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감염병 대응,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고부담 질환 해결 등에 2021년도 보건복지부 연구개발(R&D) 예산 7,878억 원 지원

하이거 2020. 12. 15. 15:57

감염병 대응,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고부담 질환 해결 등에 2021년도 보건복지부 연구개발(R&D) 예산 7,878억 원 지원

 

등록일 : 2020-12-15[최종수정일 : 2020-12-15] 담당부서 : 보건의료기술개발과

 

 



감염병 대응,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고부담 질환 해결 등에
2021년도 보건복지부 연구개발(R&D) 예산 7,878억 원 지원


- 2020년 제2차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12.15)를 통해
2021년 보건복지부 연구개발(R&D) 통합시행계획 확정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2021년 연구개발(R&D) 투자 방향을 담은 ”2021년도 보건복지부 R&D사업 통합 시행계획”을 12월 15일(화) 제2차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위원장 송시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에서 심의·확정했다고 밝혔다.

* 수도권 등 사회적 거리 두기 2.5단계 격상(12.8)에 따라 화상토론회(Webinar) 형식으로 진행

○ 내년 보건복지부 주요 R&D 예산*은 올해 예산(총 5,278억 원) 대비 49.3%(2,600억 원) 늘어난 7,878억 원이다.

* 전체 R&D 예산 중 기관운영비, 국립병원 연구비 등 일반 R&D 예산 제외

○ 시행계획 대상 사업은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임상지원, 치매극복연구개발, 재생의료기술개발, 국가신약개발 등 총 61개 사업으로, 신규과제 1,425억 원, 계속과제 6,453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 보건복지부는 ‘공익적 R&D 투자 강화로 국민 보건의료 문제 해결 및 첨단유망기술 육성을 통한 국가주력산업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 ▴감염병 위기 대응 역량 강화, ▴바이오헬스 첨단 유망기술 육성, ▴공익적 R&D 투자 강화, ▴의료현장 연계 R&D 지원을 4대 추진전략으로 정하고 2021년 주요 R&D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① 감염병 위기 대응 역량 강화

-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과 임상시험 성공률 제고를 위해 임상·비임상단계의 연구지원 강화*하고(’20년(추경) 940억 원 → ’21년 1,388억 원),

*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비임상지원 사업(’21년 신규, 74억), 코로나19 치료제 임상지원(’20년(추경) 450억 원→ ’21년 627억 원), 코로나19 백신 임상지원(’20년(추경) 490억 원 → ’21년 687억 원)

- (감염병 진단·방역장비) 신·변종 감염병 출현에 대비, 병원 내 방역·의료장비의 국산화 및 고도화로 국가방역체계 역량 강화할 계획이다.

* 감염병 방역기술개발사업(’20년(추경) 85억 원 → ’21년 139억 원)

- (감염병 조사·진단·치료 및 백신개발) 감염병 조사‧감시‧예방‧진단‧치료 등에 필요한 기술개발 및 공공백신 연구·개발·지원을 위한 시설 건립 및 운영을 지원한다.

* (백신자급화 등)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20년 120억 원 → ’21년 248억 원)
** (병원체 확보·특성분석 등) 감염병 관리기술개발연구(’20년 205억 원 → ’21년 240억 원, 질병청)
*** (백신연구 기반(인프라)) 공공백신개발 지원센터 건립 및 운영(’21년 136억 원, 질병청)

② 바이오헬스 첨단유망기술 육성

- (재생의료) 난치 질환 극복 및 미래 바이오경제 시대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재생의료 전주기 연구개발* 지원 및 임상연구 분야 투자를 강화한다(’20년 304억 원 → ’21년 460억 원).

* ’20년 6월 예비타당성조사 통과하여 10년간(’21~’30년) 국비 5,955억 원 투자(복지·과기부)

-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개인별 맞춤 의료, 인공지능을 활용한 임상 의사결정 지원 플랫폼 개발, 데이터 관리·보호 기술 등 4차 산업혁명 기반 의료기술을 적극 지원한다(’20년 506억 원 → ’21년 689억 원).

* 디지털 병리 기반의 암 전문 AI 분석 솔루션 개발(’21년 신규 72억, ’21~’25년)
**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20년 43억 원 → ’21년 73억 원), 의료데이터 보호·활용 기술개발(’20년 80억 원 → ’21년 99억 원)

- (신약·의료기기 등) 신약·의료기기 등 차세대 유망기술을 중점 지원하기 위해 개발, 임상, 인허가 및 제품화 등 전 주기에 걸쳐 범부처 공동 지원을 추진한다(’20년 939억 원 → ’21년 1,377억 원).

* 국가신약개발사업 : ’20년 6월 예비타당성조사 통과하여 10년간(’21~’30년) 국비 약 1.5조 원 투자(복지·과기·산업부)
**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20년 302억 원 → ’21년 602억 원)

③ 공익적 R&D 투자 강화

- (돌봄, 희귀질환 등 사회문제 해결) 고령자, 장애인 등 취약계층 친화적 돌봄 서비스 제공과 실생활에 기반한 제품 개발, 희귀질환, 저출산 등 공익적 수요가 높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용화 중심의 기술개발 등을 지원한다(‘20년 654억 원→ ’21년 958억 원).

* 노인천만시대 대비 고령친화 서비스 연구개발사업(’21년 신규, 40억 원, ´21년∼´23년),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20년 48억 원 → ’21년 76억 원)

- (치매·만성질환 극복) 치매, 만성질환 등 고부담·난치성 질환 분야에 중점 투자하여 국민의 사회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20년 1,228억 원→ ’21년 950억 원).

*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복지부·과기부)(’20년 30억 원 → ’21년 79억 원)

④ 의료현장 연계 R&D 지원

- 병원 중심의 연구 플랫폼 구축·개방으로 병원을 산·학·연·병이 협력할 수 있는 연구·산업생태계 혁신 거점으로 집중 육성한다(‘20년 866억 원→ ’21년 989억 원).

* 연구중심병원육성R&D(’20년 371억 원 → ’21년 402억 원)의료기술상용화지원센터(’20년(추경 포함) 95억 원 → ’21년 170억 원)

□ 보건복지부 임을기 첨단의료지원관은 이날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에서 “정부는 코로나19를 비롯한 신종 감염병, 치매와 같은 고부담 질환 등으로부터 국민의 건강권을 보호하기 위한 공익적 R&D를 계속 확대할 것이며,

○ 또한 초고령화 시대를 맞아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은 재생의료, 신약, 의료기기 등 바이오헬스 분야의 혁신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바이오헬스 R&D 투자를 꾸준히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 아울러 “보건의료 R&D의 성과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으로 직결될 수 있도록 정부는 산업계, 학계 등 현장과 활발하게 소통하여 R&D 사업을 보다 체계적이고 투명하게 관리할 것이며, 현장에서 적극적인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전했다.

□ 2021년 보건복지부 R&D 사업은 올해 12월 22일(화) 사업 공고* 예정이며, 자세한 사항은 ‘보건의료기술 종합정보시스템’ 누리집(https://www.htdream.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일부 사업은 제외되며, 일정 변동 가능

□ 한편, 이날 보건의료기술정책위원회에서는 제3차(`15~`19) 천연물신약 연구개발 촉진계획이 완료됨에 따라 「천연물신약연구개발촉진법」에 의거하여 범부처 차원의 제4차(`20~`24) 촉진계획도 보고하였다.

○ 천연물신약이란 천연물(동·식물 등 생물)에서 유래한 물질을 이용해서 만든 의약품으로, 부작용 및 독성이 비교적 적어 약을 장기간 복용해야 하는 만성질환의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 이에 해당 계획은 ▴수요자 맞춤 천연물자원 활용 촉진, ▴천연물신약 개발단계의 약한 고리 집중지원, ▴천연물신약 사업화 역량 강화를 3대 추진전략으로 정하고,

- ’24년까지 임상진입 5건, 해외 임상진입 3건, 해외 기술이전 3건, 글로벌 천연물 신약 1건 등의 성과를 목표로 추진될 예정이다.


< 붙임 > 1. 2021년 보건복지부 R&D 통합시행계획 주요내용 2. 2021년 신규과제 통합공고 계획3. 제4차 천연물신약촉진계획(’20~’24년) 주요내용


붙임1

2021년 보건복지부 R&D 통합시행계획 주요내용


□ 2020년 주요R&D 예산 현황

○ ’21년 복지부 주요R&D 예산 7,878억 원, 전년대비 2,600억 원(49.3%) 증가

○ (기관별) 진흥원 6,362억 원으로 전체 주요 R&D 예산의 80.8%를 관리(전년 比 55.2% 증가), 질병청은 1,062억 원으로 13.5% 관리(전년 比 34.4% 증가)

 

(단위: 억 원, %)
구분
2020년
(본예산)
2020년
(추경 포함)
2021년
증가율
복지부 주요 R&D
5,278
6,607
7,878
49.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4,100
5,163
6,362
55.2
(77.7%)
(78.1%)
(80.8%)

질병관리청
790
1,056
1,062
34.4
(15%)
(16.0%)
(13.5%)

국립암센터
334
334
360
7.8
(6.3%)
(5.1%)
(4.6%)

국립재활원
54
54
94
74.1
(1%)
(0.8%)
(1.2%)

 

○ (분야별) 코로나19 및 신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신규 예산 확보로 질환극복·관리 분야 예산이 대폭 증가하였으며, 재생의료를 비롯한 첨단의료기술 분야와 신약·의료기기 분야 예산도 증가


주요 R&D 분야별 예산 현황(’20~’21)

(단위: 억 원, %)

분야별
2020
2021
증감률

주요 R&D
5,278
7,878
49.3

질환극복·관리
1,924
3,653
89.9
(36.5)
(46.4)


신약·의료기기
1,334
1,744
30.7
(25.3)
(22.1)


첨단의료기술
770
1,151
49.5
(14.6)
(14.6)


연구기반조성
584
596
2.1
(11.1)
(7.6)


기타
666
736
10.5
(12.6)
(9.3)


(단위: 억 원)


□ 보건복지부 R&D 정책방향


◇ 바이오헬스 분야 정부 R&D 투자를 ’25년까지 4조원 이상으로 확대 추진
- 기초연구·응용연구를 균형 있게 확대(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 ’19.5월)

 

2021년도 전략목표

 

 

 

공익적 R&D 투자 강화로 국민의 보건의료문제 해결,
첨단유망기술 육성을 통한 국가 주력산업으로의 도약

 

4대 전략별
중점 추진방향

 

 


감염병 위기 대응 역량 강화

① 감염병 상시화에 대비한 예방·진단·치료기술 등 투자 강화

 

바이오헬스 첨단 유망기술 육성

② 재생의료 제도 완비 및 중점 지원
③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D.N.A 기술 연계·활용 투자
④ 신약·의료기기 등 차세대 유망기술 중점 지원

 

공익적 R&D 투자 강화

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취약계층 맞춤형 R&D 확대
⑥ 치매·만성질환 등 고부담·난치성 질환 극복 중점 투자

 

의료현장 연계 R&D 지원

⑦ 병원 인프라를 연구 생태계 혁신거점으로 집중 육성

 

보건의료 R&D 정책여건

 

 

감염병 위기 대응

미래 유망 기술 투자

공익적 의료생태계 조성

연구 인프라 조성





·감염병이 일상화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도래
·미래 감염병 위기대응역량 강화
·첨단 재생의료기술 주목
· 바이오헬스 + D.N.A 접목
·신약·의료기기 개발 지원
·의료비 부담 상승
·취약계층 돌봄 서비스 시급
·정신건강 사회적 문제 심각
·병원 중심의 연구협력 생태계 조성 필요
·신산업 분야 인력 부족


□ 중점 추진방향

① 감염병 상시화에 대비한 예방·진단·치료기술 등 투자 강화(‘20년 781억 원→ ’21년 2,455억 원)

○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과 임상시험 성공률 제고를 위해 임상·비임상단계의 연구지원 강화

*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비임상지원 사업(’21년 신규, 74억, ’21년~’23년), 코로나19 치료제 임상지원(’20년(추경) 450억 → ’21년 627억), 코로나19 백신 임상지원(’20년(추경) 490억 → ’21년 687억)

○ (감염병 진단·방역장비) 신·변종 감염병 출현에 대비, 병원 내 방역·의료장비의 국산화 및 고도화로 국가방역체계 역량 강화

* 감염병 방역기술개발사업(’20년(추경) 85억 → ’21년 139억)

○ (감염병의 심리·정신건강 영향) 코로나19가 의료종사자 및 국민의 심리·정신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및 비코로나 환자 진료 영향에 대한 후향적 연구

* 감염병 의료기술 근거생성연구사업(’20년(추경) 8억 → ’21년 15억)

○ (감염병 조사·진단·치료 및 백신개발) 감염병 조사‧감시‧예방‧진단‧치료 등에 필요한 기술개발 및 공공백신 연구·개발·지원을 위한 시설 건립 및 운영

* (백신자급화 등)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20년 120억 → ’21년 248억)
** (병원체 확보·특성분석 등) 감염병 관리기술개발연구(’20년 205억 → ’21년 240억, 질병청)
*** (백신연구 인프라) 공공백신개발 지원센터 건립 및 운영(’17~’21년, 질병청)

 

2021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비임상지원(신규, 74억, ’21년~’23년)
· 코로나19 치료제 임상지원(’20년(추경) 450억 → ’21년 627억)
· 코로나19 백신 임상지원(’20년(추경) 490억 → ’21년 687억)
· 감염병 방역기술개발사업(’20년(추경) 85억 → ’21년 139억)
· 감염병 의료기술 근거생성연구사업(’20년(추경) 8억 → ’21년 15억)

 

② 재생의료 제도 완비 및 중점 지원(‘20년 304억 원→ ’21년 460억 원)

○ (재생의료기술개발) 재생의료 전주기 연구개발 지원 및 임상연구 분야 투자 강화로 난치질환 극복 및 바이오경제 시대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 범부처 재생의료 기술개발사업(’21년 신규, 64억)
** ’20.6월 예타 통과, 10년간(’21년~’30년) 국비 5,955억원 규모 투자(복지·과기부)

○ (바이오 위해평가) 경쟁력 있는 유전자변형생물체(LMO)가 위해성 평가·심사 장벽을 넘을 수 있도록 유관부처(질병청·과기부·산업부) 협업 지원

* 바이오위해평가 원팀 리노베이션사업(’21년 신규, 7억, ’21년~’23년)

○ (재생의료 실용화) 재생의료 분야 기초원천 연구성과의 임상 적용을 위한 중개연구, 실용화 임상시험, 산업화 기반기술 등 지원 추진

* 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 內 줄기세포·재생의료 실용화(’20년 253억 → ’21년 348억)
** 「첨단재생바이오법」제정(’19.8월) 및 시행(’20.8월)

 

2021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범부처 재생의료 기술개발사업(신규, 64억, ’21년~’30년)
· 바이오위해평가 원팀 리노베이션사업(신규, 7억, ’21년~’23년)
· 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 內 줄기세포·재생의료 실용화(’20년 253억 → ’21년 348억)

 

③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D.N.A 기술 연계·활용 투자(‘20년 506억 원→ ’21년 689억 원)

○ (주요 질환 AI기반 기술) 데이터·인공지능(AI) 연계·활용 촉진을 통한 임상 의사결정 지원 및 분석 플랫폼 개발 연구 지원

* 디지털 병리 기반의 암 전문 AI 분석 솔루션 개발 (’21년 신규, 72억, ’21년~’25년)
** 중환자 특화 빅데이터 구축 및 AI 기반 CDSS 개발 (’21년 신규, 71억, ’21년~’25년)

○ (생명자원 확보) 국가생명연구자원(실물소재자원+연구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확보, 산‧학‧연‧병에 제공하여 바이오 연구‧산업 혁신을 촉진

*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사업(’21년 신규, 25억, ´21∼계속 )

○ (임상 데이터 구축·활용) 개인별 맞춤의료 실현을 위한 유전체 데이터 구축 및 임상 현장 활용을 위한 플랫폼 기술 개발

*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정밀의료)(’20년 113억 → ’21년 107억),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20년 92억 → ’21년 85억)

○ (데이터 관리·보호 기술) 정밀의료 기반인 바이오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안전하게 활용하기 위한 정보관리·보호 기술 개발 지원

*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20년 43억 → ’21년 73억), 의료데이터 보호·활용 기술개발(’20년 80억 → ’21년 99억)

○ (AI 활용 신약 개발) 후보물질 발굴, 신약 재창출 등 신약개발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플랫폼 구축으로 신약개발 기간 단축 지원

*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사업(’20년 28억 → ’21년 30억)


2021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디지털 병리 기반의 암 전문 AI 분석 솔루션 개발 (신규, 72억원, ’21년~’25년)
· 중환자 특화 빅데이터 구축 및 AI 기반 CDSS 개발 (신규, 71억원, ’21년~’25년)
·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사업(신규, 25억,´21∼계속)
·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20년 43억 → ’21년 73억)
· 의료데이터 보호·활용 기술개발(’20년 80억 → ’21년 99억)

 

④ 신약·의료기기 등 차세대 유망기술 중점 지원(‘20년 939억 원→ ’21년 1,377억 원)

○ (신약) 유효·선도물질 도출, 임상 개발, 생태계 구축 등 신약개발 전주기 범부처 공동 지원으로 국가 제약·바이오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 국가신약개발사업(복지부·과기부·산업부)(‘21년 신규, 151억)
** ’20.6월 예타 통과, 10년간(’21년~’30년) 국비 약 1.5조원 규모 투자

○ (의료기기) 의료기기 개발·임상·인허가·제품화 전주기 범부처 공동 지원으로 미래 의료환경을 선도하고 의료 공공복지를 구현

*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20년 302억 → ’21년 602억)

○ (투자 연계) 성공 잠재력을 가진 바이오헬스 기술의 빠른 상용화를 위해 정부-민간이 공동으로 자금 및 인프라 투자

* 바이오헬스 투자인프라 연계형 R&D사업(’20년 22억 → ’21년 56억)

○ (화장품) K-뷰티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화장품 소재 국산화 및 지속가능 친환경 기술 개발 지원

* 피부과학 응용소재 선도기술개발(’20년 77억 → ’21년 103억)

○ (의료로봇) 고부가가치 의료로봇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공통 기반기술개발 및 신속한 임상진입 지원

* 마이크로 의료로봇 실용화 기술개발(’20년 87억 → ’21년 101억)

 

2021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국가신약개발사업(신규, 151억, 복지부·과기부·산업부, ’21년~’30년)
·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20년 302억 → ’21년 602억)
· 바이오헬스 투자인프라 연계형 R&D사업(’20년 22억 → ’21년 56억)
· 피부과학 응용소재 선도기술개발(’20년 77억 → ’21년 103억)
· 마이크로 의료로봇 실용화 기술개발(’20년 87억 → ’21년 101억)
· 첨단의료복합단지 미래의료산업 원스톱지원사업(’20년 45억 → ’21년 59억)

 

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취약계층 맞춤형 R&D 확대(‘20년 654억 원→ ’21년 958억 원)

○ (희귀질환 등) 희귀질환, 저출산 등 공익적 수요가 높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실용화 중심의 기술개발 지원

* 공익적의료기술연구사업(’21년 신규, 42억, ´21년∼´24년)

○ (취약계층 돌봄) 고령자 및 장애인 친화적 돌봄 서비스 제공과 실생활에 기반한 제품 개발로 삶의 질 향상에 기여

* 노인천만시대 대비 고령친화 서비스 연구개발사업(’21년, 40억, ´21년∼´23년),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20년 48억 → ’21년 76억)

○ (장애인 재활) 장애인의 지역사회 성공적 복귀를 위한 재활운동 및 체육 활동에 제공되는 스마트 운동기기 및 프로그램 개발 지원

* 지능형 재활운동 체육중개연구사업(’21년 신규, 40억, ´21년∼´23년)

○ (의료기술 최적화) 국민의료비 등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최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임상 현장의 다양한 의료기술을 대상으로 효과성 비교 연구 및 근거 산출 연구 지원

*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20년 191억 → ’21년 224억)

○ (국가 연구기반) 감염병, 희귀·난치질환, 고령화, 임상연구 등을 위한 국가 보건의료 인프라 구축 및 재난 대응 기반 강화

* 국가 보건의료 연구인프라 구축(’20년(추경 포함) 223억 → ’21년 352억)

 

2021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공익적의료기술연구사업(신규, 42억, ´21년∼´24년)
· 노인천만시대 대비 고령친화 서비스 연구개발사업(신규, 40억, ´21년∼´23년)
· 지능형 재활운동 체육중개연구사업(신규, 40억, ´21년∼´23년)
·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20년 191억 → ’21년 224억)
· 국가 보건의료 연구인프라 구축(’20년(추경 포함) 223억 → ’21년 352억)

 

⑥ 치매·만성질환 등 고부담·난치성 질환 극복 중점 투자 치매, 만성질환 관련 일부 사업* 종료(’20)로 일시적 예산 감소(약 293억 규모)
* 국가치매극복기술개발, 100세사회대응 고령친화제품연구개발, 공익적 질병극복 연구지원사업, 연구자주도질병극복연구
(‘20년 1,228억 원→ ’21년 950억 원)

○ (치매극복) 치매로 인한 국민들의 사회경제적 부담 경감을 위해 원인 규명·예방·조기진단·치료기술까지 아우르는 전주기적 투자

*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복지부·과기부)(’20년 30억 → ’21년 79억)

○ (정신건강) 알코올 중독, 자살, 정신질환 등 국민 생활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해결하여 전 국민 정신건강 증진 도모

* 정신건강문제해결연구(’20년 62억 → ’21년 62억)

○ (한의약) 한의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 등 한의약 분야 표준화·과학화 및 첨단 과학기술 융합으로 의료서비스 품질 제고 및 한의약산업 육성

* 한의약혁신기술개발사업(’20년 78억 → ’21년 102억), 한의기반융합기술개발(’20년 54억 → ’21년 66억)

○ (만성질환) 심뇌혈관질환, 치매, 당뇨병, 만성폐쇄성 폐질환, 호흡기·알레르기 질환 등 주요 만성질환 대응 기술 및 연구기반 구축 지원

* 만성병관리기술개발연구사업(’20년 135억 → ’21년 158억)

○ (암) 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질병부담 감소를 위해 원인 및 기전 규명·예방·진단·치료법 개발 및 적용에 적극 투자

* 암연구소 및 국가 암관리 사업본부 주요사업비(’20년 334억 → ’21년 360억)

 

2021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복지부·과기부)(’20년 30억 → ’21년 79억)
· 정신건강문제해결연구(’20년 62억 → ’21년 62억)
· 한의약혁신기술개발사업(’20년 78억 → ’21년 102억)
· 만성병관리기술개발연구사업(’20년 135억 → ’21년 158억)
· 암연구소 및 국가 암관리 사업본부 주요사업비(’20년 334억 → ’21년 360억)

 

⑦ 병원 인프라를 연구 생태계 혁신거점으로 집중 육성(‘20년 866억 원→ ’21년 989억 원)

○ (의료현장 수요 연계) 의료현장의 미충족 의료수요를 반영하고, 기초연구 성과의 임상 적용 가능성 제고를 통한 바이오헬스 기술의 실용화 촉진

* 질병중심중개연구사업(’21년 신규, 37억, ´21년∼´23년)

○ (연구중심병원) 산·학·연·병이 협력할 수 있는 병원 중심 연구 플랫폼 구축·개방으로 병원을 연구·산업생태계 혁신 거점화

* 연구중심병원육성R&D(’20년 372억 → ’21년 440억)

○ (인력양성) 보건의료분야 혁신을 이끌 신진 연구인력 성장 기반 마련 및 글로벌 선도기관과의 연구 협력 네트워크 구축 지원

* 보건의료인재양성지원사업(일반회계+기금)(’20년 192억 → ’21년 176억)

○ (상용화 촉진) 질환별 특화된 비임상단계 유효성평가 및 혁신 의료기기 실증 지원으로 보건의료 기초연구 성과 상용화 촉진

* 의료기술상용화지원센터(’20년(추경 포함) 95억 → ’21년 170억)

○ (인체자원 수집·활용) 국가적으로 확보·활용이 필요한 질환군별·특성별 인체자원을 수집 및 제공하여 연구 성과 창출 지원

* 보건의료생물자원종합관리(’20년 52억 → ’21년 77억)

 

2021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질병중심중개연구사업(신규, 37억, ´21년∼´23년)
· 연구중심병원육성R&D(’20년 372억 → ’21년 440억)
· 의료기술상용화지원센터(’20년(추경 포함) 95억 → ’21년 170억)
· 보건의료생물자원종합관리(’20년 52억 → ’21년 77억)


□ 대상사업

< 2021년 보건복지부 주요 R&D 사업 투자계획 >
(단위 : 백만 원)

4대 중점추진 전략
중점 추진 방향
세부사업
내역사업
’20년 예산
’21년 예산
관리기관

신규
 총계
527,821
787,829
154,364

감염병위기 대응역량 강화
감염병 상시화 대비
코로나19치료제백신비임상지원사업 신규
-
7,400
7,400
진흥원
코로나19치료제임상지원사업 추경
-
62,700
- 
코로나19백신임상지원사업 추경
-
68,700
 -
감염병방역기술개발 추경
-
13,933
600
감염병의료기술근거생성연구 추경
-
1,500
 
감염병예방·치료기술개발사업
25,532
46,768
6,750
감염병위기대응기술개발
16,192
6,973
-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
20,492
23,993
3,953
질병청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건립및운영
15,842
13,577
11,493
소계
78,058
245,544
30,196

바이오헬스첨단유망기술육성
재생의료 제도 완비 및 중점 지원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신규, 예타
-
6,411
6,411
진흥원
첨단의료기술개발
줄기세포재생의료실용화,융복합보건의료기술 등
30,355
38,933
9,950
바이오위해평가원팀리노베이션사업 신규
-
650
650
질병청
소계
30,355
45,994
17,011

D.N.A 기술 연계·활용
디지털병리기반의암전문AI분석솔루션개발사업 신규
-
7,170
7,170
진흥원
인공지능바이오로봇의료융합기술개발
2,800
2,200
-
첨단의료기술개발
인공지능정보의학
3,900
3,000
- 
중환자특화빅데이터구축및AI기반CDSS개발 신규
-
7,064
7,064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복지부)
11,261
10,702
-
의료데이터보호ㆍ활용기술개발
7,970
9,914
2,100
포스트게놈신산업육성을위한다부처유전체사업
9,232
8,518
-
바이오빅데이터구축시범사업
4,267
7,250
-
CDM기반정밀의료데이터통합플랫폼기술개발
5,366
5,366
-
인공지능신약개발플랫폼구축
2,778
3,000
-
심혈관계질환첨단의료기술가상훈련시스템기술개발(종료)
855
-
-
형질분석연구
2,206
2,168
-
질병청
다부처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 신규
-
2,510
2,510
소계
50,635
68,862
18,844

차세대 유망기술 중점 지원
국가신약개발사업 신규, 예타
-
15,051
15,051
진흥원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
30,189
60,200
1,893
바이오헬스투자인프라연계형R&D사업
2,236
5,635
1,291
마이크로의료로봇실용화기술개발사업
8,704
10,143
-
첨단의료복합단지미래의료산업원스톱지원
4,453
5,887
-
피부과학응용소재선도기술개발
7,740
10,320
-
의료기기기술개발
23,768
15,087
-
첨단의료기술개발
신약개발지원, 제약산업특화지원
16,333
15,375
-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종료)
500
-
-
소계
93,923
137,698
18,235

공익적R&D투자 강화
사회문제 해결
공익적의료기술연구사업 신규
-
4,173
4,173
진흥원
노인천만시대대비고령친화서비스연구개발 신규
-
3,995
3,995
환자중심의료기술최적화연구사업
19,105
22,404
7,050
노인장애인보조기기연구개발사업
4,800
7,600
1,200
국민건강스마트관리연구개발사업
2,966
4,815
1,796
돌봄로봇중개연구및서비스모델개발
2,201
2,858
354
라이프케어융합서비스개발사업
9,072
630
-
사회서비스
150
150
-
국가보건의료연구인프라구축
17,619
35,209
6,593
질병청
미세먼지기인질병대응연구
4,062
4,602
-
국립재활원재활연구개발용역사업
5,395
5,401
1,830
재활원
지능형재활운동체육중개연구사업 신규
-
4,002
4,002
소계
65,370
95,839
30,993

고부담·난치성 질환 극복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2,950
7,877
3,060
진흥원
정신건강문제해결연구
6,244
6,244
-
국가항암신약개발사업
12,156
3,306
-
한의약혁신기술개발
7,779
10,177
2,880
한의기반융합기술개발
5,439
6,630
1,750
치의학의료기술연구개발
2,008
3,157
450
한의약선도기술개발
7,235
5,035
-
질환극복기술개발
2,785
685
-
100세사회대응고령친화제품연구개발(종료)
1,692
-
-
연구자주도질병극복연구(종료)
7,584
-
-
공익적질병극복연구지원사업(종료)
6,960
-
-
국가치매극복기술개발(종료)
13,090
-
-
만성병관리기술개발연구
13,485
15,847
1,544
질병청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주요사업비)
33,433
36,015
12,975
암센터
소계
122,840
94,973
22,659

의료현장연계R&D 지원
병원 인프라
질병중심중개연구사업 신규
-
3,663
3,663
진흥원
연구중심병원육성
37,170
43,996
3,750
보건의료인재양성지원사업(일반회계)
16,300
13,505
1,360
보건의료인재양성지원사업(국민건강증진기금)
2,903
4,070
-
의료기술상용화지원센터
6,450
16,995
-
임상연구인프라조성
12,668
4,550
-
스마트임상시험플랫폼기반구축사업
2,780
3,707
-
선도형특성화연구사업
3,120
780
-
보건의료생물자원종합관리
5,249
7,653
7,653
질병청
소계
86,640
98,919
16,426

 

붙임2

2021년 신규과제 통합공고 계획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단위 : 백만 원 , 개)
공모 일정
세부사업명
내역사업명
공고단위
예산액
예상 과제수
RFP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101,161백만원)
1차공고(’20.12)
노인천만시대대비고령친화서비스연구개발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연계형 고령자 자립생활 지원 기술개발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연계형 고령자 자립생활 지원 기술개발
2,100
2
1
고령친화제품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한 실생활기반 리빙랩 구축 및 운영
고령친화제품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한 실생활기반 리빙랩 구축 및 운영
890
5
1
정보통신기술 활용 비대면 사회서비스 개발
정보통신기술 활용 비대면 사회서비스 개발
870
3
1
연구중심병원육성 
연구중심병원육성R&D
3,750
3
1
보건의료인재양성지원사업(일반회계)
글로벌인재육성
바이오메디컬 글로벌인재양성-연구자협력형
1,060
23
1
한-스위스 국제협력
200
10
1
한-스위스 라이프사이언스 교류협력지원
100
1
1
감염병예방·치료기술개발사업
의료현장 맞춤형 진단기술개발
의료현장 맞춤형 진단 기술개발
1,125
4
1
미해결 치료제 도전 기술개발
미해결 치료제 도전 기술개발
4,125
7
1
치의학 의료기술 연구개발
치과의료 교차감염 예방관리 의료기술개발
치과의료 교차감염 예방관리 의료기술개발
450
2
1
질병중심중개연구사업
의료수요연계형 중개연구
의료수요연계형 중개연구
3,600
16
1
1차 공고 부분 합계
18,270
76
11
2차공고
(’21.1)
의료데이터보호활용기술개발
의료데이터 프라이버시 보존 컴퓨팅 기술개발
합성 의료데이터 생성 및 임상활용 실증연구(상반기)
1,200
4
1
디지털 병리 기반의 암 전문 AI 분석 솔루션 개발(R&D)
병리 데이터 디지털 큐레이션 기반 구축
병리 데이터 디지털 큐레이션 기반 구축
2,625
7
1
AI 개발용 디지털 병리 데이터 플랫폼 개발
AI 개발용 디지털 병리 데이터 플랫폼 개발
1,688
2
1
암 전문 지능형 병리 AI 진단 SW 개발 및 임상 검증 활용 평가
암 전문 지능형 병리 AI 진단 SW 개발 및 임상 검증 활용 평가
2,625
7
1
중환자 특화 빅데이터 구축 및 AI 기반 CDSS 개발
한국형 중환자 특화 데이터셋(K-MIMIC) 구축
한국형 중환자 특화 데이터셋(K-MIMIC) 구축
1,575
3
1
AI 기반 중환자 CDSS 개발 및 실증연구
AI 기반 중환자 CDSS 개발 및 실증연구
5,250
7
1
2차 공고 부분 합계
14,963
30
6
3차공고(’21.2)
바이오헬스투자·인프라연계형R&D사업
R&D 투자·인프라 연계형
R&D 투자·인프라 연계형
1,101
6
 1
한의기반융합기술개발
D.N.A 활용 한의약 신기술 개발
한의기반융합기술개발
1,750
7
1
3차 공고 부분 합계
2,851
13
2
4차공고
(’21.3)
공익적의료기술연구사업
희귀질환 극복연구
희귀질환 극복연구
1,200
8
1
저출산 극복연구
저출산 극복연구
2,100
14
1
현장수요 대응형 환자안전 연구개발
현장수요 대응형 환자안전 연구개발
800
4
1
4차 공고 부분 합계
4,100
26
3
5차공고
(’21.4)
의료데이터보호활용기술개발
의료데이터 프라이버시 보존 컴퓨팅 기술개발
의료데이터 프라이버시 보존 컴퓨팅 기술개발(하반기)
200
2
1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기반 연구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기반 연구
200
2
1
디지털헬스케어 효과검증
디지털헬스케어 효과검증
500
2
1
5차 공고 부분 합계
900
6
3

* 국가신약개발사업단(장)(신규 15,051백만원), 범부처재생의기술개발사업단(장)(신규 6,411백만원)은 범부처사업으로 별도 공고 예정
** 첨단의료기술개발(줄기세포재생의료실용화)(신규 9,950백만원)는 공모방식, 지원방식 등 미정
*** 기획평가관리비·사업단 운영비(932백만원)는 개별 공고단위 예산액에 미포함
**** 예상 과제 수는 과제 내용과 사업 환경 변화에 따라 변동 가능성 있음

 

공모 일정
세부사업명
내역사업명
예산액
예상 과제수
RFP수
지정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비임상지원
첨단동물 활용 감염병 의료제품 평가지원
1,000
 1
 1
미정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비임상지원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비임상지원
6,400
 8
 1
지정/미정 공고 부분 합계
7,400
9
2


□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단위 : 백만 원, 개)
공모일정
세부사업
내역사업
공고단위/프로그램
예산액
예상 과제수
RFP수
국립보건연구원 (15,640 백만원)
1차 공고
(‘20.12)
감염병관리
기술개발연구
신·변종 및 국가관리감염병연구
3,357
10
10
One Health 개념의 항생제 내성균 조사 연구
700
1
1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건립 및 운영
필수백신 자체 개발 및 기술확보
2,720
9
9
감염병 위기대응 백신 개발
3,250
8
8
국가보건의료
연구인프라구축
고령화 대응 연구기반 구축
750
(6,593)*
1
1
만성병관리
기술개발연구
만성질환예방관리 인프라구축
225
1
1
뇌질환 연구기반 조성 연구
1,938
6
6
미세먼지기인 질병대응연구
미세먼지 예방중재연구 및 연구 기반 구축
540
1
1
다부처 국가생명연구
자원선진화사업
바이오연구 데이터 활용기반조성(데이터센터)
1,510
(2,510)**
4
4
바이오위해평가 원팀 리노베이션사업
보건의료용 LMO 심사제도 고도화
650
4
4
1차 공고 부분 합계
15,640
45
45
* 항바이러스제 약물평가를 위한 재료비 및 실험실 운영 경비(5,843백만원) 포함
** 국가 바이오 연구 데이터 스테이션 연계를 위한 시스템 고도화 및 하드웨어 확장 경비(1,000백만원) 포함


□ 국립재활원

(단위 : 백만 원, 개)
공모일정
세부사업
내역사업
공고단위/프로그램
예산액
예상 과제수
RFP수
국립재활원 (5,832 백만원)

1차 공고
(‘20.12)
국립재활원
재활연구
개발용역사업
재활연구개발지원용역
950
14
14
재활로봇중개연구용역
780
10
10
지능형재활운동체육중개연구사업
지능형재활운동체육중개연구용역
4,002
(3,406)*
25
25
1차 공고 부분 합계
5,732
49
49

 


공모일정
세부사업
내역사업
공고단위
예산액
예상 과제수
RFP수
2차 공고
(‘21.3)
국립재활원
재활연구
개발용역사업
재활연구개발지원용역
100
2
1
2차 공고 부분 합계
100
2
2
* 일반연구비(260-01)


□ 국립암센터

(단위 : 백만 원, 개)
공모일정
세부사업
내역사업
공고단위/프로그램
예산액
예상 과제수
RFP수
국립암센터 (12,975 백만원)

1차 공고
(‘20.9)
암연구소 및 국가암관리사업본부 주요사업비
공익적암연구사업(기본사업)
8,565
69
7
1차 공고 부분 합계
8,565
69
7

 


공모일정
세부사업
내역사업
공고단위/프로그램
예산액
과제수
(이내)
RFP수
2차 공고
(‘21.1)
암연구소 및 국가암관리사업본부 주요사업비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ICT활용 예방중심의 암 공중보건 연구
2,410
10
1
2차 공고 부분 합계
2,410
10
1

 


공모일정
세부사업
내역사업
공고단위/프로그램
예산액
과제수
(이내)
RFP수
3차 공고
(‘21.5)
암연구소 및 국가암관리사업본부 주요사업비
항암신약개발 성과확산사업
항암신약개발
2,000
2
1
3차 공고 부분 합계
2,000
2
1

□ 사업단 자체 공고

(단위 : 백만 원 , 개)
공모 일정
세부사업명
내역사업명
공고단위
예산액
예상 과제수
RFP수
’20.12
한의약혁신기술개발
혁신형한의중개연구
한의중개개인연구
780
13
1
국가한의임상연구
가이드라인개발
675
7
1
한의의료기술최적화임상연구
1,425
13
1
돌봄로봇 중개연구 및 서비스모델 개발
돌봄로봇 중개연구 및 서비스모델 개발
돌봄부담분석 및 돌봄로봇 사회적 가치 분석
354
1
1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
1,200
4
4
’21.1
치매극복 연구개발사업
원인규명 및 발병기전 연구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1,026
7
2
예측 및 진단기술 개발
756
3
3
예방 및 치료기술 개발
1,278
5
2
범부처 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
시장 친화형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제품 개발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464
2
2
4차 산업혁명 및 미래 의료환경 선도
764
5
3
의료공공복지 구현 및 사회문제 해결
313
3
3
의료기기 사업화 역량강화
352
4
1
감염병방역기술개발
방역장비 기술개발
감염병 방역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600
3
1
감염병예방·치료기술개발사업
백신 자급화 기술개발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1,500
2
1
’21.2
국민건강스마트관리연구개발사업
인구집단별 건강관리서비스 개발
인구집단별 건강관리서비스 개발 신규지원 대상과제
359
1
1
359
1
1
359
1
1
359
1
1 
일차의료 기반 만성질환관리 서비스 개발
일차의료 기반 만성질환관리 서비스 개발
359
1
1
’21.4
환자중심의료기술최적화연구
의료기술 비교평가 연구
의료기술 비교평가 연구 신규지원 대상과제
4,800
20
20 
의료기술 근거생성연구
의료기술 근거생성연구 신규지원 대상과제
2,250
10
10
사업단 공고 부분 합계
20,332
107
61
* 국가신약개발사업, 범부처재생의료개발사업은 사업단 선정 후 사업단 자체 공고 예정


붙임3

제4차 천연물신약 연구개발 촉진계획(’20~’24) 주요 내용


□ 추진개요

ㅇ「천연물신약*연구개발촉진법」에 의거, 제3차(`15~`19) 천연물신약 연구개발 촉진계획이 완료됨에 따라 범부처 차원의 제4차(`20~`24) 촉진계획 수립
* 천연물신약이란, 동식물 등 생물과 생물의 세포 또는 조직배양 산물 등 생물을 기원으로 하는 물질로 개발되어 조성성분, 효능 등이 새로운 의약품 (법 제2조)

□ 천연물의약품 국내외 동향

ㅇ (국외) 시장점유율은 전체 의약품 시장의 2.3% 수준이나, 향후 성장률은 평균 7.9%로 일반의약품 성장률(4~7%)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ㅇ (국내) 천연물신약 연구개발이 위축된 상태*이지만, 고령화 및 만성질환 증가로 부작용이 비교적 적은 천연물신약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천연물신약 파이프라인 수 `12년 55개(23.1%) → `18년 35개(10.4%)

□ 제3차 천연물신약 촉진계획 성과 (`15-`19 5년간)

구 분
주요 지표
목표
성과
비고
과학적
성과
논문 성과
세계 4위
(300건)
세계 4위
(612건)
- 기초٠원료관리 및 생산공정 연구 위주
특허 성과
세계 4위
(4,000건)
세계 4위
(3,793건)
- 기초٠원료관리 및 생산공정 연구 활발,- 중개٠비임상٠임상 연구 미흡
글로벌진출
성과
해외 임상 진입 건수
신규 5건
신규 3건
- 파킨슨병 미국 임상2상 완료 (동아에스티)
- 그 외 유럽, 미국 각 1건씩 임상 2상 진행 중
해외 기술이전 건수
신규 4건
신규 2건
- 총 1억 8500만 달러 규모 (동아에스티)
글로벌
천연물신약
1건
-
-
국내사업화
성과
천연물신약 개발 건수
신규 7
신규 0건
레일라정, 유토마외용액 허가(`12) 이후 신규 신약 부재
생산액
100억원이상
신규 2
(누적 6품목)
신규 1
(누적 5품목)
타 분야 대비 높은 생산성(천연물신약 8개 중 6개, 그 외 국산 신약은 30개 중 6개)
인프라
성과
생산인프라
3개 준공,
1개 준공 예정
- LED 활용 식물원료 대량생산시스템 (익산, `15)
- 글로벌 천연물 원료제조거점시설 (제천, `17)
- 약용작물 종자보급센터 (제천, `18)
- 국제규격 천연물의약품 원료 대량생산시설 (화순, `21 예정)

□ 제3차 천연물신약 촉진계획 한계 및 시사점

ㅇ (후보물질 확보) 각 부처별 생물자원 발굴·확보는 많이 되었으나, 생명자원 DB가 흩어져 관리되어 연구자가 관련 정보를 활용하기 어려운 실정


➡ 구축된 천연물 생명자원을 기업 및 연구자가 원스탑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DB를 모으고, 쉽게 분양받을 수 있도록 하는 중개서비스 필요


ㅇ (기초٠임상) 허가٠약가제도 변경*에 따른 국내 천연물신약 연구개발 위축

* 「의약품의 품목허가 신고٠심사규정」(식약처 고시)에서 천연물신약 용어 삭제, 독성자료제출 일부면제제도 폐지 등 허가 절차 강화(`16) 및 건강보험 약가 우대제도 폐지(`15)

- 천연물자원 인프라, 정보구축에 대한 투자에 비해 이를 실용화 성과로 연계할 수 있는 중개٠비임상٠임상연구에 대한 연구 부족

* 천연물신약 파이프라인 중 중개연구 비중 : (‘12) 32.7% → (’15) 32.7%→ (’18) 28.6%

- 화학물 신약과 달리 복합성분을 가진 천연물의약품의 특성 상 연구개발 단계에서 약한고리인 다중성분 다중표적 규명연구 고도화 필요


➡ 글로벌 수준의 안전성٠유효성 검증이 요구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산٠학٠연과의 지속적 소통 필요
➡ 중개·임상연구 및 다중성분 규명기술 R&D 지원 확대 필요


ㅇ (글로벌 진출) 미국, 유럽 둥 선진국 규제 당국은 원료생약관리, 품질관리, 제조 관리 등 엄격한 CMC*항목 충족 요구

* Chemistry Manufacturing Control: 원료약물 특성, 완제의약품 공정방법, 품질관리 방법 등 검증된 규격으로 의약품 생산 능력을 입증하는 절차

-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의약품 공정방법 및 국가별 인허가 제도 차이 고려한 컨설팅 등 전략적 지원 부족


➡ 해외 규제당국 심사 통과를 위한 전략적 컨설팅 및 원료물질 특성에 따른 위험성 평가 기술개발, 예시모델 등 지원 필요


□ 제4차 천연물신약 촉진계획 중장기 전략 및 중점과제

비전

천연물신약 연구개발 기반 조성 및 산업화 촉진으로 국민건강의 증진과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

 

목표

글로벌 수준의 안전성٠유효성이 검증된 천연물신약 개발 촉진
◾ 글로벌 천연물신약 1건
◾ 해외 기술이전 3건
◾ 해외 임상진입 3건
◾ 국내 임상진입 5건
◾ 국내 파이프라인 점유율 12% 이상

 

추진전략


전략 1

전략 2

전략 3
수요자 맞춤 천연물자원 활용 촉진

천연물신약 개발단계의 약한 고리 집중지원

천연물신약
사업화 역량 강화

 

중점과제


1-1

2-1

3-1
천연물 클러스터를 통한 연구자-산업체 협력 생태계 조성
다중성분-다중표적 집중지원
천연물신약 글로벌 사업화 지원

 

 

1-2

2-2

3-2
천연물신약 소재 및 자원 지속 개발
천연물신약 임상연구 활성화
전략적 네트워킹 지원


□ 제4차 천연물신약 촉진계획 추진전략 및 중점 과제

ㅇ (후보물질 발굴) 수요자 맞춤 천연물자원 활용 촉진

- 범부처 천연물 통합 DB를 구축하여 천연물 클러스터로 육성, 각 부처(해수부, 산림청 등) 소재자원은행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 (과기부, 신규)

- 소재 중개 서비스를 통해 연구 자원의 상업적 활용 지원 (과기부, 신규)

*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 사업(천연물 클러스터) : ‘20~’24, 241억원

- 해양바이오뱅크(해수부), 천연물지도(산림청), 야생동물천연물은행(환경부), 약용작물보급센터(농진청) 등 부처별 자원 지속개발·고도화 (각부처, 계속)

ㅇ (기초٠임상연구) 천연물신약 개발단계의 약한 고리 집중지원

- 천연물 소재의 다중성분-다중표적 작용원리를 가상 인체 모델, 바이오 이미징 등을 기반으로 규명하여 천연물신약의 안전성 검증 지원(과기부, 계속)
* 전통천연물기반 유전자 동의보감사업(3단계) : `20~`22년, 256억원

- 천연물의약품 특화 중개연구 및 임상연구 추진 (복지부 등, 신규)
* 국가신약개발사업(`21~`30, 2조8043억) 및 범부처 중개연구사업에 천연물의약품 과제 반영

ㅇ (사업화 및 글로벌 진출) 적극적 소통을 통한 사업화 역량 강화

- 식약처 등 관련 정부 부처 및 산·학·연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천연물신약 연구개발 협의체’ 주기적 운영 (복지부 등, 21년~ 신규)

- 임상시험 승인을 위한 CMC 자료준비, 의약품 설계기반품질고도화(QbD)* 지원 (복지부 등, 신규)

* 오송·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과 협의하여 국가신약개발사업 중 R&D 사업화 지원(`22년~`24년 34억)에 반영

- 해외정보 종합 제공 및 맞춤 컨설팅 지원 (복지부 등, 강화)
* 제약산업정보포털, 글로벌 컨설팅 지원, 해외 제약전문가 초빙 및 활용(`20~)

글로벌 수준의 안전성٠유효성이 검증된 천연물신약 개발 촉진하여 ‘24년까지 국내 임상진입 5건, 해외 임상진입 3건,
해외 기술이전 3건, 글로벌 천연물 신약 1건 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