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부처 합동 「금품요구악성프로그램(랜섬웨어) 대응 강화방안」, 기반시설, 중소기업 보안 강화 추진
작성일 2021-08-05 부서 정보보호기획과
금품 요구 악성프로그램(랜섬웨어) 대응 역량 결집, 안전한 디지털전환과 뉴딜지원
- 관계부처 합동 「금품요구악성프로그램(랜섬웨어) 대응 강화방안」, 기반시설, 중소기업 보안 강화 추진 -
<국가중요시설-기업-국민 수요자별 선제적 ‘예방’ 지원>
▶국가중요시설 : 기반시설 지정 확대 및 정부출연연구원 등 보안 강화,‘소프트웨어개발보안 중심지’ 구축 등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제고 등
▶중소기업 지원확대 : ‘데이터금고’ 보급으로 중소기업 복사본(백업) 지원, ‘금품 요구 악성프로그램 대응 3종 묶음(패키지)’ 지원 등
▶일반국민 : 컴퓨터(PC) 원격점검 ‘내 컴퓨터 돌보미 서비스’ 지원 등
<정보공유-피해지원-수사 등 사고대응 전주기 지원>
▶정보공유 : 산업분야 간, 국가 간 금품요구악성프로그램 정보공유 활성화
▶피해지원‧수사강화 : ‘전국단위 피해지원 체계’, ‘전담수사체계’ 구축
<진화하는 금품요구악성프로그램에 대한 핵심 대응 역량 제고>
▶핵심기술력 확보 : 해킹조직 근원지, 가상자산흐름 추적 등 핵심기술력 확보
▶생태계 조성 : ‘(가칭)사이버보안기본법’ 제정, ‘금품요구악성프로그램 대응협의체’ 확대 등
최근 국내‧외에서 해킹으로 피해자의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이를 풀어주는 대가로 돈을 요구하는 랜섬웨어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피해사례) △(미국) 송유관회사, 육가공업체, 증기선 관리국, 법무전산시스템 등 △(국내) 부품 제조기업, 유통 기업, 의료기관, 운송 업체 등
▸국내 기업이 경험한 침해사고 중 약 60%가 랜섬웨어(’20년 정보보호실태조사)이며, ’21년 7월까지 랜섬웨어 피해신고 97건 중 79건이 중소기업(약 81%)
최근의 랜섬웨어 공격은 프로그래머가 랜섬웨어를 제작하여 범죄조직에 공급하고 수익을 공유하는 ‘서비스형 랜섬웨어(Ransomware as a Service)’가 활성화됨에 따라 범죄형태가 분업화‧조직화되고 있어 체계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향후 사회적‧경제적으로 큰 피해가 예상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와 관계부처는 최근 랜섬웨어 공격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24시간 랜섬웨어 대응지원반’을 운영(5월~)하고,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긴급점검(6~7월)을 실시한바 있다. 또한 국가사이버안보정책조정위원회(7.16) 등을 통해 국가 중요시설 관리 강화, 중소기업 지원 등 향후 필요한 대책을 논의하고,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 간담회(6.11), 정보보호 산학연 전문가 간담회(7.7), 랜섬웨어 대응 협의체(7.8) 등을 통해 산업계·학계·연구계 전문가들의 의견도 수렴했다.
과기정통부는 그 간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랜섬웨어 대응 강화방안’을 수립하고, 8.5(목) 제42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경제중대본, 경제부총리 주재)에서 발표하였다.
‘랜섬웨어 대응 강화방안’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국가중요시설-기업-국민 수요자별 선제적‘예방’지원
<① 튼튼한 국가중요시설 관리 체계 구축>
미국 송유관 회사의 랜섬웨어 피해로 미국 동부지역에 6일간 가스 공급이 안 된 사례처럼, 대형 인프라에 사고가 발생하면 사회 전반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다. 따라서 기반시설 등 국가 중요시설에 대한 튼튼한 관리체계 구축은 필수적이다.
정부는 정보보호 대책 수립과 이행 의무가 주어지는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이하 ‘기반시설’)에 정유사(공정제어시스템), 자율주행 관제시스템 등을 추가하는 것을 검토하는 등 기반시설 확대를 위한 절차를 추진한다. 기반시설 보호대책에는 랜섬웨어 예방을 위한 ‘백업시스템 구축’, ‘업무지속계획’ 등을 포함하도록 하고, 기반시설에 대한 긴급점검과 모의훈련을 확대한다. 정부가 기반시설에 대한 현장점검과 취약점 개선을 요구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도 추진한다.
기반시설의 공급망 보안을 위해 기반시설에 설치된 SW‧시스템의 개발사 등에 대한 보안 점검체계를 구축하고, ‘SW 개발보안 허브’(판교)를 통해 SW‧솔루션의 설계부터 유통까지 개발 전주기에 대한 보안강화를 지원한다.
연구기관의 사이버보안 제고를 위해서 정부출연연구원과 4대 과학기술원에 연구‧개발용 서버를 상시 점검‧분석할 수 있는 자가진단시스템을 적용하고, 모의 침투훈련을 강화하는 등 강화된 보안대책을 수립‧추진한다.
<② 중소기업 보안역량 지원 강화>
중소기업의 경우 데이터 백업, 보안솔루션 설치 등에 대한 보안인식이 부족하고, 보안체계를 구축할 역량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이에 중소기업에 대한 정보보호 지원 필요성이 지속 제기되어 왔다.
랜섬웨어 사고 시 기업의 업무 중단과 데이터 유실을 예방하기 위해데이터 백업(이중화)은 필수적이다. 과기정통부는 그간 민간에서 요구가 높았던 데이터 백업을 지원하기 위해 중소기업에 ‘데이터금고’를 보급할 계획이다. ‘데이터금고’를 통해 ‘데이터 백업’뿐만 아니라 ‘데이터 암호화’, ‘데이터 복구’ 까지 체계적으로 지원된다.
보안체계 구축 여력이 부족한 영세‧중소기업 대상으로 보안 솔루션 지원도 강화할 예정이며, 보안솔루션은 ①메일보안SW, ②백신, ③탐지‧차단SW 등 ‘랜섬웨어 대응 3종 패키지’ 형태로 지원된다. 이번 정부지원과 별도로 민간 보안업계(11개)에서도 영세기업 대상으로 무료로 보안솔루션을 지원하는데 동참하기로 했다.(’21년 3천여개社)
아울러, 18~49세 대상으로 본격화되는 ‘코로나 백신 접종’의 안전한 진행을 위해, 접종의원을 대상으로 안티 랜섬웨어 SW를 무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③ 대국민 랜섬웨어 면역력 향상>
코로나 이후 원격교육‧원격근무 등으로 비대면 환경이 활성화되면서 일반국민들에 대한 랜섬웨어 위협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내 PC 돌보미 서비스(’21년~)’를 통해 국민들이 사용하는 PC와 IoT 기기가 랜섬웨어에 취약한지 여부를 원격으로 점검하고 개선까지 지원한다. 또한, ‘최신 보안 패치 적용’, ‘중요한 자료 정기적 백업’ 등 국민들의 랜섬웨어 예방을 위한 수칙을 온‧오프라인을 통해 지속 홍보할 계획이다.
2. 정보공유-피해지원-수사 등 사고대응 全주기 지원
랜섬웨어 피해 최소화를 위해서는 랜섬웨어가 탐지되거나 해킹사고 피해가 발생 시에 정보공유-피해지원-범죄수사 등 사고대응 전주기에 걸친 체계적 대응이 필요하다.
정부는 민간(C-TAS)과 공공(NCTI)의 사이버위협 정보공유시스템과 의료‧금융 등 분야별 정보공유분석센터(ISAC)를 유기적으로 연동(’22년~)하고, 제조·유통 등 다양한 분야 기업들의 사이버위협 정보공유 시스템 참여도 확대한다. 이와 함께 정부는 웹사이트(2만 여개)에서 탐지한 위협정보와 국외에서 수집한 위협 정보를 민간과 공유해나갈 계획이며, 주요국의 인터넷 보안기관(CERT), 사이버보안 협의체(‘한미 사이버워킹그룹’ 등)를 통해 국가 간 랜섬웨어 정보공유도 추진한다.
정부는 지역 기업의 경우 피해가 발생하여도 신속한 지원을 받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정보보호센터(10개)를 활용해 ‘전국단위 피해지원 체계’를 구축한다. 전국 어느 지역에서 랜섬웨어 피해가 발생하여도 인력‧장비를 신속하게 현장에 파견하여 피해기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피해자의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해킹조직 모니터링과 수사도 강화한다. 다크웹 모니터링으로 해킹조직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다크웹 상에 노출된 피해자의 개인정보 등은 관계부처와 신속히 공유하여 피해자의 2차 피해 방지를 지원한다. 경찰청‧시도경찰청의 사이버테러수사대(팀) 내에는 랜섬웨어 전담 수사체계를 구축하여, 랜섬웨어 공격에 엄정 대응한다.
3. 진화하는 랜섬웨어에 대한 핵심 대응 역량 제고
끊임없이 진화하는 랜섬웨어에 지속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핵심 기술력 확보와 체계적인 사이버보안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
정부는 다양한 랜섬웨어를 보다 빠르게 탐지‧차단할 수 있는 기술과 복구 기술(현재는 극히 일부 복구도구만 존재) 개발에 투자를 확대하고, 해킹조직 근원지 및 가상자산 흐름 추적 기술 개발을 통해 랜섬웨어 범죄수사 역량도 강화한다.
정부는 공공‧민간 분야별로 규정된 사이버보안 법제도를 체계화하는 ‘(가칭) 사이버보안기본법(이하 기본법)’ 제정도 추진한다. 기본법에는 ‘기본계획 수립’, ‘정보공유 등 민‧관 협력체계 강화’,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관리 강화’ 등 사회 전 분야로 확산된 ‘사이버보안 영역’을 체계적으로 관리‧운영 할 수 있는 방안들을 담을 계획이다.
다양한 랜섬웨어 대응 역량 결집을 위해, 현재 수도권 보안기업 위주로 운영하고 있는 ‘랜섬웨어 대응 협의체’에 연구기관, 지자체, 지역중소기업 등의 참여 확대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 임혜숙 장관은 “코로나 이후 디지털 전환에 대비하여, ‘디지털뉴딜’ 정책을 추진하는 등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를 위한 많은 노력이 있었고, 그 결과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정보보호지수 순위 향상(’19년 15위 → ’21년 4위)으로 이어지기도 했다”고 밝히면서,
“사이버보안은 끊임없는 창과 방패의 레이스로 단 한순간도 주의를 늦춰서는 안 되며, 한번의 랜섬웨어 공격이 사회전반에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만큼, 「랜섬웨어 대응 강화방안」을 차질 없이 이행하여 국민‧기업들이 안심할 수 있는 디지털 환경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별첨] 랜섬웨어 대응 강화방안
참고
「랜섬웨어 대응 강화방안」인포그래픽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21-42-5
(의결, 공개)"
랜섬웨어 대응 강화방안
"2021. 8. 5.
관 계 부 처 합 동"
랜섬웨어 대응 강화방안(요약)
Ⅰ 추진 배경 및 현황
"□ 최근 국내·외에서 해킹으로 피해자의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이를 풀어주는 대가로 돈을 요구하는 랜섬웨어(Ransomware) 피해 증가
o 미국에서 랜섬웨어 공격은 송유관 육가공업체 등 기반시설과 국민 생활에 밀접한 분야가 목표가 되어 국가적 혼란 야기
* 송유관회사(5.7) → 최대 육가공업체(5.30) → 뉴욕시 법무전산시스템(6.7) 등
o 우리나라도 피해가 증가 중이며, 보안 투자여력이 부족한 중소 기업을 중심(‘21.7월까지 81%)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피해 발생
*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5.2) → 배달대행 기업(5.15) → 의료기관(5.22) 등"
"□ 랜섬웨어 공격은 ‘서비스형 랜섬웨어*’ 활성화로 범죄형태가 분업화 조직화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취약점 탐색(APT) 등 갈수록 지능화
* 별도의 프로그래밍 지식 없이도 비용을 지급하면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랜섬웨어
□ 그간 우리나라는 디지털 전환에 대비하여, ‘디지털 뉴딜’, ‘K-사이버 방역’ 등 추진으로 사이버보안 경쟁력을 개선*하였지만,
*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정보보호지수 순위 상승 (’19년 15위 → ’21년 4위)
o 랜섬웨어 공격의 영향 범위 확대 등에 대비, 대응을 지속 강화하여
개인 기업의 디지털 전환과 국가적 안전을 뒷받침할 필요"
"√ 랜섬웨어는 복구가 어렵기 때문에 백업 등 선제적 예방이 중요
√ 랜섬웨어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발생하기 때문에, 국가 기반시설 부터 중소기업‧개인까지 맞춤형 대응 지원체계 구축 필요
√ 진화하는 랜섬웨어에 대응하여 지속적인 기술‧기반 구축 등 핵심 대응역량 제고 필요"
Ⅱ 목표 및 전략
Ⅲ 주요 추진 내용
(전략1) 국가중요시설 – 기업 – 국민 수요자별 선제적 예방
"
o ( ) 정보통신기반시설의 범위를 확대하고, 예방체계 강화"
튼튼한 국가중요시설 관리 체계 구축
기반 시설
"- 정유사(공정제어시스템) 자율주행 관제시스템 등 새로운 중요시설에
대한 기반시설 확대 지정을 검토(’21~22년)
- 기반시설의 보호대책에 ➀백업시스템 구축, ➁위기발생시 복구방안,
➂업무지속계획(BCP) 포함*(’22년) * 참고지침 마련·배포 → 보호대책 반영
- 망 분리가 어려워 인터넷과 연결 사용 중인 공공분야 정보시스템의 외부 접점에 설치 운영 중인 보안장비 DMZ* 구간 현장 점검 등 강화
* Demilitarized Zone : 외부에 서비스 제공 시, 내부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내부망과 외부망 사이에서 접근 제한을 수행하는 영역
- 기반시설 긴급점검*과 모의훈련** 추진(‘21년 민간분야 9개)
* 민간 147개, 공공 277개(’21.7월 현재) ** 화이트해커 활용 모의 침투 등
- 랜섬웨어 등 최신 보안위협 관련 현장 점검 조치 근거* 마련(’21~’22년)
* 정보통신기반보호법 개정 추진"
o ( ) 정밀 점검 실시 및 긴급 대응반 운영
軍, 연구기관 등
"- 국방정보체계, 軍 기반시설 제어시스템에 대한 취약점 점검을 실시
하고, 사이버 특별훈련, 장병 보안교육 등 강화
- 출연硏(원자력硏 등 26개), 과기원(4개)에 연구용서버 자가진단시스템*을 구축하고, 모의훈련 취약점개선 등 강화된 보안대책 수립 적용(’21년~)
* 출연연구원, 4대 과기원 연구 개발용 서버에 대한 상시 원격 점검 분석 수행"
o ( ) 기반시설에 구축된 SW 시스템의
공급망 및 공공 이메일 보안 강화
"공급망(SW업체 등)에 대한 보안 점검 체계 구축(`22년~)
- SW 개발 단계부터 보안강화를 위해 ‘SW 개발보안 허브’ 구축(판교, ’21.7월), SW 솔루션 설계-구현-유통 단계별 보안강화 지원(’21년~)
- 주 감염 경로인 이메일의 보안 강화 기술을 공공분야 적용 확대 검토(’21년~)"
중소기업 보안역량 지원 강화
o ( ) 중소기업들의 업무중단, 데이터 유실 예방 강화를
중소기업 지원
"위해 데이터금고* 구축을 통한 백업 지원(’22년~)
* 중소기업의 데이터 이중화 지원을 위해 클라우드(또는 하드웨어) 기반 백업 지원"
"- 민 관 합동으로 메일보안SW, 백신, 탐지 차단SW ‘랜섬웨어 대응 3종 패키지*’ 지원(’21년 3천여개) 등 중소기업 지원 강화
* ①보안제품, ②클라우드 기반 보안, ③원격 서버점검 등의 형태로 지원하며, 정부 지원과 별도로 민간 보안업계(11개)에서도 영세기업 대상 무료 보안솔루션 지원 동참
- 실시간 보안관제 등을 통한 ‘기술유출 방지’도 지원(’21년~)
- ‘코로나백신’ 접종 의료기관에 안티-랜섬웨어 SW 지원(’21년~)"
o ( ) ISMS 기업의 심사시 예방활동 평가를 강화하고,
예방활동 강화
"정보보호공시제(약 1천개, ‘21.12월 시행) 공시내용에 업무지속계획 포함
"
대국민 랜섬웨어 면역력 향상
o ( ) PC IoT 기기의 랜섬웨어 취약 여부를 원격으로
국민 보안성 향상
진단 개선하는 ‘내 PC 돌보미 서비스’ 지원(’21년~)
o ( ) ‘예방 플레이북’ 보급 등 전방위 예방 캠페인 전개(’21년~)
인식제고
(전략2) 정보공유 – 피해지원 – 수사 등 사고대응 全주기 지원
"
o ( ) 민간(C-TAS), 공공(NCTI) 사이버위협 정보공유 시스템을"
정보 공유 협력 채널 강화
민·관 협력
"상호 유기적으로 연동할 수 있는 체계 구축(’22년~)
※ 의료, 금융 등 분야별 정보공유분석센터(민간 분야)와 C-TAS 간에도 체계 연동 추진
- C-TAS에 가상자산거래소, 유통 제조 분야 기업 등의 참여 확대
- 웹사이트(2만여개) 탐지 결과, 국외 해킹정보 등 민간과 신속 공유(’21년~)"
"o (
(‘한미 사이버" ") 주요국 인터넷 보안기관(CERT), 사이버보안 협의체
워킹그룹’ 등)를 통해 랜섬웨어 정보를 신속 입수 분석"
국제 협력
"
o ( ) 네트워크 트래픽, 행위·패턴 분석 등 AI 기술을 활용해"
확산 방지 및 신속한 피해지원
확산 방지
"실시간 악성도메인 탐지·차단 실시(’21년 말)
- 백신 개발사와 협력하여 랜섬웨어 백신을 신속 배포
- ‘랜섬웨어 대응사례 수집’과 피해기업에 대응방법 공유 강화(’21년~)"
o ( ) 지역정보보호 지원체계*와 연계, 피해 시 인력
전국단위 피해지원
"장비를 현장 파견하여 피해극복을 지원하고, 적극 수사 의뢰(’21년~)
* 지역정보보호센터(전국 10개) 및 지역보안전문업체 보안전문가 활용"
"
o ( ) 다크웹 모니터링으로 해킹조직 감시를 강화하고,"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사이버공격 수사 강화
모니터링 강화
노출된 개인정보 등은 관계부처와 공유 → 피해자의 2차 피해 방지 지원
o ( ) 랜섬웨어 전담 수사체계 구축, 엄정 대응 강화(’21년~)
수사 강화
"- 민간(☎118), 공공(☎111) 부문별 신고 대응을 지원, 수사기관과 정보공유
- 인터폴 회원국들과 해킹조직 분석, 범죄자 공동검거를 강화하고,
수사공조 확대를 위해 유로폴과도 실무약정 체결 추진(’21년~)"
(전략3) 진화하는 랜섬웨어에 대한 핵심 대응 역량 제고
"
o ( ) 랜섬웨어 탐지 차단 기술을 개발(’21년~)하고,"
랜섬웨어 등 사이버공격 대응 핵심기술력 확보
탐지 차단 복구
랜섬웨어 복구기술을 개발하여 산업계 배포(’22년~)
o ( ) 해킹조직의 공격 근원지 추적 기술(’22년~), 가상자산
근원지 추적
흐름 추적 기술(’21년~) 등 개발 추진
o ( ) 동형암호* 등 암호기술, 공급망 보안 기술,
데이터 네트워크 보안
"5G 네트워크 보안 기술 개발 등 추진(’21년~)
* 랜섬웨어 공격으로 데이터가 탈취되어도 개인정보 등 민감한 데이터의 노출 방지"
"
o ( ) 공공·민간 분야별로 규정된 사이버보안 법제도를 체계화"
사이버보안 생태계 강화 기반 마련
기본법 제정
하고 산업분야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본법 제정 추진(’21~’22년)
o ( ) 다양한 랜섬웨어 대응 역량 결집을
민 관 랜섬웨어 대응협의체 확대
위해, 연구기관·지자체 지역중소기업 등의 참여 확대(‘21년~)
"순 서
Ⅰ. 추진 배경 1
Ⅱ. 랜섬웨어 현황 및 시사점 2
Ⅲ. 목표 및 전략 7
Ⅳ. 주요 추진 과제 8
1. 수요자별 선제적 ‘예방’ 8
2. ‘사고대응’ 全주기 지원 15
3. 핵심 대응 역량 제고 18
Ⅴ. 추진 일정 20"
"□ 최근 국내·외에서 해킹으로 피해자의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이를
풀어주는 대가로 돈을 요구하는 랜섬웨어(Ransomware) 피해 증가"
"o 미국에서 랜섬웨어 공격은 송유관 육가공업체 등 기반시설과 국민
생활에 밀접한 분야가 목표가 되어 국가적 혼란 야기"
"o 우리나라도 피해가 증가(’20년 대비 64% 이상) 중이며, 최근 제조기업, 배달대행 플랫폼, 병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피해 발생
*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5.2) → 배달대행 기업(5.15) → 의료기관(5.22) 등
□ 랜섬웨어 공격은 조직화·지능화되고 있으며 지속 증가할 우려
o 프로그래머가 랜섬웨어를 제작하여 범죄조직에 공급하고 수익을 공유하는 등 범죄형태가 분업화 조직화(서비스형 랜섬웨어)
o 신뢰가 있는 인물의 이메일 등을 활용한 사회공학적 기법, 지속적인 취약점 탐색(APT) 등 해킹 공격은 갈수록 지능화
□ 그간 우리나라는 디지털 전환에 대비하여, ‘디지털 뉴딜’, ‘K-사이버 방역’ 등 추진으로 사이버보안 경쟁력을 개선*하였지만,
*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정보보호지수 순위 상승 (’19년 15위 → ’21년 4위)
o 랜섬웨어 대응 역량을 강화하지 않는 경우 개인 기업의 디지털
전환 저해와 국가적 안전 약화 우려"
➡ 랜섬웨어 공격의 영향·범위 확대 등에 대응해 체계적 예방·대응· 기반강화 등 랜섬웨어 대응 강화 대책을 신속히 수립 추진할 필요
Ⅱ. 랜섬웨어 현황 및 시사점
랜섬웨어 현황
랜섬웨어를 상품화하여 판매, 랜섬웨어 악용이 용이
"□ 서비스형 랜섬웨어*를 제작하여 범죄조직에 공급하고 수익을 공유하는 형태로 범죄 분업화
* Ransomware as a Service(RaaS)
o 가상자산과 익명성이 보장된 다크
웹(Dark Web)으로 금전확보 용이"
"o ‘20년 랜섬웨어 공격 중 64%가 서비스형 랜섬웨어이며, 랜섬웨어 개발자의 수요 증가로 몸값이 2배 이상 증가*
* 랜섬웨어 2020-2021 보고서(Group-IB), 2021.3월"
랜섬웨어 피해는 전 세계적으로 급증
"□ (국내) 서비스형 랜섬웨어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20년은 3배 이상, ‘21년 현재(7월)는 이미 64% 이상 공격 수치 증가
※ 랜섬웨어 신고는 39건(’19) → 127건(’20) → 97건(’21.7월)이지만, 민간 보안업체의 통계(월간 수만건 감염)와 차이 → 신고를 기피하는 경향이 큰 것으로 파악
※ 국내 기업이 경험한 침해사고 중 59.8%가 랜섬웨어(’20년 정보보호실태조사)
o 특히, 보안 투자 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약 81%) 중심으로 피해 발생
* ’21.7월까지 랜섬웨어 신고 97건 중 79건이 중소기업
□ (세계) ’21년 매주 약 950개(1~3월)의 기업이 랜섬웨어 피해, ’20년 같은 기간(1~3월)의 약 470개에 비해 102% 증가
※ (출처) The New Ransomware Threat : Triple Extortion(check point, ’21.5월)"
참고1 최근 국내·외 랜섬웨어 피해사례 분석
"□ 미국 콜로니얼 파이프라인 사건 (’21.5월)
o 미국 최대 송유관 업체인 콜로니얼 파이프라인社가 공격으로 시스템이 마비되어 송유관 가동을 6일간 전면 중단
o 공격조직은 해킹단체인 다크사이드로 추정, 해킹조직에 440만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 지불(FBI 추적을 통해 일부 회수)
□ 미국 육가공업체(JBS SA) 사건 (’21.5월)
o 글로벌 육가공업체인 JBS SA의 미국지사에 대한 공격으로 미국, 호주, 캐나다 등에서 공장 가동 중단
o 미 FBI는 해킹조직인 레빌 소행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해킹조직에 1,100만달러 상당 비트코인 지불
※ 메사추세츠 증기선 관리국(6.2), 뉴욕시 법무전산시스템(6.7) 등도 발생
□ 국내 부품기업 사건 (’21.5월)
o 부품 제조기업의 서버 및 직원 PC의 데이터를 암호화(1차 공격), 임직원 개인정보와 해외사업 관련 데이터 다크웹 유출(2차 공격), 협상기간 동안 DDoS 공격으로 홈페이지 마비(3차 공격)
o 해커와 협상하지 않고 1차 공격에 대한 암호화 복구 작업 완료
□ 국내 배달대행 플랫폼기업 공격 (’21.5월)
o 해커가 배달대행 플랫폼 기업의 서버를 암호화, 전국 3만5천 점포가 서비스 접근이 차단되어 1만5천명 라이더 피해발생
□ 국내 성형외과 사건 (’21.5월)
o 해커가 성형외과 서버에 침입하여 자료를 암호화하고, 유출한 환자들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협박 문자 발송
□ 국내 운송업체 사건 (’21.6월)
o 회사 일부 서버 및 PC가 랜섬웨어에 감염되어 업무 시스템 장애가
발생했으나 내부 백업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구"
참고2 미국 정부, 랜섬웨어 대응조치 현황
"□ 미국 바이든 대통령이 연방정부 기관들의 사이버보안 강화에 초점을 둔 행정명령*을 발표(’21.5.12)
* Executive Order on Improving the Nation’s Cybersecurity
o 사이버보안 정책을 국가 안보 및 경제 안보의 필수 요소이자 최우선 역점 영역으로 인식
o 주요 관계부처에 대해 명령 사항별 이행 시한을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민간과 정보 공유 확대,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강화 등을 요구
행정명령 주요 내용: △ 민간과의 정보 공유 확대, △ 연방정부 사이버보안 현대화, △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강화, △ 사이버안전 검토 위원회 설립,
△ 보안 취약점 및 사고 대응을 위한 연방정부 플레이북 표준화, △ 연방 정부 네트워크의 사이버보안 취약점 및 사고 탐지 강화, △ 연방정부의 사이버
보안 조사 및 개선 역량 강화, △ 국가안보시스템 보안 강화"
"□ 미국 CISA*는 기업 리더들에게 랜섬웨어 대응 강화를 촉구하는 ‘랜섬웨어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사항**’ 전달(‘21.6.3)
* 사이버보안 및 인프라보안국 (Cybersecurity and Infrastructure Security Agency)
△ 사이버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모범사례 제시
△ 데이터, 시스템, 설정을 백업 및 정기테스트하고 오프라인으로 유지
△ 운영체제, 응용프로그램의 업데이트 및 패치를 즉각 적용
△ 특정 시스템 피해시 비즈니스 운영 등 사고 대응계획 수립 및 테스트
△ 3자 평가를 통해 조직 보안팀 및 보안시스템 허점 확인
△ 핵심 비즈니스 운영 네트워크와 인터넷 네트워크 분리 검토 "
"□ 韓·美 정상회담, 랜섬웨어 공동대응을 위한 사이버워킹그룹 설립을 포함하는 등 국제 공조 강조
□ 송유관 시설의 사고신고 의무화(교통안전청 지침, 5.28) 등 제도개선 추진
□ 미국 FBI,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에서 해킹조직에 지불한 비트코인
중 일부(230만 달러 상당) 환수"
랜섬웨어 특징
"□ (감염 원인) 악성코드가 삽입된 홈페이지 방문 또는 이메일 열람, 서버-네트워크 등 시스템 취약점 해킹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감염
< 랜섬웨어 감염경로 >"
구분 홈페이지 방문 이메일·SNS 유포 타깃형(APT) 공격
감염 경로 랜섬웨어가 유포 중인 홈페이지 방문 첨부파일 다운로드·링크 실행시 설치 해커가 서버 침투 및 악성코드 설치
원인 운영체제 등 SW 취약점 존재 이용자 부주의 등 보안인식 부족 기업의 보안관리 수준 취약
"□ (피해 형태) 범죄조직이 이메일·SNS 등을 통해 악성코드를 대량 으로 살포하는 등 무차별적으로 공격
o 서비스형 랜섬웨어*를 통해 해킹에 대한 전문지식 없이도 랜섬웨어 공격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범죄의 문턱도 낮아짐
* 별도의 프로그래밍 지식 없이도 비용을 지급하면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랜섬웨어
o 통신 등 기반시설뿐만 아니라 디지털 전환으로 유통·제조·의료 등
다양한 분야가 공격 대상"
"□ (피해 복구) 사전에 백업된 파일을 활용하거나 공개된 일부 복구
도구*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암호화된 파일의 복구가 어려움
* 국제 랜섬웨어 대응 프로젝트 그룹(No More Ransome) 150종 보유
o 피해자가 금전을 지불해도 파일이 복구되지 않거나, 개인정보가
공개되는 등 등 2차 피해 가능성 상존"
"□ (범죄 대응) 범죄조직이 다국적 기업화되고, 가상자산과 다크웹
(Dark Web)*을 사용하여 범죄 추적에 기술적, 절차적 어려움 발생
* 일반적인 방법으로 접속자 서버를 확인할 수 없어 사이버범죄에 많이 활용되는 웹"
시사점
"◇ 랜섬웨어의 형태와 특징을 고려하여 대응방향 마련 필요
◇ 예방, 대응, 핵심 역량 제고 등 각 단계별 정책 마련"
랜섬웨어 특징 대응 방향 비고
감염 원인 SW 취약점 사전적 점검 및 취약점 조치 예방
보안관리 취약 기업 정보보호 강화 유도 및 지원
보안인식 부족 국민·기업의 보안인식 제고
피해 형태 빠른 확산 속도 악성코드 탐지·차단 체계 구축 및 신속한 피해극복 지원 대응
무차별 공격
다양한 분야 피해 민관 간, 산업분야 간 정보공유
피해 복구 기술적으로 복구 어려움 데이터 백업 인식제고 및 지원 예방
복구기술 개발·지원 기반
2차 피해 우려 범죄 모니터링, 수사 강화 대응
범죄 대응 다국적 기업화 국가 간 공조 강화 대응
추적 어려움 범죄 추적기술 개발 기반
⇓
"√ 랜섬웨어는 복구가 어렵기 때문에 백업 등 선제적 예방이 중요
√ 랜섬웨어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발생하기 때문에, 국가 기반시설 부터 중소기업‧개인까지 맞춤형 대응 지원체계 구축 필요
√ 진화하는 랜섬웨어에 대응하여 지속적인 기술‧기반 구축 등 핵심 대응역량 제고 필요"
목 표
"랜섬웨어에 안심할 수 있는 디지털 환경 구축
- 국민들이 신뢰할 수 있는 랜섬웨어 예방·대응·기반강화 체계 구현 -"
[전략1 : 예방] 국가중요시설 – 기업 - 국민 수요자별 선제적 예방
중요 시설 "·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추가 지정 검토 및 예방 체계 강화
· 軍, 연구기관 등 대상 보안점검 및 공급망 보안 강화"
기업 "· 중소기업 패키지형 보안역량 강화 지원 (데이터금고 등)
· 기업 예방활동 강화(ISMS, 정보보호공시제, CISO 등 연계)"
국민 "· 국민 PC‧IoT 기기 보호‘내 PC 돌보미 서비스’확대
·‘랜섬웨어 예방 플레이북’보급 등 예방 캠페인"
[전략2 : 대응] 정보공유 – 피해지원 – 수사 등 사고대응 全주기 지원
정보 공유 "· 사이버위협정보공유시스템(C-TAS) 참여 확대
· 민‧관, 국제 협력을 통한 정보 공유 강화"
"피해 지원
‧수사" "· 지역정보보호센터 등 활용 전국단위 피해지원
·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사이버공격 수사 강화"
[전략3 : 기반] 진화하는 랜섬웨어에 대한 핵심 대응 역량 제고
기술 개발 "· 랜섬웨어 등 사이버공격 대응 기술 개발 강화(범죄
· 신형 랜섬웨어 복구기술 개발, 산업계 보급" 근원지, 가상자산 추적 등)
기반 강화 "· 기본법 제정을
·「민‧관 랜섬웨어" "통한
대응" 사이버보안 법제도 협의체」확대 체계화
(전략1) 국가중요시설 – 기업 - 국민 수요자별 선제적 예방
튼튼한 국가중요시설 관리 체계 구축
美 송유관‧육가공업체 랜섬웨어 피해 사례처럼, 대형 인프라는 사고 시 사회 전반에 막대한 피해 전파, 지속적인 안전 제고 필요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예방 체계 강화
"o (기반시설 확대) 정유사(공정제어시스템),
새로운 중요시설의 기반시설 확대 지정" "자율주행 관제시스템 등
검토(’21~’22년)"
"o (보호대책 개선) 기반시설관리기관이 마련하는 보호대책에 ➀백업 시스템 구축, ➁위기발생시 복구방안, ➂업무지속계획(BCP*) 포함(’22년)
※ 참고 지침 마련·배포 → 보호대책에 반영 추진
* Business Continuity Plan : 재난 발생시 업무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계획으로, 랜섬웨어 등 사이버공격 예방 대책, 사고시 확산단계별 대응계획 등 반영
o (공공분야 보안) 공공분야 시설 중 망 분리가 어려운 정보시스템*의 외부접점에 운영 중인 보안장비ㆍDMZ** 구간 현장 점검 등 강화
* 공공병원, 연구기관, 일부 지자체 등
** Demilitarized Zone : 외부에 서비스 제공 시, 내부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내부망과 외부망 사이에서 접근 제한을 수행하는 영역
o (긴급점검 확대) 공공 민간 기반시설* 긴급점검을 통해 보호대책의 준수 및 백업 여부, 사고시 신고 복구 준비 상황 등 점검(상시)
※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 민간 147개, 공공 277개 (’21.7월 현재)
o (모의훈련 확대) 통신사, IDC, 금융사 등 핵심 기반시설의 랜섬웨어 대응 강화를 위해 모의 훈련* 추진(’21년 민간분야 9개)
* 화이트해커 활용 기반시설의 홈페이지 이메일 서버 모의 침투 등"
"<화이트해커 활용 모의침투 훈련>
o (기타 제도 개선) 랜섬웨어 등 최신 보안 위협에 대한 예방 강화를 위해 현장 점검과 점검결과에 대한 개선 조치 근거* 마련(’21~’22년)
* 정보통신기반보호법 개정 추진"
➁
軍, 연구기관 등 긴급 대응반 운영을 통한 보안강화
"o (국방 보안) 국방정보체계, 軍 기반시설 제어시스템에 대한 취약점 점검을 실시하고, 사이버 특별훈련, 장병 보안교육 등 강화
※ 백업 관련하여 주요 체크리스트 마련을 통해 준수여부 점검 실시(’21년~)
o (연구기관 보안) 원자력硏 등 출연硏(26개)과 4대 과기원 대상으로, 강화된 사이버 보안대책*을 수립 적용 추진(’21년~)
* 모의 침투훈련, 취약점 점검, 연구용서버 자가진단시스템 구축 등"
➀
공급망 및 공공 이메일 보안 강화
"o (기반시설 공급망) 기반시설에 구축된 SW 시스템의 공급망에 대한 보안 점검 체계 구축(`22년~, 민간분야 기반시설관리기관 대상)
o (SW 개발 보안 지원) SW 개발 단계부터 보안강화를 위해 ‘SW 개발보안 허브’를 구축(판교, ’21.7월)하고,
- SW 솔루션 설계-구현-유통 단계별 보안 강화 지원(’21년~)
o (공공 이메일 보안) 랜섬웨어 감염의 주 경로인 이메일의 보안 강화를
위한 ‘이메일 보안 기술’을 공공분야 적용 확대 검토(’21년~)"
참고3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보호체계
"□ 개 요
o 국가안전보장, 행정, 통신, 금융, 의료 등 국가·사회적으로 중요한 시설을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로 지정·관리(정보통신기반보호법 제8조)
- (현황) 총 228개 관리기관, 424개 시설(민간: 147개, 공공: 277개, ’21.7월)"
구분 합계 과기정통부 행안부 금융위 산업부 복지부 국토부 방통위 기타
민간 147 61 10 54 2 9 2 9 -
공공 277 16 93 7 54 6 16 - 85
"- (지정절차) 기반시설 지정권고(과기정통부·국정원) → 기반시설 선정요구
(관계중앙행정기관) → 지정여부 평가(지정대상 관리기관) → 지정여부 심사·
결정(관계중앙행정기관) → 기반시설 지정심의·의결(정보통신기반보호위원회)"
"□ 기반보호 체계 및 절차
o (보호체계) 종합적인 범정부 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정보통신기반
보호위원회(위원장 : 국무조정실장) 및 민간·공공 실무위원회 설치"
"o (보호절차) 보호계획/대책 수립지침 배포(과기정통부·국정원/부처, ~5월)
→ 취약점 분석·평가(관리기관) → 보호대책 수립(관리기관, ~8월) → 보호
계획 수립(부처, ~10월) → 보호대책 이행점검(과기정통부·국정원) 등"
중소기업 보안역량 지원 강화
우리나라에서 특히 랜섬웨어에 취약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데이터 금고를 통한 백업, 랜섬웨어 대응 3종 패키지 등 지원 강화
중소기업 보안역량 강화 패키지 지원
"o (데이터금고 구축) 중소기업들의 업무중단, 데이터 유실 예방 강화를 위해 데이터금고* 구축을 통한 백업 지원(’22년~)
* 중소기업의 데이터 이중화 지원을 위해 클라우드(또는 하드웨어) 기반 백업 지원
- 실시간 ‘데이터 백업’뿐만 아니라 ‘데이터 암호화’, 랜섬웨어 사고시 ‘데이터 복구’까지 종합 지원
<데이터금고의 개념>
o (랜섬웨어 대응 3종 패키지 지원) 메일보안SW, 백신, 탐지 차단SW 등 ‘랜섬웨어 대응 3종 패키지’ 중소기업 지원 강화(’21년 3천여개)
<랜섬웨어 대응 3종 패키지>
- (클라우드 기반 보안) 보안전문기업이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원격 에서 중소기업에 필요한 보안 기능 전반을 제공*(’21년 670개)
* SECurity as a Service(SECaaS)"
"- (원격 서버점검) 서버 보안 관리에 예산 기술적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 대상 원격 서버점검 서비스 제공(’22년~)
- (맞춤형 컨설팅) 중소기업의 서버·네트워크 등 ICT 인프라 규모, 보안 정책 및 조직 유무 등을 진단하여 맞춤형 보안 개선방안 제공
<맞춤형 정보보호 컨설팅 진행절차>
- (민관 합동 보안제품 도입 지원) 컨설팅 결과 등을 바탕으로, 중소 기업에 필요한 보안제품(SW 솔루션 등) 도입 지원*(’21년~)
* 정부지원 ’21년 600개 + 민간주도형(보안기업 11개 참여) 지원 연간 2천여개
o (기술유출 방지 지원)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4시간 실시간 보안관제 등을 바탕으로 ‘기술유출 방지’ 지원(’21년~)
o (의료기관 지원) ‘코로나 백신’ 접종 민간위탁 의료기관 대상(1기관
당 최대 5개 PC) 안티 랜섬웨어 SW 보급(’21년~)"
➁
기업의 랜섬웨어 예방활동 강화
"o (ISMS 연계) ISMS 인증 기업의 사후 갱신 심사시 랜섬웨어 예방 활동(예방 사고대응 교육, 백업 등 시스템 보안조치 등) 평가 강화(22년~)
o (정보보호공시 연계) 정보보호공시제(대상기업 약 1천여개)에 업무 지속계획(BCP)을 공시내용에 포함 추진(공시 의무화 ‘21.12월 시행)
o (CISO 연계)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 약 2.4만명) 대상 정기 수시
세미나를 통한 최신 랜섬웨어 동향 및 예방 교육 강화(상시)"
참고4 데이터금고 지원 방안
"□ 데이터 금고 구축 필요성
o 랜섬웨어로 인한 업무중단 및 금전적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백업을 통해 데이터 복원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
o 중소기업의 경우 백업 시스템 구축에 대한 비용·인력 부담 존재
※ 18만 여개 기업이 PC·네트워크 시설을 보유(‘20 정보화통계집, NIA)하고 있지만 백업을 실시하는 기업은 47.3%에 불과
□ 주요 지원내용
o (클라우드) 클라우드 기업체*와 협력하여 자체 백업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영세·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백업 서비스 제공
* IDC센터를 보유하고,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백업 복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 보안관제 등 클라우드 사업자의 보안시스템을 통한 안정적 서비스 지원이 가능해 자체 백업 절차를 수행하기 어려운 영세기업에 적합
o (하드웨어) 고용량 백업이 필요한 기업에게 NAS* 등 하드웨어 백업 시스템 도입 지원
* Network-Attached Storage(네트워크 연결 저장소)
- 일정 규모 이상의 PC를 보유하여, 대용량(20TB 이상) 백업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중소기업에 적합
< 클라우드·하드웨어 데이터 백업 >"
대국민 랜섬웨어 면역력 향상
비대면 환경 활성화로 일반국민들에 대한 랜섬웨어 위협도 증가, 국민들의 ICT 기기 보안성 향상 및 랜섬웨어 예방 인식 제고 필요
국민들의 정보통신 기기 보안성 향상 지원
o (원격점검 지원) PC IoT 기기의 랜섬웨어 취약 여부를 원격으로
"진단 개선하는 ‘내 PC 돌보미 서비스*’ 지원(’21년~)
* 필수 보안항목 점검, 랜섬웨어 예방 패치 설치, 안전한 이용수칙 안내 등
< 내 PC 돌보미 서비스 >"
"o (알림 서비스) 언제 어디서든 기기의 취약점 정보를 실시간 알려주는 모바일 전자고지 기반 ‘찾아가는 알림 서비스’ 추진(’22년~)
※ 단순 알림에 그치지 않고, ‘내 PC 돌보미’와 연계하여 사후조치도 지원"
➁
랜섬웨어 예방 인식제고 및 예방수칙 보급
o (플레이북 보급) 국민들의 랜섬웨어 예방을 위한 ‘랜섬웨어 예방
"플레이북(예방 수칙)*’을 지속 업데이트 보급하고(’21년~),
* (주요 내용) △최신 보안 패치 적용, △출처 불명확한 이메일 URL 링크 주의,
△P2P 파일 다운로드 주의, △중요한 자료 정기적 백업 등
- 최신 랜섬웨어 동향을 반영한 정보통신 기기 자가보안 진단도구도 배포하여 보유 기기의 보안수준 유지 지원(상시)
o (예방 캠페인) “랜섬웨어는 감염되면 복구가 어렵기 때문에 예방이 최선”이라는 메시지를 온 오프라인*으로 전방위 홍보(’21년~)
* 공익광고, 대중교통 캠페인(지하철, KTX 등), 전광판, 정부 간행물 등"
(전략2) 정보공유 – 피해지원 – 수사 등 사고대응 全주기 지원
정보공유‧협력 채널 강화
민‧관간(산업분야간), 국가간 랜섬웨어 위협‧탐지 정보 공유를 활성화 하여 국가전체의 랜섬웨어 대응 집단 체력 강화
민 관간 정보공유 협력 채널 활성화
"o (시스템 유기적 연동) 민간(C-TAS), 공공(NCTI) 사이버위협 정보공유
시스템*을 상호 유기적으로 연동할 수 있는 체계 구축(’22년~)
* △Cyber-Threat Analysis and Sharing △National Cyber Threat Intelligence
- 의료, 금융 등의 민간분야 정보공유분석센터(ISAC*)와 C-TAS 간에도 실시간 정보공유가 가능하도록 체계 연동 추진
* Information Sharing & Analysis Center
< 사이버위협 정보공유 시스템의 유기적 연계 >"
"o (C-TAS 참여 확대) 가상자산거래소, 유통 제조 분야 기업 등의 C-TAS 참여를 확대하여, 기업들에 대한 랜섬웨어 정보* 공유 및 대응 지원
* 랜섬웨어 해킹 URL 메일, 복구비용 지불용 가상자산 주소 등
- C-TAS에서 수집된 정보는 대국민 공지, ISMS 인증기업, CISO 협의회,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등에도 신속히 공유 추진
o (웹사이트 심층탐지*) 국민들의 이용이 많은 웹사이트(2만여개)의 랜섬웨어 위협을 탐지하고, 정보를 C-TAS 등에 신속 공유(’21년~)
* 주요 웹사이트의 메인페이지뿐만 아니라 전체페이지를 탐지"
➁
국가간 정보공유 강화
"o (정보공유) 해외 정보기관, 주요국가 인터넷 보안기관(CERT*)간
정보공유를 통해 신종 랜섬웨어 및 다크웹 등 정보 신속 입수 분석
* Computer Emergency Response Team : 인터넷 보안 지원과 관련된 기관"
"- 분석결과는 공공 민간에 신속 공유하고, 백신 개발 배포 지원 추진
o (제도 협력) ‘한미 사이버 워킹그룹*’ 등 사이버보안 협의체를 통해 랜섬웨어 정보, 위협 대응 사례 공유, 수사공조 등 협력 강화 추진(’21년~)
* 한미정상회담(5.21)에서 랜섬웨어 대응 등을 위한 양국의 법집행 국토안보
기관 간 협력 강화에 중점을 둔 ‘사이버 워킹그룹’ 추진에 합의"
확산방지 및 신속한 피해지원
랜섬웨어 공격의 확산 방지를 위해 AI기술 활용 악성도메인 차단, 다중이용시설 취약점 개선, 전국단위 피해지원 체계 구축 등 추진
랜섬웨어 공격의 확산 방지
o (AI 기반 악성도메인 차단) 네트워크 트래픽, 행위·패턴 분석 등
"AI 기술을 활용해 실시간 악성도메인 탐지·차단* 실시(’21년 말)
* DNS 트래픽 수집 → 악성 도메인 특성 기반 모델링 → 악성 도메인·IP 탐지 → 접속 차단
o (다중이용시설 취약점 점검) 가상자산거래소, 비대면 서비스 개발 업체 등 이용자가 많은 서비스 대상 취약점 점검* 지원(’21년 300개)
* 랜섬웨어 사고 원인과 밀접한 시스템 및 업무 운영 환경 등 점검
- 보안취약점 발견 시 기업이 단계적으로 취약점 보완 조치를 강화 하도록 법 제도적 장치 마련(’21년~)
※ 현재는 기업이 보안 취약점을 방치하더라도 개선을 강제할 법적근거 미비"
"o (백신 배포) 수집한 랜섬웨어 정보는 백신 개발사와 협력하여 랜섬 웨어 백신을 신속 개발, C-TAS 등을 통해 배포하여 확산 방지(’21년~)
o (피해시 대응 상담) ‘랜섬웨어 대응사례’를 수집하고, 상담을 통해 피해기업에 대응방법 공유 강화(’21년~)
o (제도 개선) 일반적인 사고라도 확산 가능성이 큰 랜섬웨어 사고는
기관에 원인분석 대책마련 권고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 추진(’22년~)"
➁
신속한 사고 피해극복 지원
"o (전국단위 피해지원) 지역정보보호 지원체계*와 연계, 피해 시 인력 장비를 현장 파견하여 피해극복을 지원하고, 적극 수사 의뢰(’21년~)
* 지역정보보호센터(전국 10개) 및 지역보안전문업체 보안전문가 등 활용"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사이버공격 수사 강화
다크웹 모니터링을 통한 해킹조직의 활동 감시 강화
"o 다크웹 상에 노출된 피해자의 개인정보 등은 관계부처에 신속 공유
하고, 피해자의 2차 피해 방지 지원"
랜섬웨어 해킹조직 수사 역량 강화
"o (전담 수사체계 구축) 경찰청 시도경찰청의 사이버테러수사대(팀) 내
랜섬웨어 전담 대응체계 구축, 랜섬웨어 공격에 엄정 대응 강화(’21년~)
※ 경찰청 본청에 ‘랜섬웨어 및 가상자산 추적수사 TF’도 구축, 일선 수사 지원
- 민간(과기정통부, ☎118), 공공(국정원, ☎111) 부문별 사고 신고 대응을
지원하고, 수사기관과 실시간 정보공유(’21년~)"
"※ 신고 활성화를 위해 신고한 피해기업에 대해 취약점점검 보안컨설팅 솔루션 등 정부지원을 우선 제공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 검토(’21년~)
o (국제 공조) 인터폴 회원국들과 해킹조직 분석, 범죄자 공동 검거를
강화하고, 공조 확대를 위해 유로폴과도 실무약정 체결 추진(’21년~)"
(전략3) 진화하는 랜섬웨어에 대한 핵심 대응 역량 제고
랜섬웨어 등 사이버공격 대응 핵심기술력 확보
신형 랜섬웨어의 신속한 탐지‧복구를 지원하는 기술을 확보하고, 공격근원지 및 가상자산의 흐름을 추적하는 기술개발 강화
신형 랜섬웨어 탐지 복구 기술 확보
"o (탐지 차단) ‘펌웨어 하드웨어 기반 탐지 차단*’ 등 랜섬웨어 공격 탐지 차단’ 기술 개발(’21년~)
* SW형 탐지기술보다 탐지 차단 속도가 빨라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기술로서, 기반시설 기업 등에 적용하기 적합
o (복구 기술) 랜섬웨어 암호학적 특징에 의거한 DB를 지속 축적하고,
랜섬웨어 복구기술을 개발, 산업계 신속 배포(’22년~)"
➁
근원지 추적기술 개발 강화
"o (공격 근원지 추적) 해킹조직의 프로파일링 시스템*을 구축하고, 해킹조직의 서버 이메일 역추적 기술 등 개발(’22년~)
* 코드 공격수법 서버IP 이메일 등 공격정보를 DB화하고 유사도 분석
o (가상자산 흐름 추적) AI 기반으로 부정한 가상자산 거래 기록을
축적 학습, 흐름을 추적하는 기술 개발(’21년~)"
※ FBI는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지불한 몸값 중 일부(230만불 상당) 환수
<랜섬웨어 근원지 추적기술>
해킹조직 프로파일링 기술 가상자산 흐름 추적 기술
➀
데이터 네트워크 및 AI 기반 보안기술 개발 강화
"o (데이터) 동형암호* 등 랜섬웨어로 데이터가 탈취되어도 개인 금융
정보 등 민감정보의 노출을 방지하는 암호기술 확보(’21년~)"
"* 암호화된 상태에서 데이터에 대한 연산·분석 등이 가능한 암호
o (네트워크) 공급망 네트워크 취약점 분석·탐지 기술을 확보하고, 5G 네트워크 全영역(코어망, 엣지망, 디바이스) 보안 기술 개발(’21년~)
o (AI 기반 보안) AI 기반 통합 보안 관제, 랜섬웨어 자동 탐지 차단 분류 등 AI기반의 첨단 보안 기술 심층* 육성(’21년~)
* (기존) 시제품 개발 지원 → (개선) 상용제품 제작, 사업화 해외진출까지 지원 확대"
사이버보안 생태계 강화 기반 마련
사이버보안 생태계 강화를 위해 기본법 제정을 추진하고, 민‧관 협의체 확대를 통해 랜섬웨어 대응 역량 결집
사이버보안 기본 법제(가칭 ‘사이버보안기본법’) 마련
o 공공·민간 분야별로 규정된 사이버보안 법제도를 체계화하고
산업분야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본법 제정 추진(’21~’22년)
➁
「민 관 랜섬웨어 대응 협의체」확대 운영
"o 다양한 랜섬웨어 대응 역량 결집을 위해, 연구기관·지자체 지역
중소기업 등의 참여 확대(‘21년~)"
추진 과제 추진일정 소관부처
전략1. 국가중요시설-기업-국민 수요자별 선제적 예방
튼튼한 국가중요시설 관리체계 구축
①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예방 체계 강화 ‘21~‘23 과기정통부, 국정원, 산업부 등 관계부처
② 軍, 연구기관 보안 강화 ‘21~ 국방부, 과기정통부
③ 공급망 및 공공 이메일 보안 강화 ‘21~‘24 과기정통부, 국정원
중소기업 패키지형 보안역량 강화 지원 및 책임성 증진
① 중소기업 보안역량 강화 패키지 지원 ’21~‘23 과기정통부, 복지부, 중기부
② 기업의 랜섬웨어 예방활동 강화 ’21~‘22 과기정통부
대국민 랜섬웨어 면역력 향상
① 국민들의 정보통신 기기 보안성 향상 지원 ’21~‘23 과기정통부
② 랜섬웨어 예방 인식제고 및 예방수칙 보급 ’21~ 과기정통부, 관계부처
전략2. 정보공유-피해지원-수사 등 사고대응 全주기 지원
정보공유‧협력 채널 강화
① 민‧관간 정보공유‧협력 채널 활성화 ’21~ 과기정통부, 국정원, 복지부, 금융위 등
② 국가간 정보공유 강화 ’21~ 과기정통부, 국정원, 외교부 등
확산방지 및 신속한 피해지원
① 랜섬웨어 공격의 확산 방지 ’21~’23 과기정통부, 관계부처
② 신속한 사고‧피해극복 지원 ’21~ 과기정통부, 관계부처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사이버공격 수사 강화
① 다크웹 모니터링을 통한 해킹조직 감시 강화 ’21~ 국정원
② 랜섬웨어 해킹조직 수사 역량 강화 ’21~ 경찰청, 과기정통부
전략3. 진화하는 랜섬웨어에 대한 핵심 대응 역량 제고
랜섬웨어 등 사이버공격 대응 핵심기술력 확보
① 신형 랜섬웨어 탐지‧복구 기술 확보 ’21~’23 과기정통부
② 근원지 추적기술 개발 강화 ’21~’23 과기정통부, 경찰청
③ 데이터‧네트워크 및 AI 기반 보안기술 개발 ’21~’23 과기정통부
사이버보안 생태계 강화 기반 마련
① 사이버보안 기본 법제 마련 ’21~’22 과기정통부, 국정원 등
② 「민‧관 랜섬웨어 대응 협의체」 확대 운영 ’21~ 과기정통부
i
......r·I
"冒l 정보공유-피해지원-수사 등 사고대응 전주기 지원하겠습니다
"
"흙[iJ -
冒 진화하는 랜섭웨어에 대한 핵심대응 역량을 재고하겠습니다"
"국민들이신뢰할수있는
• • • 랜섬웨어 예방 ·대응·기반강화제계를구현하겠습니다!• • •"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소금속 안심국가”실현을 위한 「희소금속 산업 발전대책 2.0」 수립 (0) | 2021.08.05 |
---|---|
과학 올림픽 국제과학올림피아드에서도 빛난 케이-과학-국제물리올림피아드 종합 1위,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종합 3위 등 달성 (0) | 2021.08.05 |
발달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이용자 등 예방접종 사전예약 실시 (0) | 2021.08.05 |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8.5., 0시 기준)-코로나19 예방접종 예약시스템 성능 대폭 개선(8.5., 정례브리핑) (0) | 2021.08.05 |
고용노동부, 2022년도 적용 최저임금을 시간급 9,160원(인상률 5.05%, 증 440원)으로 8월 5일(목) 고시 (0) | 2021.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