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DOE 수소·연료전지 프로그램 추진 성과[GT 심층보고서] 및 기타 심층보고서
거점 아메리카 > 미국(에너지) > 미국 등록일 2017.12.23
기술분류 에너지·자원 > 신재생 에너지 보고서종류 기술보고서
발행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No | 보고서 종류 | 제목 | 등록일 |
---|---|---|---|
3060 | 기술보고서 | 美 DOE 수소·연료전지 프로그램 추진 성과 | 2017.12.23 |
3059 | 산업보고서 | 한·미 협력: 사물인터넷(IoT) 사이버보안 방향 | 2017.12.14 |
3058 | 산업보고서 | 한·미 IoT 사이버보안 강화를 위한 협력전략 | 2017.12.14 |
3057 | 산업보고서 | 한·미 융합생명공학 협력을 위한 권고사항 | 2017.12.14 |
3056 | 산업보고서 | 한·미 생명공학 분야 협력 이슈 | 2017.12.14 |
3055 | 정책보고서 | 미국 정부의 바이오의약 지원 정책 | 2017.12.01 |
3054 | 정책보고서 | 유럽의 스마트 선박 기술 및 정책 동향 | 2017.11.24 |
3053 | 정책보고서 | 유럽 드론 시장 동향 및 전망 | 2017.11.24 |
3052 | 기술보고서 | 한미 인공지능 기술개발 협력을 위한 권장사항 | 2017.11.04 |
3051 | 기술보고서 | 산업부문 인공지능의 응용 및 개발 | 2017.11.03 |
3050 | 기술보고서 | 이스라엘 로봇혁신기술 | 2017.10.30 |
3049 | 기타 | 이스라엘 국제과학 교류관계 | 2017.09.21 |
3048 | 산업보고서 | 3D 프린팅의 선두주자인 스트라타시스와 3D시스템즈 | 2017.09.01 |
3047 | 정책보고서 | 미국의 3D 프린팅 산업 지원 | 2017.08.29 |
3046 | 정책보고서 | 유럽의 로봇산업 정책 및 기술 동향 | 2017.08.16 |
3045 | 정책보고서 | [미의회조사] 디지털 무역과 미국 무역정책 | 2017.08.12 |
3044 | 산업보고서 | 이스라엘 첨단 기술 회사들의 투자금 회수 분석 2012-16 | 2017.07.20 |
3043 | 기술보고서 | 이스라엘의 자동차 & 스마트 모빌러티 산업 | 2017.07.20 |
3042 | GT레포트 | 이스라엘 2020: 21세기 이스라엘을 위한 마스터 플랜 | 2017.05.15 |
3041 | 정책보고서 | 미국 에너지부(DOE) R&D 평가 프로세스 사례분석 | 2017.04.27 |
발행년월일2017.10.31
목차
1. 서론
ㅇ AMR 주요 발표 내용 개요
ㅇ DOE 수소 연료전지 프로그램
2. 연료전지 기술개발 현황
ㅇ 개요
ㅇ 연료전지 요소기술
ㅇ 시스템 분석
ㅇ 제조 기술
ㅇ 시장진입
주요내용
□ DOE 수소프로그램 예산의 대부분이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FC) 관련 기술에 투자하고 있으며, 기초연구 (BES) 프로그램과 혁신기술 개발을 위한 ARPA-E 프로그램으로 별도로 연료전지가 연구되고 있음
ㅇ 연료전지 재료에서 수소인프라 기술까지 상용화 목표달성을 위해 필요한 핵심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과 더불어 혁신 기술을 위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
→ 상용화 기술 개발과 혁신 원천기술 개발에 대한 균형적인 접근 필요
□ 수소?연료전지 프로그램에서의 과제는 설정된 상용화 목표 달성에 기여도가 높은 과제를 중심으로 과제가 도출되고 있음
ㅇ 가격, 내구성, 성능 측면에서 상용화를 위한 시스템 목표 및 이를 위한 핵심 요소기술의 최종 목표들이 설정되어 있음
ㅇ 시스템 해석(System Analysis) 분야를 별도의 서브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정량적으로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우선순위의 핵심기술 개발 과제 도출
→ 과제 도출과 심사에 과제별로 별도로 제안된 목표가 아닌 프로그램에서 제시된 상용화 목표를 중심으로 목표 달성 가능성/결과와 기여도를 중심으로 평가 필요
□ 연차 과제평가가 전문가 전체에게 공개하는 발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어 전문성과 공정성 문제를 해결하고 있음
ㅇ 평가자의 전문성을 우선시하여 동일한 분야에서 평가를 받아야 하는 경쟁연구자도 공개 평가의 심사위원으로 참여하는 경우도 존재함
ㅇ 평가점수와 질문과 답변 등을 포함한 평가결과를 웹사이트에 보고서로 공개하여 공정성을 확보
□ DOE 수소연료전지 프로그램은 수소 기반시설을 위한 사업은 물론 개발된 기술의 제조경쟁력 확보와 시장 분석을 위해 서브프로그램으로 별도의 사업을 지원하는 등 목표 달성을 위한 전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있음
ㅇ 서브프로그램별로 사업책임자(PM)가 역할을 나누어 과제를 관리하고 있음
* 서브프로그램: FC(Fuel cell), MN(Manufacturing R&D), MT(Market Transformation), PD(Hydrogen Production and delivery), SA(System Analysis), SCS(Safety, Codes and Standards), ST(Hydrogen Storage), TV(Technology Validation), H2IN(Hydrogen Infrastructure)
→ 수소연료전지 분야의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수소연료 제조에서 연료전지 실증까지 사업의 균형 있는 포트폴리오 구성과 연계 연구 필요
□ 수소연료전지 기술개발과 보급을 위해 기초 원천 기술개발, 스택 부품 성능개선, 시스템 실증 등 단계별 portfolio를 구성하여 가격, 내구성 등 기술적 장애를 해결하기 위한 상용화 연구개발과 더불어 시장진입을 위한 실증 등 전주기적인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ㅇ $32M이 투자된 연료전지 기술 분야는 촉매, 분리판 그리고 전해질 등 스택 요소 기술과 연료전지 수명 향상을 위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고 있음
ㅇ 결과 발표 내용에 따르면, DOE에서 설정한 당해 연도의 성능, 가격, 내구성에 대한 목표는 거의 달성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2020년까지의 상용화 목표에도 일부는 이미 도달한 것으로 분석됨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년도 방송산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 (0) | 2017.12.26 |
---|---|
분야별로 살펴본 2017년 경기도 주요 성과 (0) | 2017.12.26 |
서울시, “죽음의 계곡 탈출 도와요”-1월 12일까지 서울 창업성장센터 입주할 7년 미만 기술창업 기업 20개사 모집 (0) | 2017.12.25 |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사업 안내 (0) | 2017.12.25 |
2018 홍콩 가정용품 전시회 참가 기업 모집 (전국) (0) | 2017.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