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스펙트럼 플랜(안)」 공개 토론회 개최-6㎓ 비면허 주파수 공급 및 ‘26년까지 5G 주파수 2배 확대 등 논의
부서명주파수정책과
「5G+ 스펙트럼 플랜(안)」 공개 토론회 개최
- 6㎓ 비면허 주파수 공급 및 ?26년까지 5G 주파수 2배 확대 등 논의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11월 27일(수) 오후 2시부터 부영태평빌딩 컨벤션홀에서 「5G+ 스펙트럼 플랜(안)」 공개토론회를 개최한다.
ㅇ 우리나라는 지난 4월 세계 최초 5세대(5G) 이동통신 상용화와 함께 5G를 통한 혁신성장을 실현하기 위해 「5G+ 전략」을 수립하였다. 「5G+ 스펙트럼 플랜(안)」은 「5G+ 전략」을 뒷받침하여, 최초를 넘어 세계 최고의 5G 품질을 실현하고, 5G+ 전략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주파수 공급 전략이다.
ㅇ 이번 계획안은 지난 3월부터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3개 분과 연구반을 통해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산업계 의견 수렴 및 이해관계자 협의 등을 거쳐 마련되었다.
ㅇ 공개 토론회는 「5G+ 스펙트럼 플랜(안)」 주요 내용 발표, 전문가 패널 토론 및 방청석 의견 청취 순으로 진행된다.
ㅇ 과기정통부는 이번 공개 토론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반영하여 12월에 최종안을 확정하여 발표할 예정이다.
□ 「5G+ 스펙트럼 플랜(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ㅇ 5G+ 전략산업 성장 지원을 통한 국민 복지 향상과 혁신·성장 고도화를 위해, ‘모두가 누리는 세계 최고 품질의 5G’를 비전으로 3대 전략 및 추진과제를 담았다.
< 전략 1 : 비면허 기술을 5G 성능으로 고도화 >
□ 비면허 기술(Wi-Fi, IoT, 센싱 등)은 국민 일상과 산업 전반의 필수재로, 5G와 결합·보조하는 비면허 기술을 5G 성능으로 고도화하기 위해 5G+ 전략산업별(스마트시티·공장·자율주행차 등) 비면허 주파수 공급 및 기술규제 개선 방안을 추진한다.
ㅇ 특히 국민의 데이터 복지와 제조 생산성 혁신을 위해 차세대 Wi-Fi, 비면허 5G용으로 6㎓대역 비면허 주파수를 공급할 계획이다.
ㅇ 5.9㎓대역 자율주행차 차량통신 방식 결정, 드론 장거리 제어 및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생체정보감지레이다 주파수 공급도 추진한다.
< 전략 2 : 세계 최대 폭의 5G 주파수 확보 >
□ ’26년까지 단계적으로 최대 2,640㎒폭의 주파수를 추가 확보하여 5G 주파수를 2배 확대(’19년 2,680㎒폭 → ’26년 5,320㎒폭)하는 것을 목표로, 대역별 균형있는 주파수 확보·공급 방안을 제시하였다.
< 전략 3 : 주파수 관리 제도·시스템 혁신 >
□ 주파수 수급 방식과 관리 시스템도 혁신해나갈 계획이다.
ㅇ 대역 정비 우선순위 평가를 토대로 정비 시기 및 조치 계획 등을 사전 공표하는 ‘대역정비 평가·예보제’, 주파수 공동사용 활성화, 대역정비 전담기관인 ‘클리어링 하우스’ 구축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붙임 : 「5G+ 스펙트럼 플랜(안)」 공개 토론회 개최 계획
붙임
「5G+ 스펙트럼 플랜(안)」공개 토론회 개최 계획
□ 행사 개요
ㅇ 일시/장소 : ’19.11.27일(수) 14:00∼16:00 / 부영태평빌딩(서울 중구) 1층 컨벤션홀
ㅇ 주 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ㅇ 주 관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전파진흥협회
□ 프로그램
시 간
행 사 내 용
비 고
14:00~14:05
5’
◾ 개최목적, 일정 및 참석자 소개
※ 사회 : 이상윤 차장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14:05~14:10
5’
◾ 인사말씀
오용수 전파정책국장
(과기정통부)
14:10~14:35
25’
◾「5G+ 스펙트럼 플랜(안)」발표
정영길 주파수정책과장
(과기정통부)
≪패널 토론≫
14:40~16:00
80’
◾ 패널 토의 (60’)
- 학계 : 김남 교수(충북대, 좌장) 이일규 교수(공주대), 홍인기 교수(경희대)
- 산업계 및 이해관계자 : 조진호 전무(인텔코리아), 이인재 센터장(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 장경희 위원장(5G 포럼 교통융합위원회), 윤상필 실장(통신사업자연합회), 한상혁 국장(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방송협회
- 소비자단체 : 최재성 사무총장(녹색소비자연대)
- 연구계 : 박승근 실장(ETRI), 김상용 그룹장(KISDI)
- 과기정통부 : 정영길 과장
◾ 방청석 의견 청취 및 마무리 (20’)
≪ 정리 및 폐회 ≫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인니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최종 타결”-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계기 한-인니 정상회담(11.25)에서 공식 선언 (0) | 2019.11.25 |
---|---|
다자개발은행 프로젝트 조달시장 진출 확대 위한 범정부적 지원-2019년 MDB Project Plaza 개최 (0) | 2019.11.25 |
“함께 더 하는 데이터, 함께 키우는 대한민국”-과기정통부 「2019 데이터 진흥주간」 11월 26일 개막 (0) | 2019.11.25 |
전파올림픽(세계전파통신회의, WRC-19) 성공적 마무리-글로벌 조화 5G 주파수 14.75㎓ 폭 분배 (0) | 2019.11.25 |
바닷속 사물인터넷(IoT) 국제표준, 한국이 이끈다-우리나라 주도 수중-IoT 국제표준 2건 JTC 1/SC 41 회의에서 승인 (0) | 2019.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