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673개 나노융합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2017 나노융합산업조사」결과 발표-나노융합산업 R&D 투자 5년간 67% 증가
담당부서바이오나노과 등록일2017-12-28
나노융합산업 R&D 투자 5년간 67% 증가
- 기업 수 10.5%, 매출액 1.4%, 고용 0.6% 전년대비 증가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백운규, 이하 산업부)는 국내 673개 나노융합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2017 나노융합산업조사」결과를 발표했다.
<2017 나노융합산업조사 개요>
▶ 조사대상 : 나노융합관련제품 생산업체 중 매출이 발생한 제조업체(673개 社)
▶ 조사대상기간 : ‘16.1.1 ~ ‘16.12.31(1년간)
▶ 수행기관 :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 (산업 추이) 2016년 국내 나노융합기업 수는 673개, 매출액은 135조 987억원, 고용인원은 15만 460명으로 전년 대비 각각 10.5%, 1.4%, 0.6% 증가했다.
□ (기업 현황) 나노융합기업중 중소기업이 90.3%(608개)를 차지하는 가운데, 나노소재 기업이 309개(45.9%)로 가장 많고, 나노장비·기기 기업이 182개(27.0%), 나노전자 기업이 120개(17.8%), 나노바이오·의료 기업이 62개(9.2%)로 조사되었다.
< 분야별 기업 현황(‘12~16년) >
(단위 : 개 , 전년대비 증가율 %)
구 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나노소재
218(5.3)
234(7.3)
263(12.4)
267(1.5)
309(15.7)
나노전자
84(33.3)
82(△2.4)
108(31.7)
110(1.8)
120(9.1)
나노바이오ㆍ의료
58(-)
62(6.7)
53(△14.5)
56(5.7)
62(10.7)
나노장비ㆍ기기
144(2.8)
163(13.2)
166(1.8)
176(6.0)
182(3.4)
합 계
504(7.7)
541(7.3)
590(9.0)
609(3.2)
673(10.5)
□ (매출) 2016년 나노융합산업 매출액(약 135조원)은 전체 제조업 매출액(약 1,418조원)의 9.5%를 차지하는 가운데, 나노전자 매출액(약 121.7조원, 90.1%)과 나노소재 매출액(약 10.2조원, 7.5%)이 전체 매출액의 대부분(97.6%)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나노장비·기기 분야 약 2.2조원(1.7%), 나노바이오의료 약 0.9조원(0.7%) 순
ㅇ 특히 나노바이오·의료 및 나노장비·기기분야는 매출액 비중은 작으나, 전년대비 각각 41.8%(2,887억원), 41.6%(6,567억원) 증가하여 급격한 성장세를 보였다.
< 분야별 매출 현황(‘12~16년) >
(단위 : 억원 , 전년대비 증가율 %))
구 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나노소재
96,651
(5.8)
144,391
(49.4)
104,664
(△27.5)
86,414
(△17.4)
101,921
(17.9)
나노전자
1,170,282
(44.6)
1,215,753
(3.9)
1,193,383
(△1.8)
1,223,075
(2.5)
1,216,927
(△0.5)
나노바이오ㆍ의료
4,444
(51.5)
4,126
(△7.2)
7,249
(75.7)
6,907
(△4.7)
9,794
(41.8)
나노장비ㆍ기기
19,152
(△0.1)
22,669
(18.4)
17,634
(△22.2)
15,778
(△10.5)
22,345
(41.6)
합 계
1,290,529
(39.8)
1,386,939
(7.5)
1,322,930
(△4.6)
1,332,174
(0.7)
1,350,987
(1.4)
□ 나노융합산업의 매출액 상위 10대 품목은 나노전자 5개, 나노소재 4개, 나노장비·기기 1개로 조사되었다.
ㅇ 나노융합산업 전체 매출에서 상위 10대 품목이 차지하는 비중은 96.4%(130조원)이며, 이 가운데 나노전자의 매출액이 89.0%(120조원)를 차지하여 특정제품군에 대한 집중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ㅇ 10대 품목중 연료전지(1,556%), 나노분산체(219%), 나노박막장비(127%)는 전년대비 대폭 증가한 반면, 광소자(△14.8%), LCD용나노소자/부품(△5.8%), 메모리소자(△3.9%)는 전년대비 감소하였다.
순위
나노융합산업분류
매출액
2016년
대분류
소분류
2015
2016
비중
누적비
1
나노전자
메모리소자
655,828
630,482
46.7
46.7
2
나노전자
LCD용 나노소자/부품
522,901
492,399
36.4
83.1
3
나노소재
나노필름소재
54,764
55,291
4.1
87.2
4
나노전자
연료전지
3,260
53,984
4.0
91.2
5
나노소재
금속나노분말(나노입자포함)
10,627
17,897
1.3
92.5
6
나노전자
광소자
16,183
13,780
1.0
93.5
7
나노장비·기기
나노박막장비
5,721
12,995
1.0
94.5
8
나노전자
이차전지
10,385
12,018
0.9
95.4
9
나노소재
나노분산체
2,139
6,828
0.5
95.9
10
나노소재
세라믹나노분말(나노입자포함)
4,872
6,002
0.4
96.4
누 계
1,301,676
-
96.4
총 매출
1,350,987
100.0
100.0
<‘16년 매출액 상위 10대 품목>
(단위 : 억원, %)
* 나노융합산업 분류는 통계청 승인 분류체계로서 대분류 4개(나노소재, 나노전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중분류 16개, 소분류 44개로 분류됨. (붙임 2, 나노융합산업표준분류표 참고)
□ (고용) ’16년 나노융합산업의 고용인원(150,460명)은 제조업 전체 종사자의 5%를 차지하는 가운데, 전년대비 소폭(0.6%) 증가하였다.
ㅇ 분야별로 나노장비기기(32.1%), 나노바이오의료(13.1%), 나노소재(11.7%)는 전년대비 증가한 반면, 나노전자는 전년대비 감소(△2.3%) 하였다.
ㅇ 나노융합산업의 석․박사 인력 비중은 39.6%로서, 산업 전체평균(8.6%)에 비해 고급인력 고용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나노융합 산업인력 분포 : 박사 9.2%, 석사 30.4%, 학사이하 60.4%
* 산업전체 기술인력 분포 : 박사 2.2%, 석사 6.4%, 학사이하 91.4%(2016년도 산업기술인력 수급실태조사 보고서, 산업통상자원부)
< 나노융합산업 고용현황(‘12~16년) >
(단위 : 명, 전년대비증가율 %)
구 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나노소재
8,557
(△5.5)
14,852
(73.6)
12,106
(△18.5)
17,439
(44.1)
19,487
(11.7)
나노전자
123,855
(6.9)
127,301
(2.8)
125,128
(△1.7)
125,125
(△0.002)
122,222
(△2.3)
나노바이오ㆍ의료
1,383
(17.2)
1,929
(39.5)
2,780
(44.1)
2,364
(△15.0)
2,673
(13.1)
나노장비ㆍ기기
4,461
(△2.2)
6,065
(36.0)
6,048
(△0.3)
4,601
(△23.9)
6,078
(32.1)
합 계
138,256
(5.8)
150,147
(8.6)
146,062
(△2.7)
149,529
(2.4)
150,460
(0.6)
□ (연구개발) 나노융합산업의 연구개발(R&D) 투자는 ’16년 11조 487억원으로 첫 조사 년도인 2011년 이래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전체 R&D 투자액(65조 9,594억 원*)의 16.8%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ㅇ 특히, 지난 5년 간 나노융합산업의 R&D 투자는 연평균 1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국내 전체 연구개발비의 연평균(2012∼2016) 성장률(5.8%*)을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12-2016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융합산업 연구개발 투자현황(‘12~16년) >
(단위 : 억원 , %)
구 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나노소재
1,791
(27.1)
2,694
(50.4)
2,124
(△21.2)
2,008
(△5.5)
2,139
(6.5)
나노전자
62,958
(11.8)
79,976
(27.0)
99,693
(24.7)
104,674
(5.0)
106,428
(1.7)
나노바이오ㆍ의료
278
(46.3)
273
(△1.8)
461
(68.9)
367
(△20.4)
356
(△3.0)
나노장비ㆍ기기
1,101
(1.9)
1,348
(22.4)
1,411
(4.7)
1,450
(2.8)
1,563
(7.8)
합 계
66,128
(12.1)
84,292
(27.5)
103,689
(23.0)
108,499
(4.6)
110,487
(1.8)
□ 산업부는 “최근 5년간 나노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가 급격히 증가하는 한편, 다양한 나노융합제품이 제조업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나노융합산업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혁신과 성장을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통계조사결과 세부내용은 통계포털(http://kosis.kr/) 및 나노융합산업 포털 나노인(nanoin.org),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홈페이지(nanokorea.net)에 게재 예정
* 붙임 1 : 2017 나노융합산업조사 주요 결과 요약
* 붙임 2 : 나노융합산업 표준분류표
붙임 1
2017 나노융합산업조사 주요 결과 요약(2016년 기준)
1. 나노융합산업 주요지표(2011∼2016)
(단위 : 개, 억원, 명, %)
구분
2011년(A)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B)
증감률((B-A)/A))
기업 수
468
504
541
590
609
673
43.8%
매출액
922,854
1,290,529
1,386,939
1,322,930
1,332,174
1,350,987
46.4%
종업원 수
130,667
129.876
150,147
146,062
149,529
150,460
15.1%
2. 규모 및 분야별 기업현황(2016)
(단위: 개, %)
구분
전체기업 수
비중
나노소재
309
45.9
나노전자
120
17.8
나노바이오ㆍ의료
62
9.2
나노장비ㆍ기기
182
27.0
합 계
673
100.0
중·소기업
나노소재
276
45.4
나노전자
99
16.3
나노바이오ㆍ의료
57
9.4
나노장비ㆍ기기
176
28.9
소 계
608
100.0
대기업
나노소재
33
50.8
나노전자
21
32.3
나노바이오ㆍ의료
5
7.7
나노장비ㆍ기기
6
9.2
소 계
65
100.0
3. 매출액 현황(2016)
(단위: 억 원, %)
구분
나노 매출액(A)
총 매출액(B)
비중 (A/B)
나노소재
101,921
670,907
15.2
나노전자
1,216,927
2,330,206
52.2
나노바이오・의료
9,794
20,418
48.0
나노장비・기기
22,345
40,205
55.6
합 계
1,350,987
3,061,736
44.1
중·소
기업
나노소재
16,723
46,435
36.0
나노전자
11,450
19,036
60.1
나노바이오・의료
2,137
6,817
31.4
나노장비・기기
16,791
28,328
59.3
소 계
47,101
100,615
46.8
대기업
나노소재
85,198
624,473
13.6
나노전자
1,205,477
2,311,170
52.2
나노바이오・의료
7,657
13,601
56.3
나노장비・기기
5,554
11,877
46.8
소 계
1,303,886
2,961,121
44.0
4. 고용 현황(2016)
(단위: 명, %)
구분
나노종업원(A)
총 종업원(B)
비중(A/B)
나노소재
19,487
63,227
30.8
나노전자
122,222
218,249
56.0
나노바이오・의료
2,673
6,774
39.5
나노장비・기기
6,078
10,579
57.5
합 계
150,460
298,829
50.3
중·소
기업
나노소재
5,002
12,821
39.0
나노전자
3,120
5,709
54.7
나노바이오・의료
1,194
3,208
37.2
나노장비・기기
4,760
8,068
59.0
소 계
14,076
29,806
47.2
대기업
나노소재
14,485
50,406
28.7
나노전자
119,102
212,540
56.0
나노바이오・의료
1,479
3,566
41.5
나노장비・기기
1,318
2,511
52.5
소 계
136,384
269,023
50.7
5. 연구개발·투자현황(2016)
(단위: 억 원, %)
구분
2016년
비중
나노소재
2,139
1.9
나노전자
106,428
96.3
나노바이오ㆍ의료
356
0.3
나노장비ㆍ기기
1,563
1.4
합 계
110,487
100.0
중·소
기업
나노소재
806
28.3
나노전자
626
22.0
나노바이오ㆍ의료
236
8.3
나노장비ㆍ기기
1,181
41.5
소 계
2,848
100.0
대기업
나노소재
1,333
1.2
나노전자
105,803
98.3
나노바이오ㆍ의료
121
0.1
나노장비ㆍ기기
382
0.4
소 계
107,638
100.0
붙임 2
나노융합산업 표준분류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NA. 나노소재
NA01. 금속소재
NA0101. 나노분말(나노입자 포함)
NA0102. 나노선(나노막대, 나노튜브 포함)
NA0103. 판상나노소재
NA02. 세라믹소재
NA0201. 나노분말(나노입자 포함)
NA0202. 나노선(나노막대, 나노튜브 포함)
NA0203. 판상나노소재
NA03. 폴리머소재
NA0301. 나노분말(나노입자 포함)
NA0302. 나노선(나노막대, 나노튜브 포함)
NA0303. 나노필름소재
NA04. 복합소재
NA0401. 나노분산체
NA0402. 나노코팅체
NA0403. 나노복합섬유
NA0404. 벌크형 나노복합체
NA0405. 나노기공체
NA0406. 나노구조막소재
NA0407. 나노필름소재
NA05. 탄소소재
NA0501. 나노분말(나노입자 포함)
NA0502. 나노선(나노막대,나노튜브 포함)
NA0503. 판상나노소재
NB. 나노전자
NB01. 반도체용 나노소자
NB0101. 메모리소자
NB0102. 로직소자
NB0103. 광소자
NB02. 센서용 나노소자
NB0201. 물리센서
NB0202. 화학센서
NB03. 디스플레이용 나노소자·부품
NB0301. LCD용 나노소자·부품
NB0302. OLED용 나노소자·부품
NB0303. 백플레인(Backplane) 소자
NB0304. Touch용 나노소자
NB04. 에너지용 나노소자
NB0401. 이차전지
NB0402. 연료전지
NB0403. 태양전지
NC.
나노
바이오·의료
NC01. 나노의약품
NC0101. 나노치료제
NC0102. 나노진단제
NC02. 나노바이오
기기 및 장비
NC0201. 진단기기
NC0202. 분석기장비
NC03. 나노화장품
NC0301. 나노화장품
NC04. 나노농수산 식품
NC0401. 나노기능성식품
NC0402. 사료·비료·농약
NC05. 나노생체 삽입소재
NC0501. 임플란트
NC06. 의료 및 연구용 소모품
NC0601. 의료 및 연구용 소모품
ND.
나노
장비·기기
ND01. 일반목적장비용 나노부품
ND0101. 일반목적장비용 나노부품
ND02. 나노제조공정 장비
ND0201. 나노패터닝 장비
ND0202. 나노박막 장비
ND0203. 나노소재 제조 및 정렬 장비
ND0204. 나노제조장비용나노부품
ND03. 나노측정분석 장비
ND0301. 나노화학구조 측정분석 장비
ND0302. 나노형상·물성 측정분석 장비
ND0303. 나노측정분석 장비용 나노부품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상공인의 따뜻한 대변인’약속 이행계획 -18년 청년일자리 창출 및 일자리 안정자금 수급 소상공인 집중 지원 (0) | 2017.12.28 |
---|---|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중소기업과 첫 간담회 개최 (0) | 2017.12.28 |
VOCs(휘발성 유기화합물) 74종 및 농약 등 18종 조사 및 위해평가 결과 발표-생리대‧팬티라이너 74종 VOCs 인체 위해 우려 없어 (0) | 2017.12.28 |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제1차 개정협상 개최- ‘18.1.5(금) 워싱턴 D.C.에서 개최 (0) | 2017.12.28 |
산업부 장관, 성동조선‧STX조선 방문 및 노사 의견 청취 (0) | 2017.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