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 도입 이후 1000억원 계약 달성

하이거 2021. 3. 8. 13:38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 도입 이후 1000억원 계약 달성

 

작성일 2021-03-07 부서 인터넷진흥과 2021-03-07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 활성화로 디지털 뉴딜 성공에 박차
-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로 1000억원 규모 계약 달성 -
- 공공기관이 원하는 디지털서비스를 필요할 때 편리하게 도입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작년 10월 도입된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를 통한 계약이 1000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ㅇ 본 제도를 통해 ‘AI 고성능컴퓨팅 자원 임차(NIPA)’, ‘부산 블록체인통합서비스 「B PASS」(KISA)’, ‘사물인터넷 작물정밀관리기술 정보서비스(농촌진흥청)’등의 다양한 대규모 계약이 완료되어 제도의 본격 시행 5개월만에 공공부문에 디지털서비스가 빠르게 도입되고 있다.

□ 본 제도는 디지털서비스 산업 성장을 이끌기 위해 디지털정부혁신 및 디지털뉴딜의 일환으로 마련되었으며, 디지털시대에 적합한 계약을 통한 공공 신서비스 활성화를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ㅇ 디지털서비스 심사위원회에서 선정된 서비스는 수의계약, 카탈로그계약이 가능하여 기존 입찰방식보다 훨씬 단순한 계약절차를 밟을 수 있다.


ㅇ 특히, 통상적으로 조달요청부터 계약까지 장기간(80여일)이 소요되어 충분한 사업 기간의 확보가 어려웠던 기존 계약방식을 개선하여 계약절차를 1~2주 내로 획기적으로 단축함으로써 예산 조기 집행과 보다 내실 있는 사업 추진 등이 가능하게 되었다.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 개요>

‣ 디지털서비스 심사위원회에서 국가기관 등이 이용하기 적합한 서비스 심사·선정
- 디지털서비스(①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②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비스, ③지능정보기술 등 다른 기술·서비스와 클라우드컴퓨팅기술을 융합한 서비스) 해당 여부, 적격성, 제공역량 심사
‣ 디지털서비스 심사위원회에서 선정한 서비스에 대해 수의계약 허용, 장기계속계약 및 공동계약 체결도 가능
- 조달청 디지털서비스 전용몰을 활용하거나 필요시 기관 자체로 계약하여, 필요한 기간만큼 원하는 조건으로 신속하게 이용
‣ 선정된 서비스의 세부 내용은 선정 서비스 기업의 상세규격 입력 이후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www.digitalmarket.kr)에서 확인 가능


□ 일례로 ‘2021년 고성능컴퓨팅 자원임차 용역*’은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를 활용하여 계약 기간을 약 한 달 단축하였다.

* 국내 산·학·연이 고성능컴퓨팅 구축 없이 AI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를 통해 연산자원을 지원하는 사업

ㅇ 또한 본 제도를 통해 장기계속계약을 체결하는 것도 가능해져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제공사업자는 ’22년까지 안정적으로 고성능컴퓨팅 사업을 진행할 수 있었으며, 수요기관은 같은 예산으로 전년 대비 고성능컴퓨팅 자원을 20% 더 확보(’20년 25.7PF → ’21년 30.6PF)할 수 있게 되었다.

□ 한편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을 통해 선정 디지털서비스 내용뿐만 아니라 계약현황정보를 공개하여 수요기관이 서비스 도입 계약 이전에 실제 사례를 참고할 수 있다.

ㅇ 실제로도 최다 계약 사례인 두드림시스템의 이젠터치*는 이용지원시스템에 공개된 계약현황정보를 바탕으로 홍보를 진행하여 대학교, 박물관, 연구원, 병원 등 39개 기관에 도입되었다.

* 기관 특성에 따라 필요 기능을 선택하여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자도서관시스템

□ 과기정통부는 향후에도 매월 디지털서비스 심사위원회를 개최하여 보다 다양한 디지털서비스가 등록될 수 있도록 하고, 등록된 디지털서비스에 대한 품질관리를 통해 안정적인 서비스 공급이 가능토록 할 예정이다.

ㅇ 더 많은 혁신서비스가 선정되어 신속한 계약이 가능해지면 D.N.A(Data, Network, AI)기반 산업 활성화와 디지털 대전환도 앞당겨질 것으로 보인다.

□ 과기정통부 김정원 정보통신정책실장(디지털서비스 심사위원장)은 “지난해 10월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가 도입된 이후 인공지능 기술 융합 서비스 등을 포함하여 총 34개의 디지털서비스가 선정·등록되었으며, 도입 계약 규모도 빠르게 늘고 있다”며,

ㅇ “앞으로도 본 제도를 통해 다양한 혁신 서비스가 공공부문에 도입되고 디지털서비스 산업 활성화의 마중물 역할을 하여 디지털 뉴딜의 성공을 이끌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붙임 : 디지털서비스 선정 현황


붙임

디지털서비스 선정 현황


No
서비스 유형
기업명
서비스명
1
클라우드 서비스
IaaS
네이버 클라우드(주)
네이버클라우드 플랫폼 공공기관용(IaaS)
2
㈜케이티
KT G-Cloud 서비스
3
인프라닉스(주)
Systeer G-Cloud
4
엔에이치엔(주)
TOAST G Cloud
5
㈜가비아
G 클라우드
6
㈜위버시스템즈
네이버클라우드 서비스 공공기관용(IaaS)
7
디딤365㈜
디딤365 KT G-Cloud
8
㈜스마일서브
KoreaV
9
㈜엔삼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공공기관용)(IaaS)
10
㈜콘텐츠브릿지
KT Cloud laaS 서비스
11
디딤365㈜
디딤365 네이버클라우드 서비스(공공기관용)
12
SaaS
㈜두드림시스템
이젠터치
13
크리니티(주)
크리니티 G-Cloud 공공메일
14
㈜솔비텍
이체크폼
15
인프라닉스(주)
M-Console SaaS
16
엔에이치엔(주)
TOAST-G Workplace Dooray!
17
㈜더존비즈온
위하고V: 클라우드기반 공공업무 시스템
18
리눅스웨어㈜
G-Cloud 메일솔루션(SaaS)
19
㈜새하컴즈
보다
20
㈜이즈파크
StrategyGATE
21
네이버클라우드㈜
System Security Checker
22
네이버클라우드㈜
Web Security Checker
23
㈜엔로비
엔로비(nlobby) - 방문객 출입관리시스템
24
지원
서비스
디딤365(주)
디딤365 매니지드 서비스
25
㈜위버시스템즈
클라우드서비스 지원 매니지드 서비스
26
쌍용정보통신㈜
4urCloud
27
㈜가비아
공공g클라우드 매니지드 서비스
28
㈜넷케이티아이
xTrain 매니지드 서비스
29
㈜지에스아이티엠
U.STRA CLOUD X-MSP 매니지드 서비스
30
㈜웰데이타시스템
엔클라우드24 매니지드서비스
31
㈜가비아
공공g클라우드 보안관제 서비스
32
융합
서비스
㈜카카오 엔터프라이즈
카카오i 커넥트톡 AI 챗봇
33
㈜지케스
M.Cloud 지능형 관제서비스
34
㈜엘지씨엔에스
AI의료영상분석 보조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