대 생산하여‘19.7월 이후 3년 만에 5개월 연속 30만대 상회
* 월별 생산대수(전년동월比) : (3월) 302,156대(△9.5%) → (4월) 306,462대(△5.3%) → (5월) 307,048대(+19.8%) → (6월) 328,360대(+0.8%) → (7월) 324,668대(+9.1%)
ㅇ 이번 달은 완성차社 모두 전년동월 대비 생산량이 증가했는데, 특히 중형 3社는 두 자릿수로 증가하여 3개월 연속 증가세에 기여
* 업체별 생산대수(전년동월比) : (현대) 142,150대(+3.4%), (기아) 128,980대(+9.0%), (한국GM) 23,356대(+17.4%), (쌍용) 10,560대(+34.0%), (르노코리아) 18,728대(+39.7%)
ㅇ 중형 3社 생산 증가의 주요 원인은 개선된 부품 수급 상황과 쌍용차의 신차(토레스) 출시에 따른 주간 2교대 근무 재개* 등인 것으로 분석
* 회생절차 개시 이후, 생산직 순환 무급휴직 50% 실시하여 주간 1교대 근무체제 유지
□ (내수) 국산차는 친환경차 판매호조로 전년동월 수준이지만, 수입차가 크게 감소하여 전체 내수는 전년동월 대비 3.0% 감소한 143,293대
ㅇ 베스트셀링카(승용) TOP5는 모두 국산차가 차지
‘22.7월 베스트 셀링카 TOP5 (대) ‘22.1~7월 베스트 셀링카 TOP5 (대)
- (국산차) 기아의 친환경차 판매호조와 쌍용차 신차 출시효과 등에 힘입어 전년동월 수준인 121,852대 판매(전년동월比 △0.8%)
- (수입차) 외국계 브랜드 대부분 판매량이 감소하여 전년동월 대비 13.8% 감소한 21,441대를 판매, 11개월 연속 감소세 기록 중
* 국가별 판매 증감률(%) : (BMW) △8.8, (벤츠) △23.0, (Audi) △29.1, (볼보) △11.7
(폭스바겐) +10.6, (도요타) △11.4, (혼다) +6.4 등
□ (수출) 물량은 전년동월 대비 23.1% 증가한 223,633대, 금액은 25.3% 증가한 51.4억불로 모두 두 자릿수로 증가하여 코로나19 이전 수준 상회
* (물량) ‘19.7월 205,308대 → ’22.7월 223,633대, (금액) ‘19.7월 38.2억불 → ’22.7월 51.4억불
ㅇ (물량) 지난 달 화물연대 운송거부로 선적 지연된 물량의 이월과 생산 증가 등으로‘20.3월 이후 28개월 만에 20만대 상회
- 완성차社 모두 전년동월 대비 수출물량이 증가했는데, 특히 기아와 중형 3社는 두 자릿수 이상 증가
* 업체별 수출대수(전년동월比) : (현대) 91,649대(+9.6%), (기아) 94,700대(+26.5%), (한국GM) 19,976대(+36.8%), (쌍용) 4,592대(+88.0%), (르노코리아) 12,416대(+104.4%)
- 기아는 지난 달 출하차질 규모가 비교적 크고, 중형 3社는 증가한 생산량과 선박 일정에 따른 이월 물량이 발생하여 대폭 증가
ㅇ (금액) 수출물량 증가 및 친환경차 최고 수출실적에 힘입어 사상 첫 50억 달러대를 달성하여‘14.12월 이후 7년 7개월 만에 최고치 경신
- 지역별로는 북미, EU 등 자동차 주요 수출 지역 외에도 신흥시장으로의 수출도 고르게 증가하여 월간 기준 역대 1위 실적 달성
* ‘22.7월 자동차 지역별 잠정 수출(백만불, 전년동월比): 북미(2,436, +35.7%), EU(785, +4.0%), 기타유럽(394, △28.5%), 중동(416, +4.8%), 중남미(218, +14.1%), 아프리카(42, △7.2%), 오세아니아(358, +28.8), 아시아(478, +84.4%)
‘22.7월 수출 모델 TOP5(대) ‘22.1~7월 수출 모델 TOP5(대)
【친환경차】
□ (총괄) 내수는 전년동월 대비 26.8% 증가한 37,735대, 수출은 60.1% 증가한 54,222대로 내수・수출 모두 견조한 호조세 유지
‘22.1~7월 친환경차 월별 판매 현황 ‘22.1~7월 친환경차 월별 수출 현황
□ (내수) 전기차가 전년동월 대비 2배 이상 증가하여 역대 판매기록을 경신, 이에 힘입어 친환경차 내수판매는 동월 간 최고 실적 달성
* 연료별 판매대수(전년동월比) : 하이브리드차 21,552대(+4.6%), 전기차 14,708대(+102.9%),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902대(△36.0%), 수소차 573대(+16.9%)
ㅇ 또한, 전기차는 다양한 모델로 월 판매실적 TOP 3를 모두 올해 기록하여 친환경차 내수판매의 6개월 연속 증가세에 기여하였고,
* 전기차 내수판매 순위 : (1위) ‘22.7월 14,708대, (2위) ’22.5월 14,393대, (3위) ‘22.3월 13,936대
-‘22.7월 기준 누적 전기차 보급대수(31.4만대)는 30만대를 돌파하여 친환경차(140만대)는 전체 자동차 등록대수의 5.6%를 차지
ㅇ 국산 친환경차는 전년동월 대비 43.6% 증가한 29,668대, 수입 친환경차는 11.3% 감소한 8,067대를 판매하여 국산차가 친환경차 내수판매를 견인
- 국산차는 全차종 전년동월 대비 두 자릿수 증가하였고, 특히 전기차는 두 배 가까이 증가하여 2개월 만에 국산 전기차 최고 판매실적 경신
* 국산 하이브리드차 판매 : (‘21.7월) 13,358대 → (’22.7월) 15,983대(+19.7%)
* 국산 전기차 판매 : (‘21.7월) 6,806대 → (’22.7월) 13,112대(+92.7%)
* 국산 수소차 판매 : (‘21.7월) 490대 → (’22.7월) 573대(+16.9%)
- 수입차는 전기차가 전년동월 대비 대폭 증가(+260.3%)했지만, 그 외 다른 차종이 모두 감소하여 3개월 연속 두 자릿수 감소세 기록
* 수입 하이브리드차 판매 : (‘21.7월) 7,242대 → (’22.7월) 5,569대(△23.1%)
* 수입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판매 : (‘21.7월) 1,409대 → (’22.7월) 902대(△36.0%)
* 수입 전기차 판매 : (‘21.7월) 443대 → (’22.7월) 1,596대(+260.3%)
□ (수출) 물량은 전년동월 대비 60.1% 증가한 54,222대, 금액은 50.6% 증가한 14.7억불로 모두 19개월 연속 플러스를 시현하며 최고치 경신
ㅇ (물량)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가 전년동월 대비 두 자릿수로 증가하여 月 수출물량 최초 5만대를 돌파하며 전체 자동차 수출의 24.2% 차지
* 연료별 수출대수(전년동월比) : 하이브리드차 31,433대(+70.1%), 전기차 20,493대(+73.7%),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2,268대(△35.4%), 수소차 28대(△68.5%)
-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모두 최고 실적을 달성하며, 각각 최초로 3만대와 2만대를 돌파하여 친환경차 수출을 견인
- 모델별로는 하이브리드차는 작년부터 수출 본격화된 XM3와 올해 출시된 니로, 전기차는 EV6를 비롯한 다양한 모델이 수출확대 기여
ㅇ (금액) 월 수출액 최초 10억불 돌파(‘21.9월) 이후, 11개월 연속 10억불을 상회하며 전체 자동차 수출액의 28.6%를 차지
* 연료별 수출액(전년동월比) : 하이브리드차 6.7억불(+60.9%), 전기·수소차 7.3억불(+68.4%),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0.8억불(△40.0%)
- 또한,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수소차 수출액도 3개월, 7개월 만에 각각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것으로 집계
【자동차 부품】
□‘22.7월 자동차 부품 수출은 경제성장 둔화에 따른 수요 위축에도 불구, 국내 브랜드 판매 호조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2.1% 증가한 20.3억불
* ‘22.7월 자동차부품 지역별 잠정 수출(백만불, 전년동월比): 북미(744, +19.2%), EU(343, +5.2%), 기타유럽(76, △62.9%), 중동(76, △8.3%), 중남미(270, +20.5%), 아프리카(5, △29.5%), 오세아니아(12, +5.5%), 아시아(507, △0.9%)
【붙 임】1~4. 7월 자동차 생산, 내수, 수출, 친환경차 동향
5~6. 7월 업체별 자동차 및 승용차 판매 현황
참고 1 7월 자동차 생산 동향
□ (총괄) 공급망 차질의 점진적 완화 추세와 더불어 지난해부터 촉발된 반도체 수급난으로 인한 기저효과로 9.1% 증가한 324,668대 생산
ㅇ (현대) 아반떼(21,481대), 쏘나타(12,110대), 코나(17,701대) 등 주요 차종의 생산 증가로 전년동월 대비 3.4% 증가한 142,150대
ㅇ (기아) 페이스리프트 공개한 셀토스(13,950대, +78.6%) 등의 생산이 증가하며 전년동월 대비 9% 증가한 128,980대
ㅇ (한국지엠) 협력업체 부품공급 중단 이슈로 생산이 2주 중단되었지만 車반도체 기저효과로 전년동월 대비는 17.4% 증가한 23,356대
ㅇ (쌍용) 중형 SUV 토레스 생산 개시에 따라 주간2교대 체제로 변경하여 월 1만대 생산 달성, 전년동월 대비 34% 증가한 10,560대
ㅇ (르노코리아) XM3 수출물량 확대로 생산이 대폭 확대(13,529대, +94.6%)되며 전년동월 대비 39.7% 증가한 18,728대
< ’22.7월 업체별 생산 현황 >
(단위 : 대, %)
구 분 ’22.7월 전월비 전년동월비 ’22.1-7월 전년동기비
점유율
합 계 324,668 100 △1.1 9.1 2,103,707 △0.4
현 대 142,150 43.8 △4.0 3.4 959,998 △0.8
기 아 128,980 39.7 △0.3 9 837,236 △2.5
한국지엠 23,356 7.2 △16.0 17.4 147,941 △12.8
쌍 용 10,560 3.3 28.1 34 58,503 24.6
르노코리아 18,728 5.8 35.8 39.7 94,528 45.5
타타대우 894 0.3 △11.6 36.5 5,501 12.9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참고 2 7월 자동차 내수 판매 동향
□ (총괄) 국산차는 전년동월 수준이지만, 수입차가 크게 감소하여 전체 내수는 전년동월 대비 3.0% 감소한 143,293대
ㅇ (현대) 반도체 수급난 지속으로 전년동월 대비 5.9% 감소한 56,305대, 이 중 제네시스 브랜드는 12% 감소한 10,512대
ㅇ (기아) EV6, 신형 니로(SG2), 쏘렌토 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 판매 증가가 두드러지며 전년동월 대비 6.6% 증가한 51,355대
ㅇ (한국지엠) 스파크(1,005대, △36%) 등의 생산 차질로 인한 출고 감소로 전년동월 대비 15.7% 감소한 4,117대
ㅇ (쌍용) 신차 토레스(2,752대) 출시 효과로 전월 대비 33%, 전년동월 대비 7.9% 증가한 6,100대
ㅇ (르노코리아) XM3 수출물량 증가로 인해 상대적으로 내수는 감소하여 전년동월 대비 14.1% 감소한 4,257대
ㅇ (수입차) 글로벌 완성차 생산량 감소의 여파로 13.8% 감소한 21,441대를 판매,‘21.9월 이후 11개월 연속 감소세 기록
< ’22.7월 업체별 내수판매 현황 >
(단위 : 대, %)
구 분 ’22.7월 전월비 전년동월비 ’22.1-7월 전년동기비
점유율
합 계 143,293 - △1.9 △3.0 950,898 △10.2
현 대 56,305 39.3 △5.4 △5.9 390,701 △12.4
기 아 51,355 35.8 13.8 6.6 313,887 △3.9
한국지엠 4,117 2.9 △7.1 △15.7 21,670 △43.0
쌍 용 6,100 4.3 33 7.9 34,277 6.2
르노코리아 4,257 3 △43.4 △14.1 30,487 △9.8
타타대우 740 0.5 3.4 39.9 4,356 15.5
수입차 21,441 15 △15.0 △13.8 160,096 △13.8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 한국지엠ㆍ르노코리아 수입 판매차는 해당 브랜드 판매실적에 포함
참고 3 7월 자동차 수출 동향
□ (총괄) 지난 달 화물운송 차질로 인한 미선적분의 해소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23.1% 증가한 223,633대 기록,‘19.5월(225,191대) 이후 최대치
ㅇ (현대) 선적 지연된 물량 이월로 전년동월 대비 9.6% 증가한 91,649대이며, 제네시스 브랜드는 7.4% 증가한 7,443대
ㅇ (기아) 선적 차질 물량의 해소와 더불어 친환경차 해외판매 증가로 전년동월 대비 26.5% 증가한 94,700대
ㅇ (한국지엠) 트레일블레이저(15,239대, +29.6%), 트랙스(2,532대, +173.7%) 수출 확대로 전년동월 대비 36.8% 증가한 19,976대
ㅇ (쌍용) 렉스턴스포츠(1,738대, +132%), 코란도(1,029대, +64.4%)의 수출호조로 전년동월 대비 88% 증가한 4,592대
ㅇ (르노코리아) XM3(11,431대, +135.1%) 수출물량 증가로 전년동월 대비 104.4% 증가한 12,416대
< ’22.7월 업체별 수출 현황 >
(단위 : 대, %)
구 분 ’22.7월 전월비 전년동월비 ’22.1-7월 전년동기비
점유율
합 계 223,633 100 30.2 23.1 1,296,658 4.6
현 대 91,649 41 23.9 9.6 563,194 4.8
기 아 94,700 42.3 44.1 26.5 518,486 0.5
한국지엠 19,976 8.9 △16.9 36.8 127,159 △6.7
쌍 용 4,592 2.1 35.3 88 24,004 50.5
르노코리아 12,416 5.6 176.2 104.4 62,342 88
타타대우 300 0.1 102.7 119 1,473 58.6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참고 4 7월 친환경 자동차 동향(내수/수출)
□ (내수) 전기차 최고 실적에 힘입어 전년동월 대비 26.8% 증가한 37,735대를 판매하였고, 6개월 연속 증가세 기록
ㅇ 또한, 전기차는 다양한 모델에 힘입어 친환경차 內 판매 비중(39%)도 전년동월 대비 대폭 증가(14.6%p↑)
* 친환경차 차종별 내수판매 비중(‘21.7월→’22.7월) : (하이브리드) 69.2%→57.1%, (전기) 24.4%→39%, (플러그인하이브리드) 4.7%→2.4%, (수소) 1.6%→1.5%
< ’22.7월 친환경차 차종별 내수 현황 >
(단위 : 대, %)
구 분 ’22.7월 전월비 전년동월비 ’22.1-7월 전년동기비
점유율
합 계 37,735 100 △4.5 26.8 248,209 33.1
하이브리드 21,552 57.1 △15.3 4.6 152,350 24.8
전기차 14,708 39 20.8 102.9 82,312 76
플러그인하이브리드 902 2.4 △7.0 △36.0 8,089 △36.4
수소차 573 1.5 △36.8 16.9 5,458 11.3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 (수출) 물량은 전년동월 대비 60.1% 증가한 54,222대, 금액은 50.6% 증가한 14.7억불로 모두 19개월 연속 플러스를 시현하며 최고치 경신
ㅇ (물량)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가 모두 최고 실적을 달성하여 친환경차 月 수출물량 최초 5만대 돌파, 전체 자동차 수출의 24.2% 차지
ㅇ (금액) 월 수출액 최초 10억불 돌파(‘21.9월) 이후, 11개월 연속 10억불을 상회하며 전체 자동차 수출액의 28.6%를 차지
* 연료별 수출액(전년동월比) : 하이브리드차 6.7억불(+60.9%), 전기·수소차 7.3억불(+68.4%),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0.8억불(△40.0%)
< ’22.7월 친환경차 차종별 수출 현황 >
(단위 : 대, %)
구 분 ’22.7월 전월비 전년동월비 ’22.1-7월 전년동기비
점유율
합 계 54,222 100 46.5 60.1 305,967 41.1
하이브리드 31,433 58 71.6 70.1 160,647 34
전기차 20,493 37.8 44.1 73.7 116,387 56.2
플러그인하이브리드 2,268 4.2 △49.2 △35.4 28,759 33.5
수소차 28 0.1 3.7 △68.5 174 △78.7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참고 5 7월 업체별 자동차 국내 판매 현황
(단위 : 대, %)
구 분 ’22.7월 ’22.1-7 ’22.6월 ‘21.7월 증감율
점유율 전월비 전년동월비 전년동기비
합 계 143,293 100 950,898 146,102 147,697 △1.9 △3.0 △10.2
현 대 56,305 39.3 390,701 59,510 59,856 △5.4 △5.9 △12.4
기 아 51,355 35.8 313,887 45,110 48,160 13.8 6.6 △3.9
쌍 용 6,100 4.3 34,277 4,585 5,652 33 7.9 6.2
BMW 5,490 3.8 43,042 6,449 6,022 △14.9 △8.8 1.8
Mercedes-Benz 5,456 3.8 44,653 5,845 7,083 △6.7 △23.0 △9.3
르노코리아 4,257 3 30,487 7,515 4,958 △43.4 △14.1 △9.8
한국지엠 4,117 2.9 21,670 4,433 4,886 △7.1 △15.7 △43.0
Audi 1,865 1.3 10,335 1,903 2,632 △2.0 △29.1 △23.0
Volkswagen 1,041 0.7 7,543 1,099 941 △5.3 10.6 △22.2
Volvo 1,018 0.7 8,031 1,306 1,153 △22.1 △11.7 △8.6
MINI 945 0.7 6,721 1,086 870 △13.0 8.6 △4.6
Ford 935 0.7 2,917 378 300 147.4 211.7 △24.9
타타대우 740 0.5 4,356 716 529 3.4 39.9 15.5
Toyota 612 0.4 3,475 626 691 △2.2 △11.4 △11.1
Porsche 574 0.4 5,268 669 699 △14.2 △17.9 △13.1
Lexus 507 0.4 3,651 734 1,027 △30.9 △50.6 △38.1
Jeep 426 0.3 3,706 644 1,003 △33.9 △57.5 △46.5
Polestar 411 0.3 1,347 57 0 621.1 - -
Honda 348 0.2 1,950 469 327 △25.8 6.4 △3.2
Land Rover 206 0.1 1,464 182 239 13.2 △13.8 △11.8
Lincoln 140 0.1 1,745 213 164 △34.3 △14.6 △23.8
Peugeot 120 0.1 1,090 124 171 △3.2 △29.8 △12.6
Cadillac 111 0.1 462 70 78 58.6 42.3 △20.3
Bentley 95 0.1 438 80 47 18.8 102.1 71.8
Maserati 40 0 400 60 62 △33.3 △35.5 △14.3
Lamborghini 30 0 178 35 34 △14.3 △11.8 △16.8
Rolls-Royce 24 0 143 18 20 33.3 20 △0.7
Jaguar 13 0 120 20 14 △35.0 △7.1 △51.4
DS 12 0 56 3 0 300 - -
Tesla 0 0 6,746 2,163 22 △100.0 △100.0 △42.1
Citroen 0 0 39 0 57 - △100.0 △86.2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참고 6 7월 업체별 승용차 국내 판매 현황
(단위:대, %)
구 분 ’22.7월 ’22.1-7 ’22.6월 ‘21.7월 증감율
점유율 전월비 전년동월비 전년동기비
합 계 121,287 100 821,912 128,334 126,702 △5.5 △4.3 △9.9
기 아 44,635 36.8 274,356 40,518 42,774 10.2 4.4 △4.1
현 대 41,786 34.5 306,058 47,193 44,833 △11.5 △6.8 △12.0
쌍 용 6,100 5 34,277 4,585 5,652 33 7.9 6.2
BMW 5,490 4.5 43,042 6,449 6,022 △14.9 △8.8 1.8
Mercedes-Benz 5,456 4.5 44,653 5,845 7,083 △6.7 △23.0 △9.3
르노코리아 4,230 3.5 30,031 7,372 4,901 △42.6 △13.7 △9.9
한국지엠 4,117 3.4 21,670 4,433 4,886 △7.1 △15.7 △37.3
Audi 1,865 1.5 10,335 1,903 2,632 △2.0 △29.1 △23.0
Volkswagen 1,041 0.9 7,543 1,099 941 △5.3 10.6 △22.2
Volvo 1,018 0.8 8,031 1,306 1,153 △22.1 △11.7 △8.6
MINI 945 0.8 6,721 1,086 870 △13.0 8.6 △4.6
Ford 935 0.8 2,917 378 300 147.4 211.7 △24.9
Toyota 612 0.5 3,475 626 691 △2.2 △11.4 △11.1
Porsche 574 0.5 5,268 669 699 △14.2 △17.9 △13.1
Lexus 507 0.4 3,651 734 1,027 △30.9 △50.6 △38.1
Jeep 426 0.4 3,706 644 1,003 △33.9 △57.5 △46.5
Polestar 411 0.3 1,347 57 0 621.1 - -
Honda 348 0.3 1,950 469 327 △25.8 6.4 △3.2
Land Rover 206 0.2 1,464 182 239 13.2 △13.8 △11.8
Lincoln 140 0.1 1,745 213 164 △34.3 △14.6 △23.8
Peugeot 120 0.1 1,090 124 171 △3.2 △29.8 △12.6
Cadillac 111 0.1 462 70 78 58.6 42.3 △20.3
Bentley 95 0.1 438 80 47 18.8 102.1 71.8
Maserati 40 0 400 60 62 △33.3 △35.5 △14.3
Lamborghini 30 0 178 35 34 △14.3 △11.8 △16.8
Rolls-Royce 24 0 143 18 20 33.3 20 △0.7
Jaguar 13 0 120 20 14 △35.0 △7.1 △51.4
DS 12 0 56 3 0 300 - -
Tesla 0 0 6,746 2,163 22 △100.0 △100.0 △42.1
Citroen 0 0 39 0 57 - △100.0 △86.2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판교핫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벤처투자 규제 혁신을 위한 「벤처투자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0) | 2022.08.17 |
---|---|
고용보험 가입 소상공인 누구나 신청만 하면 고용보험료 지원-소상공인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0) | 2022.08.17 |
“자동차 부품산업의 새로운 활력, 기업주도의 사업재편에서 찾아봅시다!”-산업차관, 자동차 부품사 ㈜이씨스 제1공장 방문 (0) | 2022.08.17 |
에너지안전분야 교육 및 관리 업무 규제혁신 (0) | 2022.08.17 |
산업부 장관, 바이오헬스‧이차전지‧화장품 등 유망산업 수출동력화 지원 확대 (0) | 2022.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