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IEC 부산총회」폐회,‘표준강국 대한민국’으로 재조명-역대 최대 규모 대표단 참석, 4차 산업혁명 전기전자분야 표준 논의
담당부서국제표준과 등록일2018-10-29
「2018 IEC 부산총회」폐회,‘표준강국 대한민국’으로 재조명
- 역대 최대 규모 대표단 참석, 4차 산업혁명 전기전자분야 표준 논의 -
□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총회 역사상 최대 규모의 대표단이 참석한 제82차 ’2018 IEC 부산총회‘가 26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ㅇ 이번 총회는 최종 92개 국가의 3,300여명이 참석하였으며, 2019년 새로운 임기를 시작하는 IEC 회장에 중국 스테이트그리드(State Grid Corporation of China)의 슈인비아오(Yinbiao Shu)가 선출되는 등 정책임원의 선거가 이루어졌다.[붙임 2]
ㅇ 특히, 성균관대 이병국 교수는 적합성평가위원회* 위원으로 재선임 되었으며,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인하대 김춘우 교수는 ’공통측정법‘ 컨비너를, 서울과기대 홍형기 교수는 ’아이웨어‘ 공동 컨비너를 수임하였다.[붙임 3]
* 적합성평가위원회(CAB, Conformity Assessment Board): IEC 표준에 따른 시험인증제도를 총괄하며, IEC의 인증제도(국제전기기기인증제도(IECEE) 등)를 관리하는 IEC 적합성 분야 최고 정책 기구
ㅇ 또한, 경보시스템분야(TC 79) 기술위원회에서는 우리나라가 CCTV의 사용 환경 조건을 반영한 화질성능 환경시험 국제표준을 주도함으로써, 우수한 기술을 갖춘 국내 업체의 세계시장 선점이 가능하게 되었다.
ㅇ 이 밖에도 착용형 스마트기기, 디스플레이, 인쇄전자, 반도체 등 23종의 국제표준을 제안하여 전기전자산업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확인하는 기회가 되었다.
□ 『스마트 시티와 지속가능한 사회(Smart cities and sustainable societies)』를 주제로 진행된 IEC 총회 오픈세션에서는,[붙임 6]
ㅇ 한국전력공사 김종갑 사장이 기조강연을 통하여 ’기후변화와 기술의 발전에 대응하는 에너지 산업의 미래‘에 대해 발표하고, “패러다임 대 전환 시대에 전력 공급자에서 에너지플랫폼 공급자로 한 단계 발전하는 과정에서, 표준의 역할이 중요함”을 역설하였다.
ㅇ 패널 세션에서는 IEC 스마트시티 시스템분과 의장인 마이클 멀킨(Michael Mulquin)이 ’표준을 기반으로 점점 똑똑해지는 도시‘를, 스마트에너지 시스템분과 의장인 리차드 숀베르크(Richard Schomberg)는 ’도시를 움직이는 원동력인 에너지원 역시 스마트에너지로 변화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ㅇ 또한, LS산전 이정준 이사와 광운대학교 박재영 교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자동화되고 서로 연결되는 ‘스마트인더스트리’와 ‘스마트디바이스’에 대해 소개하고, 이어진 토론 세션을 통해 총회 마지막까지 뜨거운 논의를 이어갔다.
□ 한편, 오픈세션에서는 IEC, IEEE*와 국가기술표준원이 공동개최한 논문공모전**에 대한 시상이 이루어졌다.[붙임 4]
*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 2006 IEC 마스터플랜 전략 이행의 하나로 학계와의 협력을 강조하기 위해 6년마다 개최되었으며 2006, 2012에 이어 올해 세 번째 개최됨
ㅇ ‘표준화의 미래 과제(Future Challenges in Standardization)’를 주제로 열린 이번 공모전에서는 연세대학교 엄도영*이 1등에 선정되었으며, 독일(Kai Jakobs, 아헨공과대학교), 인도(Kanika Singh, 미국선급협회) 등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 제목: IoT 시대에서의 표준개발을 위한 새로운 룰(Rule) 및 표준화기구의 새로운 역할
□ 폐회식에는 국가기술표준원장 허남용, 부산시 경제부시장 유재수 등 국내 주요 인사와 IEC 참석자 1,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친목을 다지고 이번 회의의 성과를 축하하는 자리로 꾸며졌다.[붙임 5]
ㅇ 허남용 국가기술표준원장은 폐회식에서 “IEC 국제표준 개발을 위한 산·학·연 전문가들의 끊임없는 열정과 노력으로 안전하고, 편리하고, 행복한 미래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하며, 이번 회의가 전기전자 산업 발전에 일조하기를 바란다고 하였고,
ㅇ 제임스 섀넌 IEC 회장은 대한민국의 총회 개최가 매우 성공적이고 인상적이었음을 시사하며, “한국은 지금도 전기전자분야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 스마트시티, 신재생에너지, 메디컬 분야의 표준화 활동 등 융합 분야에서 더욱 두각을 보일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내었다.
□ 국가기술표준원은 총회 기간에 미국, 독일 등 주요 표준강국의 표준화기구와 양자회의를 개최해 긴밀한 협력을 논의했다.
ㅇ 우리나라는 이들 국가와 표준교육 경험을 공유하고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으며, 시장전략이사회 등 IEC 정책위원 선거 전략 수립을 협의하고, 우리나라의 IEC 상임이사국 진출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등 결속을 다졌다.
□ 유재수 부산시 경제부시장은 “이번 총회 개최를 부산지역 기업의 표준화 참여 및 신기술분야의 국제표준화 필요성 인식을 제고하는 등 부산이 국제표준 대표 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ㅇ 부산시는 총회와 연계한 문화투어, 스마트시티투어, 쇼핑투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였고,
ㅇ 역대 최대 참가규모로 진행된 이번 총회에서 교통, 안전, 의료 등 지원 분야에서도 차질 없는 준비로 총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함으로써 명실상부한 마이스(MICE*) 도시로서의 위상을 재확인하였다.
* 기업회의(Meeting), 인센티브관광(Incentive), 국제회의(Conference), 전시사업(Exhibition)
□ 해외 전문가들은 이번 총회를 공식 행사 이외에 IEC CITY 전시관, 스마트시티 기술세미나, 문화행사 등을 연계한 표준·기술·문화 융·복합 행사라며 높이 평가했다.
ㅇ 이번 총회의 성공적인 마무리는 우리나라의 국제표준활동에 대한 국제사회의 높은 관심을 보여주었으며, 앞으로 한국의 IEC 상임이사국 진출 등 우리나라의 표준 활동에 청신호가 되어 줄 것으로 예상되나,
ㅇ 우리 기업의 국제표준화 활동을 확대하고, 국제표준화 전략 수립을 위한 정책 분야 참여를 늘리는 것은 남겨진 과제이다.
ㅇ 정부에서는 앞으로도 산업계 및 민간의 표준화 참여 방여 방안을 꾸준히 검토하여 표준화에 대한 관심이 지속될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1. IEC 개요
2. 2018 IEC 부산총회 개요
3. 2018 IEC 부산총회 선거결과
4. IEC-IEEE-KATS 공모전 결과
5. 2018 IEC 부산총회 폐회식 개요
6. 2018 IEC 부산총회 오픈세션 개요
폐회식 행사 관련 사진은 26일 20:30분 이후 배포 예정
붙임 1
IEC 개요
□ 공식명칭 :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 설립년도: 1906년 6월, 소재지: 스위스 제네바
□ 설립목적
ㅇ 국제무역 기술무역장벽 해소, 신시장 창출 및 경제성장 활성화 등을 위한 국제표준 개발과 국가 간 및 전문가 간 협력 도모
* IEC는 ISO 등과 함께 세계무역기구(WTO)에 의해 인정된 국제표준 기구
ㅇ IEC 회원국* 간의 전기전자 산업 및 관련 기술에 대한 표준개발과 적합성 평가(시험인증제도 상호인정) 등에 대한 국제협력을 증진
* IEC멤버십: 총 171개국(정회원 : 62개, 준회원 23개국, 개도국 86개국)
□ 표준개발 현황
ㅇ 국제표준 개발을 위해 총 204개의 기술위원회를 운영
* 기술위원회(TC, Technical Committees): 104개, 분과위원회(SC, Subcommittees): 100개
ㅇ 전자제품의 안전․성능 및 상호운용성, 전력시스템, 전기자동차 등 전기전자 기술분야에 약 1만여종의 국제표준을 보유('17년 기준)
□ 주요기능
ㅇ 전기전자 및 관련 기술에 관한 국제표준 개발 및 보급을 담당
ㅇ 전기전자 및 관련 기술 분야의 모든 국제표준화 문제의 해결을 위한 국제협력 촉진과 이를 통한 국제적 상호이해 향상
* WTO/TBT 협정(2.4조)에서 국제표준을 각국의 기술규정의 기초로 사용 권고
ㅇ 최근 전기․통신 기술 기반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신기술 출현에 대한 IEC의 역할을 기대
붙임 2
2018 IEC 부산총회 개요
□ 회의명칭 : 제82차 국제전기기술위원회 총회(약칭 2018 IEC 부산총회)
□ 기간/장소 : ’18.10.22.(월)~10.26.(금) / 부산 벡스코(BEXCO) 일대
○ 총회 및 정책위원회 회의 등 : 10.22.(월) ~ 10.26.(금)
○ 기술위원회/분과위원회(TC/SC) 등 : 10.14.(일) ~ 10.31.(수)
□ 참가규모 : 85개국 대표단 3,300여명(참가규모 역대 최대)
* 총회와 함께 97개 분야별 기술위원회(TC/SC) 회의를 개최하며, ‘16년 독일 프랑크푸르트 108개, ‘10년 미국 시애틀 100개에 이은 역대 3번째 회의 규모
역대 IEC 총회 대표단 참가현황
붙임 3
2018 IEC 부산총회 선거결과
□ IEC 차기회장 선출 (임기: 2020-2022, 3년)
○ Dr. Yinbiao Shu(中 스테이트그리드)
* IEC 부회장 및 MSB 의장(2013~), MSB 위원(2008~2012)으로 활동
□ 제3부회장(MSB 의장) 선출 (임기: 2019-2021, 3년)
○ Dr. Kazuhiko Tsutsumi(日 미츠비시)
* CB 위원(2017.6월~), MSB 위원(2015.1월~2017.6월)으로 활동
□ 기타 정책위원 당선자
정책위
후보국
후보자
CB
상임(1)
중 국
Mr. Weijun Liu
비상임(4)
캐나다
Mr. Colin CLARK
오스트리아
Mr. Werner FISCHER
싱가포르
Mr. Peter Weng Kwai LEONG
이탈리아
Mr. Carlo SCARLATA
SMB
상임(1)
중 국
Mr. Han Xiao
비상임(2)
오스트리아
Mr. Christian Gabriel
캐나다
Mr. Antony Capel
CAB
상임(2)
중 국
Mrs. Yumin Bo
영 국
Mr. Rajeev Vagnia
비상임(2)
한 국
Mr. Byoung-Kuk Lee
스웨덴
Mr. Fredrik Wennersten
붙임 4
IEC-IEEE-KATS 공모전 결과
□ 개요
○ 제목 : ’표준화의 미래 과제’ 2018 IEC-IEEE-KATS 학술논문 공모IEC-IEEE-KATS 2018 Academic Challenge for 'Future Challenges in Standardization’
○ 주최 : IEC-IEEE-KATS 공동 주최
○ 주관 : 한국표준협회, 해외 학회(SES, EURAS 등), 국내 학회(대한전기학회/KIEE, 전력전자학회/KIPE, 표준학회/SSS 등)
○ 상금 : 1위(USD 20,000), 2위(USD 15,000×1팀), 3위(USD 6,000×3팀)
* 논문집 저작·출판권을 주최․주관기관이 공동 소유하도록 협의하여, 향후 콘텐츠 활용
○ 심사 : 주최․주관기관이 추천한 국내․외 전문가 6명 내외
□ 수상자
구분
국적
이름
소속
상금
1등
한국
엄도영
연세대학교
USD 20,000
2등
독일
Kai Jakobs
아헨공과대학교
USD 15,000
3등
인도
Kanika Singh
미국선급협회
(American Bureau of Shipping)
USD 6,000
스페인
Daniel Massao Aguado
마드리드공과대학교
한국
조용래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붙임 5
2018 IEC 부산총회 폐회식 개요
□ 개요
○ 일시/장소 : 10.26(금) 19:00~21:30 / 힐튼호텔 크루즈 그랜드볼룸
○ 참 석 자 : (귀빈) 국표원장, 부산시 부시장 (대표단) 85개국 1,500여명
○ 사 회 자 : 안현모 MC
○ 주요내용 : 총회 폐회사 및 환송사, 부산 홍보영상 상영, 차기총회국 초청연설, 환송공연, 만찬 및 네트워킹 등
○ 행사주제 : IEC시티, 부산의 추억
○ 세부일정(안) *변동될 경우 별도 공지 예정
구분
항 목
시 간
내 용
사전행사
참가자 입장
18:00~18:57(57’)
∙ 칵테일 리셉션
VIP 리셉션
18:40~18:57(17’)
∙ 국표원장, 부산시 부시장 등
VIP 행사장 이동
18:57~18:59(2’)
IEC GM 2018의 추억
폐회식 시작
18:59~19:00(1’)
∙ 사회자 등단 및 장내 정리
주요내빈 입장
19:00~19:01(1‘)
∙ 내빈입장 및 소개
폐회사
19:01~19:04(3’)
∙ IEC 회장
환송사
19:04~19:07(3’)
∙ 국표원장
부산시장 인사말 및 홍보영상 상영
19:07~19:14(7’)
∙ 부산시 홍보영상 상영
차기대회 소개
폐회식 퍼포먼스
19:14~19:22(8’)
∙ 저스트 절크
IEC GM Key 전달식
19:22~19:25(5’)
∙ 중국대표 전달
차기 총회 소개
19:25~19:30(8’)
∙ 차기총회 초청 연설
만찬 및 네트워킹
만찬 및 네트워킹
19:30~
∙ 스탠딩 뷔페
∙ 스케치 영상 상영
건배사
19:50~20:00(10’)
∙ Yinbiao Shu(SGCC)
∙ 김봉석(LG전자)
만찬공연
20:20~21:30(70’)
∙ 팝밴드
∙ DJ Show
종료 및 수송 안내
21:30~21:32(2’)
붙임 6
2018 IEC 부산총회 오픈세션 개요
□ 내용 : 총회 개최국이 선정한 주제로 연사 발표, 패널 토의 및 질의응답으로 구성되며, 행사 참석자 모두 참여 가능
□ 일시/장소 : 26(금) 14:00~16:00(약 2시간) / 벡스코 그랜드볼룸
□ 주제 : 스마트시티와 지속가능한 사회 Smart Cities and Sustainable Societies
Time
Contents
Speakers
Ref.
Opening
14:00-14:03
Opening of the Session
개회사
Mr. James Shannon
President, IEC
14:03-14:05
Welcome to Open Session
환영사
Mr. Byunggoo KANG
Head of Delegation of Korea
14:05-14:10
IEC-IEEE-KATS Academia Challenge
IEC-IEEE-KATS 논문공모전 시상식
Mr. James Shannon
President,
IEC
Keynote Speech
14:10-14:30
Future Society in the imagination by the Global energy company
(Future Society at the Global energy company’s blueprint)
Mr. JongKap Kim
President, KEPCO
Panel Session – Creating smart cities and sustainable societies
Moderated by Mr. James E. Matthews (IEC Ambassador)
14:30-14:40
Smart Cities and sustainable societies #1
Essentials of smart cities
Mr. Michael Mulquin
Chair
SyC Smart Cities
14:40-14:50
Smart Cities and sustainable societies #2
Essentials of smart energy
Mr. Richard Schomberg
Chair
SyC Smart Energy
14:50-15:00
Smart Cities and sustainable societies #3
Essentials of smart industry
Mr. Jeongjoon(JJ) Lee
Expert
SMB SEG 8
15:00-15:10
Smart Cities and sustainable societies #4
Essentials of smart devices
Prof. Jaeyoung Park
Secretary
TC 124
15:10-16:00
Discussions
Creating smart cities and sustainable societies
Moderator :
Mr. James E Matthews
IEC Ambassador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대한민국 경제교육상' 대상자 공모 (0) | 2018.10.29 |
---|---|
한중 FTA로 더욱 가까워진 中 온라인 시장-내년 발효되는 中 전자상거래법, 한중 FTA와 방향 같아 우리 기업에 좋은 기회’ (0) | 2018.10.29 |
경기도, 4년간 서버 가상화 사업 통해 예산 28억원 절감 (0) | 2018.10.29 |
경기도, 시군 우수 시책 4개 선정. 도 전체 확산될 수 있도록 예산 등 지원 (0) | 2018.10.29 |
경기도, 국내외 석학들과 ‘인공지능·블록체인’의 미래 논한다- 2018 경기도 4차산업혁명 국제심포지엄, 11월 1~2일 개최 (0) | 2018.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