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기후체제에 대한 산업계 대응전략을 한 자리에- 산업부, 11.29∼30일,‘기후 WEEK 2016' 포럼 개최
담당부서에너지신산업정책과 등록일2016-11-29
新기후체제에 대한 산업계 대응전략을 한 자리에
- 산업부, 11.29∼30일,‘기후 WEEK 2016' 포럼 개최 -
- 기후변화대응 유공자 12명 시상 및 양일간 20개 주제 토의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가 주최하고 한국에너지공단(이사장 강남훈)이 주관하는 “기후 WEEK 2016” 포럼이 11.29(화)~30(수) 양일간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ㅇ 국내 최대 규모의 기후변화대응 관련 정책 포럼인 “기후 WEEK 2016”은 올해 11회째를 맞이하게 되었으며, 금년에는 “新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한국 산업계의 과제”를 주제로 다양한 세미나가 마련되었다.
ㅇ 특히, 금번 행사는 금년 11월 4일 파리협정 발효 이후 처음 개최된 UN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2, 모로코 마라케시) 협상결과를 소개하는 계기가 됨으로써 산업계의 관심이 고조되었다.
< 기후 WEEK 2016 포럼 개요 >
◇ 일시·장소 : ‘16.11.29(화)∼30(수),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 주최/주관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에너지공단
◇ 참석자 : 강성천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 강남훈 한국에너지공단 이사장, 국내․외 기후변화 전문가, 산업계 등
◇ 주요행사: ① 개막식 : 11.29(화) 10:00,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하모니볼룸
② 전문가 컨퍼런스 : 총 8개 세션, 20개 주제 발표
③ 기후변화 대응 우수 기술 성과 발표
□ 11.29(화) 10시에는 강성천 산업정책실장, 강남훈 한국에너지공단 이사장을 비롯한 국내외 관계자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막식 행사가 열렸다.
ㅇ 특히, 기후변화대응 및 온실가스감축 유공자에 대한 시상식이 개최되어 한국중부발전 송병훈 차장, 국일제지 임학규 팀장, ㈜효성, 한국세큐리트 등이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10점) 및 상장(2점)을 수상하였다. (※ 수상자 내역 별첨 )
□ 금번 ‘기후 WEEK 2016’에서는 총 8개 세션이 마련되어 기후변화 대응 정책 및 기술에 관련된 주제 발표 20개가 양일간 이어진다.
ㅇ 첫째날(29일)에는 ① 산업․발전부문 온실가스 감축전략, ② 산업․발전부문 배출권거래제 현황 및 운영방안, ③ UN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2, 모로코 마라케시) 시사점, ④ 新기후체제 해외 산업계 대응사례 등 4개 세션이 진행되며,
ㅇ 둘째날(30일)에는 산업부문 기후변화 대응 우수사례와 기후변화대응 혁신기술 등 4개 세션이 운영된다.
□ 강성천 산업정책실장은 축사를 통해 “파리협약 발효를 계기로 기후변화 이슈에 대해 국제사회가 긴밀하게 움직이고 있는 가운데, 우리 산업계가 新기후체제 대응 및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를 갖게 되어 의미가 크다”고 밝히면서
ㅇ 산업계가 정부와 함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고 기후변화 대응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줄 것을 당부하였다.
【참 고】1. "기후 WEEK 2016" 행사 개요
2. 행사 세부 일정
3. 기후변화대응 및 온실가스감축 유공자
참고 1
기후 WEEK 2016 개요
1. 개 요
□ 목 적
ㅇ 파리 기후변화협약 발효(`16.11.04)에 따른 新기후체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온실가스 감축 정책 및 기후기술 개발 사례 공유
* 동 행사는 기후변화대응 및 온실가스 감축을 주제로 ‘06년부터 매년 개최
□ 일시․장소 : 2016.11.29(화)∼30(수),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 주 제 : 「新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한국 산업계의 과제」
□ 주최/주관 : 산업통상자원부/한국에너지공단
□ 참석대상 : 정부, 산․학․연 기후변화 관계자 등 1,000명
2. 세부행사
□ 개막식 : 축사, 기후변화대응 및 온실가스 감축 유공자(12명) 장관포상 등
□ 기조연설 : 新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한국산업계의 당면과제
□ 전문가 컨퍼런스
ㅇ COP22 협상결과 소개 및 토의
ㅇ 배출권거래제 추진현황 및 운영방안 토의
ㅇ 산업․발전․에너지신산업 부문 온실가스 감축 전략 토의 등
□ 부대행사 : 기후변화 정책 홍보월(wall) 및 기후변화 대응 기술 우수 성과 전시
참고 2
행사 세부 일정
11. 29 (화)
10:00~11:30
개 막 식
장소
10:00~10:05
ㅇ 개회사 : 한국에너지공단 강남훈 이사장
하모니
볼 룸
10:05~10:15
ㅇ 축사 : 산업통상자원부 강성천 산업정책실장
10:15~10:35
ㅇ 기후변화대응 및 온실가스 감축 유공자 포상
10:35~10:40
ㅇ 주요 VIP 기념 촬영
10:40~11:00
ㅇ 개막 퍼포먼스 : 생동감 크루
11:00~11:30
ㅇ 기조연설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황진택 원장
11:30~13:00
오 찬
13:00~18:00
Track Ⅰ : 新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한국산업계의 과제
13:00~14:10
Session Ⅰ
(산업·발전부문 온실가스 감축전략)
ㅇ 산업·발전부문 온실가스 감축 전략('25)
- 에너지경제연구원 임재규 본부장
ㅇ 에너지신산업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전략('25)
- 에너지신산업 추진협의회 김희집 민간위원장
ㅇ Q&A('20)
14:10~15:50
Session Ⅱ
(배출권거래제
과거, 현재, 미래)
ㅇ 산업발전부문 ETS 추진현황 및 향후 운영방안(‘20)
- 산업통상자원부 한철희 온실가스감축팀장
ㅇ ETS 추진현황 및 산업계 당면과제(‘20)
- 효성 권태수 상무
ㅇ 국제탄소시장메커니즘(IMM) 활용방안(‘20)
- UNFCCC CDM EB(Executive Board) 오대균 위원
ㅇ 지정토론(‘20)
(좌 장) 한국산업기술대 강승진 교수
(정 부) 산업통상자원부 한철희 온실가스감축팀장
(산업계)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 노재성실장
(기 관) 국제배출권거래협회 박찬종 이사
* EU사례를 통한 국내 ETS 활성화 방안
ㅇ Q&A(‘20)
15:50~16:10
Coffee Break
16:10~17:10
Session Ⅲ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22
시사점 도출)
ㅇ COP22 협상 결과 및 시사점 (‘25)
- UNFCCC 기술집행기구 성창모 위원
ㅇ 新 기후체제에서의 국내 산업계 대응 방안(‘25)
- 포스코경영연구원 진윤정 수석
ㅇ Q&A(‘10)
17:10~18:00
Session Ⅳ
(新 기후체제 해외 산업계 대응 사례)
ㅇ 영국 ETS 추진현황과 기업지원정책(‘25)
- University of Cambridge, Jill Duggan
ㅇ Shell 석유화학 온실가스 및 에너지 저감 사례(‘25)
- Shell, Guus van Hoof, Senior Knowledge Management
Consultant
11. 30 (수)
10:00~12:00
Track Ⅱ : 산업부문 기후변화 대응 우수사례
장소
10:00~11:00
Session Ⅰ
(산업부문
기후변화 대응
우수사례 1)
ㅇ 기후변화 경쟁력 지수 우수기업 사례발표(‘20)
- 동서발전(주) 윤기붕 발전처장
ㅇ 산업부문 기후변화 적응 방안(‘20)
- GGGI 이명균 본부장
ㅇ 에너지경영시스템(EnMS) 우수기업 사례발표(‘20)
- 엔포스 임근택 센터장
다이아몬드
볼 룸
11:00~11:10
Q&A 및 휴식
11:10~12:00
Session Ⅱ
(산업부문
기후변화 대응
우수사례 2)
ㅇ (경영 및 조직관리) 기후변화 대응 우수기업 사례(‘25)
- 한국지역난방공사 신경아 팀장
ㅇ (공정개선) 기후변화 대응 우수기업 사례(‘25)
- 이수화학 김동민 부장
12:00~13:30
오 찬
13:30~17:30
Track Ⅲ : 산업부문 기후변화 대응기술
13:30~15:00
Session Ⅰ
(산업부문 기후변화
대응기술 1)
ㅇ 연료전지형 저가형 금속분리판 양산화 기술(‘30)
- 현대제철 전유택 부장
ㅇ 고온에서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전기자동차용 이차전지 소재(‘30)
- 전자부품연구원 유지상 센터장
ㅇ 전력생산 40% 향상을 위한 연료전지 소자 기술(‘30)
- 서울대 성영은 교수
15:00~15:30
Q&A 및 Coffee Break
15:30~17:00
Session Ⅱ
(산업부문
기후변화
대응기술 2)
ㅇ 바이오부탄올 생산기술(성능3배 향상)(‘30)
- GS칼텍스 신용안 팀장
ㅇ 가사도 에너지 자립섬 상업운전 성공과 후속 연구계획(‘30)
- 한국전력연구원 신창훈 그룹장
ㅇ 건물, 유리 온실, 유리창 등에 부착 가능한 반투명 태양전지(‘30)
- 동진세미켐 이윤근 팀장
17:00~17:30
Q&A 및 2일차 폐회
참고 3
기후변화대응 및 온실가스 감축 유공자
□ 장관표창(개인 5)
성명
소속·직위
공적 개요
송병훈
한국중부발전(주)
ㅇ 온실가스 감축노력과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통한 친환경 발전사회 구현
- 바이오증유 보급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시장 창출
- 국내최초 500MW 표준석탄화력 성능향상 추진
- 국내최초 습식 CO₂포집설비 실증 및 자원화 사업 추진
- 온배수를 활용한 작물 생육 기술개발
임학규
국일제지
주식회사
ㅇ 온실가스 에너지 관리 기반 마련
- 연간 133,312tCO2 감축, 55,208toe 절감
ㅇ 기후변화사업 참여로 온실가스 감축
- ERP 및 에너지경영시스템 기반 구축으로 에너지 절감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민명무
한국어네지
기술연구원
ㅇ CO₂ 포집공정개발과 산업부문 온실가스 저감 잠재량 분석을 위한 2,000여건의 감축기술 DB 작성
ㅇ 연료연소분야 배출량 산정용 400여개의 배출계수 개발
ㅇ 기후변화협상 시 기술이전 의제 지원 등 기후변화 관련 정책지원 및 기술개발에 기여
이곤호
㈜풍산
ㅇ 온실가스 배출 원단위 감소, ‘12~’15년동안 온실가스 20,088톤 감축 기여
ㅇ 기후변화대응 우수기업 인증,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대응
ㅇ 공단 배출권거래제 시범사업, 감축기술 국제컨설팅프로그램 참여
정유심
(재)한국품질재단
ㅇ 국내 온실가스 감축제도 도입 및 고도화를 위한 기후변화대응정책수단 도입 및 감축기술확산에 기여
ㅇ 온실가스 국제표준개발 전문가로 활동
ㅇ 국내전문가온실가스 MRV체제 활용한 기후정책 조기도입에 기여
□ 장관 표창(단체 5)
기관명
공적개요
㈜효성
ㅇ '12년 기후변화 전담조직 신설을 통해 ‘그린경영 Vision 2020' 수립
ㅇ 산업부 Kver사업 3건 등록(131천톤 감축) 및 UN CDM 사업 2건 등록
ㅇ 목표관리제 시범사업 참여(55천톤 감축) 및 목표관리제 매년 배출허용량
초과달성
ㅇ 2015 배출권거래제 배출허용량 초과달성
한국세큐리트㈜
ㅇ 정부주관 EnMS 시스템 구축 참여 및 에너지 절감활동 실시
ㅇ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참여 및 실적 달성
ㅇ 에너지효율(EE)시장 시범사업 추진
ㅇ 정부주관 수요반응제도 적극참여 및 이행
SK㈜
ㅇ SK(주) 대덕 데이터센터는 IT 시스템 운영시 발생하는 온실가스 에너지 감축을 위해 12가지의 솔루션 개발/적용한 결과 연간 2,686톤의 온실가스 저감 효과 발생
네이버비즈니스
플랫폼㈜
ㅇ 미국 친환경 건축물 인증(LEED)에서 platinum 등급 획득 및 친환경 고효율 기반의 데이터센터 구축
ㅇ '13년부터 기후변화 온실가스 감축 대응을 위한 친환경 기술 적용
ㅇ '14년부터 기술공유 및 친환경 문화확산 사회적 활동 실시
ㅇ 지속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R&D 투자확대
안산도시개발
ㅇ 연료전환을 통해 대기오염 및 온실가스 배출 저감 유도
ㅇ 히트펌프 설치를 통해 폐수처리장 온도를 저감시켜 환경 개선 및 이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는 사업 시행
□ 장관 상장(단체 2)
기관명
공적개요
한국지역난방공사
ㅇ 경영 및 조직관리 6개, 외부 감축추진 2개, 내부 대응체계구축 6개 등 온실가스 감축만이 아니라 탄소 인증, 배출권 先확보, 탄소 자산관리로드맵 수립 등 다양한 노력 중
이수화학
ㅇ 석유화학 처리공정에 타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생수소 활용 등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년 12월 SVI 입주기업 모집안내 (0) | 2016.11.29 |
---|---|
2017년 태양광 연계 ESS 사업전략과 수익창출방안 세미나 (0) | 2016.11.29 |
핀테크 특강, '피우다 핀테크' 개최 (인천 인하대학교) (0) | 2016.11.29 |
TTA, FIDO 국제 컨퍼런스 개최- FIDO 차세대 인증기술 정보 공유 및 도입 확산의 장 마련 (0) | 2016.11.29 |
2016년도 하반기 기술전략기획교육 참가자 신청 (0) | 2016.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