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日, ‘제5차 산업혁명’ 추진… 주목받는 바이오산업[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및 기타 해외동향

하이거 2016. 11. 22. 20:59

, ‘5차 산업혁명추진주목받는 바이오산업[KOTRA KOTRA 해외시장뉴스]및 기타 해외동향

 

2016-11-22 | 일본| 오사카무역관


- 日 정부, 바이오산업 가능성에 주목, 육성 강화 계획 -


- 의료 Ÿ헬스케어·공업·농업·에너지 산업 근본적 변혁 초래 전망 -


 

 

 

□ 일본 바이오산업 현황 및 전망

 

  ㅇ 2015년 기준, 일본 바이오산업 시장규모는 31108억 엔

    - 최근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바이오 기술(BT) 활용이 확산돼 2003년 이후 시장 규모가 약 2배 확대됨.

    - 특히 의료 및 헬스케어 분야가 바이오 산업 시장 확대를 견인하고 있어, 전체 시장의 56%를 차지. 그 뒤를 농업 및 식품(25%), 공업(11%)이 잇고 있음.

 

일본 바이오산업 시장규모 추이

external_image

자료원: 경제산업성(2016년 일경 바이오 연감을 기초로 작성)

 

  ㅇ 한편, OECD2030년 가맹국의 바이오 경제(Bioeconomy) 규모가 16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

    - OECD가 제창한 바이오 경제는 바이오 기술을 활용하는 바이오 관련 시장 및 산업군을 의미

    - 특히, OECD는 향후 의료분야뿐 아니라 제조업과 농업분야에서 대폭적으로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측, 16000만 달러 중 공업이 39%, 농업 36%, 의료 및 헬스케어가 2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

 

 일본 정부, 바이오산업 통한 제5차 산업혁명 추진

 

  ㅇ 바이오산업 재부상의 배경

    - 일본 정부에 따르면, 그간 확산이 어려웠던 여러 장애물이 낮아져 BT를 통한 제5차 산업혁명 추진의 여건이 갖춰짐.

    - 우선 DNA 해독 비용은 7년 전의 1만분의 1까지 떨어지는 등 비용이 감소한 점, 그리고 IT 기술 및 게놈 편집기술 발전에 따라 정밀한 분석이 가능해져 실용화가 용이해진 점을 들 수 있음.

 

  ㅇ 바이오 산업 발달에 따라 달라지는 장래상

    - 바이오 산업 발달은 의료Ÿ 헬스케어, 제조업, 농업, 에너지Ÿ환경 분야에 커다란 변혁을 초래해 인류가 직면한 여러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 (의료 Ÿ헬스케어) 탁월한 효과를 가진 바이오 의약품, 실용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재생의료 및 유전자 치료로 질병의 근본적 치료가 가능하게 됨.

    - (제조업) 지금까지 화석자원에 의존했던 기존의 생산방식에서 벗어나 상온Ÿ상압에서 에너지 절약형 제조가 가능해져 제조 프로세스의 근본적 개혁이 가능. 또한, 식물에서만도 100만 종류의 물질 제조가 가능하므로, 아직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고기능품 창출 가능성이 높음.

    - 특히 제조 프로세스 개혁 관련한 예로, 2030년 전 세계 시장규모가 200조 엔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부탄디올 생산 프로세스 전환을 통한 효율적 생산 가능성을 들 수 있음. 부탄디올은 합성고무, 광학 필름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 원료임.

 

화학산업에서 BT를 통한 제조 프로세스 개혁의 예

external_image

자료원: 경제산업성


  ㅇ 정부의 대책

    - 경제산업성은 바이오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기업, 연구소 등 각계 전문가로 바이오소위원회를 올해 3월부터 구성해 최근 중간 보고서를 발표

    - 그 결과, 생물Ÿ유전자 자원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정비하고, 기업이 필요한 정보를 널리 이용하게 하는 산업화 기반 마련을 추진하기로 함. 또한, 바이오 산업 관련 기업 및 대학 등 연구자의 교류 활성화, 인재 육성도 추진할 계획이며, 바이오경제 형성을 추진해온 구미 국가와 함께 일본도 국제표준 형성에 적극 참여할 것으로 보임.

    - 바이오 연료 관련해서는 2020년 바이오 연료 비행 실현을 목표로 유글레나 등 해조류를 통해 바이오 연료를 대량 생산하는 정책을 2015년부터 추진하고 있음.

 

 바이오산업 관련 주요 기업 동향

 

  ㅇ 미쓰비시화학, 2020년까지 바이오 폴리머 생산량 4배 확대 계획

    - 식물에서 유래한 에코 플라스틱 원료인 바이오 폴리머의 세계 생산량은 2013 510만 톤에서 2020 1700만 톤으로 확대될 계획

    - 바이오 폴리머는 페트병, 광학필름 및 차량 내장용으로 이미 실용화돼 있는데, 석유 유래 제품에 비해 열과 충격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음.

    - 미쓰비시 화학은 현재 5000톤인 생산능력을 2020 2만 톤까지 확대시킨다는 계획

 

  ㅇ 벤처기업 Spiber, 강철보다 강한 인공 거미실 사용한 신소재 섬유 실용화 진행

    - Spiber는 거미실의 주성분인 단백질을 미생물을 통해 만든 후 가공한 인공합성 거미실로 만든 섬유로, 2015년 노스페이스와 함께 파카 개발 및 제작에 성공함. 현재 실용화 진행 중

    - 이 회사에 따르면,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미생물의 DNA 서열을 조작하고 7년 동안 656가지의 유전자를 만들어, 석유 유래 섬유와 비슷한 수준의 가격으로 양산할 수 있는 단계에 도달함.

    - 이 섬유는 강철을 상회하는 강도와 나일론을 능가하는 신축성을 가지며, 향후 자동차 부품 및 의료기기에의 활용도 목표로 하고 있음.

 

  ㅇ 유글레나사, 조류 유글레나를 활용한 항공기용 바이오 연료 생산 박차

    - 유글레나사는 JX 닛코 일본 석유 에너지, 히타치 플랜트 테크놀로지와 함께 2010년부터 바이오 연료 생산을 위한 기술개발을 실시, 향후 실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음.

 

바이오산업 관련 주요 업계 움직임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미쓰비시화학, 바이오 폴리머 

생산 확대 계획

스파이버, 인공 거미실 사용 신소재로 만든 옷 개발

유글레나사, 항공기 연료로 사용될 

글레나 배양 모습


자료원: 각 사 홈페이지, IT 미디어, The Japan Times

 

 시사점

 

  ㅇ 바이오산업, 일본에서 제5차 산업혁명 이끌 주역으로 주목

    - IT AI 기술 발달, 비용 하락 등으로 바이오 산업이 가진 잠재력을 발현할 가능성이 높아짐.

    - 특히 유전자 등의 다양한 조작을 통해 새로운 고기능 원료 창출이 가능하고, 제조 프로세스에서 생산성을 높이면서 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음.

 

  ㅇ 한국도 의약품 및 연료,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바이오 기술 활용 기대

    - 독일 머크 생명과학부 CEO는 한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이 IT에 이어 BT가 세계에서 가장 발달된 국가 중 하나"라고 평가했으며, 국내 언론에 따르면 최근 BT 벤처에 대한 투자가 활발

    - 제조업 프로세스 효율화, 신산업 개발 등 BT의 다양한 가능성을 충분히 활용해 우리도 제5차 산업혁명을 이끌 밑거름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경제산업성, 일본경제신문, IT 미디어 및 KOTRA 오사카 무역관 자료 종합



번호제목국가무역관게시일조회수
61418 러시아 서비스 진출 유망분야 및 현실적 한계(2부) 러시아 모스크바 2016-11-22 12
61417 러시아 서비스 시장 동향(1부) 러시아 모스크바 2016-11-22 15
61416 인도 스모그 악화일로, 공기청정기 시장은 탄탄대로 인도 뉴델리 2016-11-22 18
61415 프랑스, 테러방지 및 관광객 유치강화정책으로 보안장비 확충 계획 프랑스 파리 2016-11-22 12
61414 日, ‘제5차 산업혁명’ 추진… 주목받는 바이오산업 일본 오사카 2016-11-22 17
61413 중국 여행객, 세계 여행시장의 큰 손 중국 충칭 2016-11-22 19
61412 극동 러시아인도 중국 광군제에 평소보다 구입 늘려 러시아 블라디보스톡 2016-11-22 10
61411 독일의 새로운 기회, 스마트 전기계량기시장 독일 프랑크푸르트 2016-11-22 25
61410 日 전자상거래의 신흥강자 로하코 히트 비결은 소비자브랜드! 일본 도쿄 2016-11-22 29
61409 전문가에게 듣는 앞으로의 일본 IoT 산업(2) 일본 도쿄 2016-11-22 30
61408 이탈리아, 밀라노도 함께하는 저탄소경제 이탈리아 밀라노 2016-11-22 27
61407 헝가리 루인펍(Ruin Pub)에서 배우는 ‘폐허의 경제성’ 헝가리 부다페스트 2016-11-22 32
61406 日 화학업계, 최근 투자 확대 배경은? 일본 오사카 2016-11-22 43
61405 트럼프 당선이 인도네시아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2016-11-22 38
61404 베트남 화장품시장 진출 시 유의사항 베트남 호치민 2016-11-22 45
61403 말레이시아, 비용절감에 사활을 건 조선해양플랜트산업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2016-11-22 27
61402 캄보디아 봉제산업의 현재 캄보디아 프놈펜 2016-11-22 31
61401 미얀마 농기계 수입 급증, 5년새 5배 증가 미얀마 양곤 2016-11-22 108
61400 미얀마 한국산 부탄가스 수입 5년간 4배 증가 미얀마 양곤 2016-11-22 48
61399 호주의 유기농시장 지속 맑음 호주 멜버른 2016-11-22 58
61398 2016년 中 자동차부품 시장 현황 및 전망 중국 선양 2016-11-22 176
61397 호주, 글루텐프리 날개를 날다 호주 시드니 2016-11-22 64
61396 해외 투자가들, 필리핀에 몰려온다 필리핀 마닐라 2016-11-22 86
61395 슬로바키아, 2~3%대의 꾸준한 경제 성장 예상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2016-11-22 48
61394 최고급 럼 생산지는?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 카라카스 2016-11-22 51
61393 EU, 한국산 경량감열지에 잠정 반덤핑관세 부과 벨기에 브뤼셀 2016-11-22 65
61392 이스라엘, 마스크팩 매력에 빠지다 이스라엘 텔아비브 2016-11-21 399
61391 日, 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기업들의 생존전략은? 일본 도쿄 2016-11-21 290
61390 전문가가 전하는 크로아티아 창업 진출 유의사항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2016-11-21 105
61389 오만-이란 경제 및 정치 분야 협력 현황 오만 무스카트 2016-11-21 102
61388 '구글 홈' 출시로 스마트 스피커 시장 경쟁 본격화 미국 뉴욕 2016-11-21 137
61387 아세안 비관세장벽 ② - 철강 싱가포르 싱가포르 2016-11-21 168
61386 콩고 경제 침체 심각 콩고민주공화국 킨샤사 2016-11-21 142
61385 터키 조세사면법, 신고기한 11월 25일로 연장 터키 이스탄불 2016-11-21 97
61384 이라크, 모술 탈환 이후 재건/복구 프로젝트 참여 준비 필요 이라크 바그다드 2016-11-21 80
61383 본격 가동을 눈 앞에 둔 요르단 연구용/교육용 원자로 요르단 암만 2016-11-21 75
61382 UAE 중앙은행, 올해 경제성장 전망 하향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2016-11-21 66
61381 덴마크, 식품 넘어 장난감까지 유기농 인기몰이 덴마크 코펜하겐 2016-11-21 111
61380 에너지 순수입국, 태국의 에너지산업 동향 및 정책 태국 방콕 2016-11-21 105
61379 콜롬비아, 대대적인 세금제도 개편 콜롬비아 보고타 2016-11-21 61
61378 [무역관 르포] 스페인 신정부가 해결해야 할 3가지 숙제 스페인 마드리드 2016-11-21 70
61377 캐나다, BC주 기후변화 대응 정책 방향 및 유망 진출 분야 캐나다 밴쿠버 2016-11-21 88
61376 코스트코의 우유를 구글에서 배달한다, 변화하는 미국의 배달문화 미국 워싱톤 2016-11-21 171
61375 불가리아, 화장품 수출에 필요한 사전등록 절차를 살펴본다 불가리아 소피아 2016-11-21 64
61374 파키스탄, 한국산 백판지 반덤핑 조사 본격화 예상 파키스탄 카라치 2016-11-21 55
61373 네덜란드 '바이오 경제' 시장 바로 알기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2016-11-21 79
61372 브라질의 디지털화 현황 탐구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2016-11-21 121
61371 [무역관 르포] 전설의 게임 ‘World of Tanks’를 개발한 나라, 벨라루스 벨라루스 민스크 2016-11-18 253
61370 29개월 만에 선출된 레바논 대통령과 그 의미 요르단 암만 2016-11-18 200
61369 [무역관 르포] 파나마 정부의 물류 인프라 투자확대 정책과 기회 파나마 파나마 2016-11-18 142
61368 2016 글로벌·유럽·영국 M&A 시장 동향 영국 런던 2016-11-18 289
61367 미국 트럼프 당선과 호주의 전망 호주 멜버른 2016-11-18 345
61366 2016년 중국 베이징 보석 전시회 중국 베이징 2016-11-18 175
61365 [무역관 르포] 스웨덴 보일러시장 진출 시 에너지라벨은 필수 스웨덴 스톡홀름 2016-11-18 183
61364 中 전문가에게 듣는 중국 부동산 과열과 그 영향 중국 베이징 2016-11-18 373
61363 영국, 리스본 조약 50조 발동에 의회 동의 있어야 영국 런던 2016-11-18 155
61362 스위스 전기자동차시장 성장 활발 스위스 취리히 2016-11-18 189
61361 美 공구 제조산업, 부동산시장 호황으로 성장 기대 미국 로스앤젤레스 2016-11-18 128
61360 쿠웨이트 정부의 비즈니스 환경 개선에 주목하라 쿠웨이트 쿠웨이트 2016-11-18 113
61359 美 전통 약초제품 시장 동향 미국 로스앤젤레스 2016-11-18 280
61358 불가리아, 소프트웨어 산업 현황 불가리아 소피아 2016-11-18 117
61357 핀란드 건설산업 동향 핀란드 헬싱키 2016-11-18 127
61356 [무역관 르포] 오스트리아, 탈세와의 전쟁의 핵심 ‘전자식 입출금 시스템’ 오스트리아 2016-11-18 84
61355 파나마, 의료 애플리케이션 열풍 파나마 파나마 2016-11-18 178
61354 동아프리카공동체(EAC), 단일시장의 꿈 이룰까 탄자니아 다레살람 2016-11-17 176
61353 이집트, 변동환율제 시행 이집트 카이로 2016-11-17 192
61352 중국 스마트농업을 주목하라 중국 시안 2016-11-17 395
61351 반짝반짝 빛났던 홍콩 국제조명전 홍콩 홍콩 2016-11-17 136
61350 건강함 살린 식물성 우유, 美 시장에 활기 불어넣다 미국 시카고 2016-11-17 189
61349 초콜릿의 모든 것, 프랑스 ‘살롱 뒤 쇼콜라 파리’ 참관기 프랑스 파리 2016-11-17 134
61348 한층 강화될 중국 '소비자권익보호법'에 관한 이해 중국 상하이 2016-11-17 297
61347 프랑스, 2015년 FDI 유치 및 투자진출 여건 동향 프랑스 파리 2016-11-17 118
61346 중국 언론이 보는 최근 미국 TPP 동향에 대한 견해 중국 정저우 2016-11-17 218
61345 중국 고령화시대에 따른 소비동향 변화 중국 상하이 2016-11-17 773
61344 미국 대선 결과에 대한 홍콩 현지 반응 홍콩 홍콩 2016-11-17 117
61343 독일, 온라인 소비재 유통 바이어에게 듣는 시장 진입 기회 독일 프랑크푸르트 2016-11-17 276
61342 中 애니메이션 기업, 한국업체 경쟁력 높게 평가 중국 항저우 2016-11-17 108
61341 2016년 베트남 모터쇼를 다녀오다 베트남 하노이 2016-11-17 164
61340 스리랑카, 부가가치세 기본세율 인상 스리랑카 콜롬보 2016-11-17 127
61339 트럼프 당선에 대한 대만의 반응 대만 타이베이 2016-11-16 957
61338 독일인들은 우리 소비재를 어떻게 생각할까 독일 함부르크 2016-11-16 542
61337 일본 자동운전 자동차 세계 제패 노린다(1) 일본 나고야 2016-11-16 413
61336 독일 Korean Beauty, 한국 여자들의 비밀이 알고 싶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2016-11-16 280
61335 日, 최근 화장품 시장 주요 동향 일본 오사카 2016-11-16 286
61334 폴란드, 애완동물용품 시장 양호한 성장세 폴란드 바르샤바 2016-11-16 144
61333 한국의 맛으로 美 플로리다 공략하기 미국 마이애미 2016-11-16 247
61332 11월 이란 동향 2호 본사 본사 2016-11-16 222
61331 슬로바키아, EU 국가 중 우리나라 제1의 흑자 대상국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2016-11-16 202
61330 중국 해외직구 통관정책 재유예, '17년 말까지 연장 중국 베이징 2016-11-16 3167
61329 中 인터넷시대 '부정경쟁방지법' 개정 중국 상하이 2016-11-16 230
61328 필리핀의 즉석식품시장을 공략하라 필리핀 마닐라 2016-11-16 666
61327 바이어가 직접 전하는 미국 '웨어러블'의 현재와 미래 미국 실리콘밸리 2016-11-16 770
61326 日, 국제표준화 노력 결실 맺나 일본 오사카 2016-11-16 206
61325 탄자니아, 정부 부채 증가는 경제성장에 득일까 실일까 탄자니아 다레살람 2016-11-16 121
61324 태국 스타트업 및 핀테크 산업, 어디까지 왔나 태국 방콕 2016-11-16 233
61323 美 거세지는 코드커팅 문화 미국 로스앤젤레스 2016-11-16 240
61322 이탈리아의 산업 4.0, 중소기업의 성공적인 디지털화가 관건 이탈리아 밀라노 2016-11-16 168
61321 말레이시아, 중국의 동남아 철도시장 진출 전초기지로 부상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2016-11-16 195
61320 그리스, 남유럽 물류 허브로 재탄생 위한 인프라시설 확장 계획 그리스 아테네 2016-11-16 161
61319 전문가에게 듣는 앞으로의 일본 IoT 산업(1) 일본 도쿄 2016-11-16 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