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19년 국내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 실적 발표-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수입 2,273억원으로 역대 최고치, 기술이전율 35.9% 달성

하이거 2021. 3. 17. 13:41

’19년 국내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 실적 발표-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수입 2,273억원으로 역대 최고치, 기술이전율 35.9% 달성

 

담당부서산업기술시장혁신과 등록일2021-03-17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수입 2,273억원으로 역대 최고치, 기술이전율 35.9% 달성

- ’19년 국내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 실적 발표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국내 공공연구기관(공공연구소, 대학)의 기술이전·사업화 현황 파악을 위해 실시한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사업화 실태조사’의 결과를 발표했다.

◁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 사업화 실태조사 개요 ▷

ㅇ 조사대상 : 공공연구기관 284개(공공연구소 141개, 대학 143개)
ㅇ 조사내용 : ’19년 기술이전 건수, 기술이전 수입 등 기술이전·사업화 관련 지표
ㅇ 근거법령 :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제8조

□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경제여건 속에서도 ’19년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수입은 전년 대비 19.8% 증가한 2,273억원으로 나타나 ’07년 동 조사를 시작한 이래 역대 최고치를 달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기술이전수입 : (’18) 189,700백만원 → (’19) 227,314백만원

ㅇ 또한,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율은 35.9%로 전년보다 1.6%p 증가했으며, 신규확보기술 건수(32,481건, 1.4%↑)와 기술이전 건수(11,676건, 6.1%↑)도 전년 대비 각각 증가하였다.

* 기술이전율(기술이전 건수/신규확보기술 건수) : (’18) 34.3% → (’19) 35.9%
* 신규확보기술 건수 : (’18) 32,046건 → (’19) 32,481건
* 기술이전 건수 : (’18) 11,002건 → (’19) 11,676건

<기술이전수입(백만원)> <기술이전율(%)>


ㅇ 또한, 이전된 기술 중 약 78.3%가 중소기업으로 이전되어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 연구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이전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 대기업(249건, 2.1%), 중견기업(265건, 2.3%), 중소기업(9,145건, 78.3%) 등

□ 산업통상자원부는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사업화 활성화를 위해 동 조사의 결과를 각종 기술이전 및 사업화 정책에 활용할 계획이다.

ㅇ 특히, 공급자-수요자 간 신속한 기술거래 촉진을 위해 맞춤형 기술 추천 및 거래·평가정보 제공이 가능한 AI·빅데이터 기반 기술거래 플랫폼(NTB, 국가기술은행)*을 상반기 중 구축·서비스할 예정이다.
* 제7차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계획(’20.9월)

ㅇ 아울러, 중소·중견기업으로 이전된 공공연구기관 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R&D지원 사업인 ‘R&D재발견프로젝트’의 지원 확대를 통해 중소·중견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 ‘R&D재발견프로젝트’ 지원 예산 : (’20년) 9,104백만원 → (’21년) 10,300백만원

□ 산업부 김상모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이번 조사 결과, 기술이전수입이 크게 증가한 것은 시장 중심의 공공 R&D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그간의 노력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라며

ㅇ “시장이 원하는 기술성과의 신속한 이전 및 사업화를 위해 공공기술의 전용실시 활성화 등 사업화 관점의 제도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한편, 금번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사업화 실태조사는 이외에도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사업화 활동 전반에 대하여 이루어졌으며, 본 보고서는 국가기술은행 누리집(www.ntb.kr)에 이달 말 게재할 예정이다.

붙임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사업화 실태조사결과(요약)

■ 조사 개요

ㅇ 조사목적 : 공공연구기관(대학, 연구소)의 기술이전․사업화 현황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기술이전․사업화 촉진 정책의 수립 및 추진에 활용함으로써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사업화 활동을 지원하고, R&D 생산성을 제고

ㅇ 조사 및 분석 기간 : ’20. 6. 24 ~ 10. 8 (조사대상연도 ’19년)

ㅇ 조사도구 : 공공 기술이전․사업화 조사표
※ 국가승인통계 제115022호

ㅇ 조사기관 :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ㅇ 조사대상 : 공공연구기관 298개 (공공연구소 148개, 대학 150개)
- 모집단 중 본 조사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기관(신학대학, 교육대학, 정부산하 R&D지원 기관 등)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

ㅇ 응답기관 : 284개 (95.3%)


기술이전 건수와 기술이전율

□ 2019년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건수는 11,676건으로 전년도(11,002건)와 비교하여 6.1% 증가

ㅇ 2019년도 기술이전율은 35.9%로 전년 대비 1.6%p 증가

* 기술이전율 = (당해연도)기술이전건수/(당해연도)신규기술보유건수

< 연도별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율(%) >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기술이전율(%) 38.6 38 37.9 34.3 35.9
기술이전(건) 11,614 12,357 12,503 11,002 11,676
신규확보 30,108 32,491 32,953 32,046 32,481
기술건수(건)
유형별 기술이전 실적

□ 기술이전 건수 중 공공연구기관에서 중소기업으로의 기술이전이 78.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 기술도입자 유형별 기술이전 현황 >
구분 이전된 기술건수 및 비율
대기업 249건 -2.10%
중견기업 265건 -2.30%
중소기업 9,145건 -78.30%
해외기관 1,694건 -14.50%
기타 323건 -2.80%

□ 기술 유형별 이전기술은 특허 69.3% 등으로 조사됨

< 기술유형별 기술이전 현황 >
구분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기타
비율(%) 69.3 0.2 0.8 0.3 29.4

* 기타 : 노하우, 소프트웨어, 반도체 배치 설계, 기술정보 등 산업재산권에 속하지 않는 기술

기술이전 수입

□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 수입은 ’15년 이후로 5년 연속 1,700억원 이상을 달성하였으며, ’19년은 약 2,273억원으로 역대 최고치 달성

ㅇ 공공연구소의 기술이전 수입은 약 1,419억원으로 전년대비 약 310억원 증가하였으며, 대학은 약 854억원으로 전년도보다 약 66억원 증가

< 연도별 기술이전 수입(백만원) >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전체 204,170 177,113 182,718 189,700 227,314
공공 142,378 108,822 112,683 110,909 141,886
연구소
대학 61,792 68,291 70,035 78,791 85,428
ㅇ 기술 건당 기술이전 수입은 19.5백만원으로 전년도(17.2백만원)와 비교하여 13.4% 증가하였으며, 최근 4년간 지속적 증가추세

< 기술건당 기술이전 수입 >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기술건당 기술이전 수입 17.6 14.3 14.6 17.2 19.5

? 기술이전·사업화 장애요인

□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 사업화에 주요한 장애요인은 수요 기업 발굴의 어려움(21.2%), 기관 인력·예산 부족(16.3%) 등으로 나타남

기술공급자 입장에서 기술이전·사업화 장애요인 비율(%)
기술을 도입하거나 사업화를 진행할 기업, 창업가 등의 발굴 어려움 21.2
기술이전‧사업화 활동을 위해 활용 가능한 기관 인력 및 예산 부족 16.3
기술이전‧사업화 대상이 되는 사업성이나 가치가 높은 기술 부족 16.1
대학‧공공연 보유기술의 사업성‧가치에 대한 수요자의 낮은(부정적) 인식 10.7
연구자(기술개발자)의 기술이전‧사업화 활동에 대한 인식‧참여 저조 10.3
기술이전‧사업화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기관차원의 제도‧인센티브 부족 9.9
개별기관의 기술이전‧사업화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정부차원의 제도‧인센티브 부족 7.4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의 양도 제한 등과 같은 제한 규정의 존재 4.1
기술이전‧사업화 이후의 성과 관리의 어려움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