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올해 말까지 미래원자력 전문기술인력 양성방안 수립-특성화대학(KAIST․UNIST) 총장, 원자력학과장 등과 간담회 개최
원자력연구개발과
과기정통부, 올해 말까지 미래원자력 전문기술인력 양성방안 수립한다
- 특성화대학(KAIST․UNIST) 총장, 원자력학과장 등과 간담회 개최 -
- 미래원자력 전문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의 원자력교육 발전방안 논의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원자력 분야의 종합적인 혁신역량을 확보하고, 미래원자력 인력수요에 대비하는 ‘원자력 전문기술인력 양성방안’을 올해 말까지 마련한다고 밝혔다.
ㅇ 과기정통부는 원자력기술의 경제적․사회적 활용을 확대하는 미래원자력기술 발전전략(‘17.12월)에 따라, 안전․해체, 폐기물 관리 등 미래원자력기술 인력양성 추진계획(‘18.7월)을 마련ㆍ시행하고 있으며,
ㅇ 미래원자력기술 인력수요에 따라 미래원자력기술 R&D 확대, 원자력교육 시설․장비 구축 지원강화, 대학의 원자력 교육과정 개편 지원 및 우수인력 유입․배출 관리체계 강화 등을 포함하는 ‘미래원자력 전문기술인력 양성방안’을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며,
ㅇ 이를 위해, 미래원자력기술 분야별 인력수급 전망 분석, 다양한 의견수렴을 위한 연구․교육 현장과의 간담회 개최 등의 ‘미래원자력 전문기술인력 양성방안’ 마련을 위한 현장과의 소통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미래원자력 인력수급 전망 분석 정책연구(‘18.9~11월), 연구․교육현장 의견수렴(’18.10~11월), 원자력교육 시설․장비 인프라 확대 신규사업 기획(’19.1월~) 등
□ 한편, ‘미래원자력 전문기술인력 양성방안’ 마련의 일환으로 9월 7일 오후 카이스트에서 개최된 특성화대학(KAIST․UNIST) 총장․원자력학과장과의 간담회에서는
< 간담회 개최 개요 >
•일시/장소 : ‘18. 9. 7(금) 14.30~16.00 /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참석자 : 과기정통부 제1차관, KAIST․UNIST 총장, 원자력학과장 등 8명
•논의사항 : 특성화대학의 원자력교육 발전방안 및 애로사항 등
ㅇ 특성화대학의 원자력교육 현황과, 최근의 원자력전공 신규인력의 감소에 따른 애로사항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였으며,
ㅇ 국내 원자력 전문인력 수급현황과 미래 인력수요 전망, 특성화대학 원자력학과의 우수인력 확보를 위한 다양한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간담회에 참석한 이진규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 원자력이 지난 50여 년간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던 것은 인력양성을 첫째 목표로 두고 지원해 온 결과”임을 강조하면서,
ㅇ 미래원자력기술 발전전략(‘17.12월)에 따라 국내 원자력기술을 보다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 종합적인 기술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특성화대학이 미래원자력기술 R&D․인력양성을 선도해 나가 줄 것”을 당부하고 이를 위한 과기정통부의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참고
미래원자력 전문기술인력 양성방안 간담회 개최계획 (안)
□ 개최배경
ㅇ 원자력 우수연구 인력을 유입하고, 미래원자력기술 핵심역량 유지․강화를 위해 “특성화대학 원자력학과의 역할” 강화가 필요
* 미래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원자력 안전, 융복합, 핵융합 등 미래원자력기술 수요에 대응하는 R&D․인력양성 역할의 강화
□ 간담회 계획(안)
ㅇ 일시/장소 : ‘18.9.7.(금) 16:30~18:00,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회의실(N7 2415호실)
ㅇ 참 석 자
- 과기정통부(2명) : 차관, 원자력연구개발과장
- 특성화대학(6명) : KAIST 및 UNIST 총장, 부총장․기획처장(KAIST), 원자력학과장
ㅇ 논의사항 : 원자력 신규 우수연구 인력을 유입하고, 핵심역량 유지․강화를 위한「미래원자력 전문기술인력 양성방안」
□ 개최일정(안)
시 간
논의내용
비고
16:25~16:30(05‘)
tea time
교수진
16:30~16:40(10‘)
인사말씀
차관, 총장(2)
16:40~16:55(15‘)
원자력교육 현황 및 애로사항 발표
KAISTㆍUNIST
16:55~17:55(60‘)
주요이슈 토론
참석자
17:55~18:00(05‘)
마무리 말씀
차관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한-인도네시아 산업협력 포럼 참석 (0) | 2018.09.10 |
---|---|
사물인터넷(IoT), 생각을 넘어 생활이 되다- "2018 사물인터넷 진흥주간(IoT Week Korea)" 9월 10일 개막 (0) | 2018.09.10 |
국회·중앙정부·지자체·공공기관 '스마트시티 실증도시 성공' 위한 첫걸음 내딛어-혁신성장 8대 핵심 선도사업 중 하나인 스마트시티 사업화 모델 개발 (0) | 2018.09.10 |
과기정통부·행안부·방통위 공동으로 ISMS·PIMS 통합 추진-‘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등에 관한 고시’ 전부개정안 행정예고 (0) | 2018.09.10 |
한국인 표준뇌지도를 활용한 치매예측기술 의료기기 허가 획득 (0) | 2018.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