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K-ICT 글로벌 표준화 전략 콘퍼런스’ 개최- K-ICT 표준화전략맵(안) 발표회 및 ICT 포럼코리아 2016
작성일 : 2016. 11. 21. 정보통신방송기술정책과
미래부, ‘K-ICT 글로벌 표준화 전략 콘퍼런스’ 개최
- K-ICT 표준화전략맵(안) 발표회 및 ICT 포럼코리아 2016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가 주최하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회장 박재문, 이하 TTA)가 주관하는 「K-ICT 글로벌 표준화 전략 콘퍼런스」가 11월 21일 TTA 국제회의장에서 개최된다. 이번 행사에는 ICT 및 ICT융합 관련 산·학·연 전문가 약 200여명이 참석할 전망이다.
□ 이번 ‘K-ICT 글로벌 표준화 전략 콘퍼런스’에서는 K-ICT 10대 분야별 중장기(’17~‘19) 표준화 추진전략을 발표하는 ’K-ICT 표준화 전략맵 발표회‘와 표준화 포럼들의 ’16년 활동 결과 및 성과를 공유하는 ICT 포럼코리아가 진행될 예정이다.
o 아울러 IEEE 802포럼(의장: 카톨릭대 김윤관 교수), SDN/NFV포럼(의장:KT 종합기술원 이동면 원장)에 대한 미래부 장관상을 비롯하여 우수한 성과를 보인 표준화 포럼 및 유공자에 대한 시상식도 개최된다.
《 K-ICT 표준화 전략맵 발표회 》
□ 그간 정부는 국제표준화 환경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국내기술의 국제표준 반영을 통한 글로벌 표준화 경쟁력을 제고를 위해 매년 중점기술을 선정하여 국내외 표준화 추진전략을 제시하는 K-ICT 표준화 전략맵을 산·학·연·관에 제공해 왔다.
o 올해에는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하여 ‘지능정보기술’, ‘스마트 디바이스’ 등 K-ICT 10대 전략산업과 자율주행 자동차, 의료 등 30개 중점기술*을 선정하였고, 이에 대한 국내외 시장·기술·특허·표준화 현황 분석 및 향후 표준화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 5G 이동통신, 사물인터넷, 클라우드/빅데이터, 지능정보기술과 평창올림픽을 대비한 UHDTV, VR방송 및 스마트디바이스, 헬스케어 등 ICT 융합기술 등 포함
o 특히, 기술개발과 표준화의 실질적인 연계계획 수립을 위해 미래부 CP, 산자부 PD 등 산·학·연·관 전문가 480여명이 참여하고 120여회 회의를 통해 표준화 추진전략(안)을 수립하였다.
o 올해로 15년째를 맞는 표준화전략맵(안) 발표회는 국가차원의 ICT 국제표준화 실행계획에 대한 논의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이후 관계부처 및 외부 전문가 의견수렴을 반영하여 연말에 K-ICT 표준화 전략맵을 확정하고 책자‧전자책 등으로 발간할 예정이다.
《 ICT 표준화 포럼 》
□ 또한, 정부는 표준화 환경이 시장․수요자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중소·중견기업 등 기업체 중심의 표준화활동이 활발히 진행될 수 있도록 ICT 표준화포럼을 선정·지원하고 있다.
o ICT 표준화포럼은 세계 사실표준화기구(IEEE, IETF 등) 대응과 국내 민간표준화 활성화를 위해 올해 38개 포럼을 선정․지원하고 있다. 주요 성과로 587건의 국제기고서 반영, 165건의 포럼표준 개발 및 제품‧서비스 적용 등 국내 ICT 산업발전 ‧진흥에 기여하고 있다.
o ICT 포럼코리아는 ICT 기술표준화 동향을 발표하고 표준화 포럼의 활동경과 보고 및 우수포럼 시상을 통해 표준화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자 마련되었다.
□ 미래부 정완용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축사를 통해 “기술 개발과 표준화가 연계되어 추진될 때 비로소 우리 ICT 산업에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오므로, 전략맵의 표준화 추진전략이 국내 표준화 전략포럼의 실질적인 활동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붙임 : 1. K-ICT 글로벌 표준화 전략 콘퍼런스 행사 개요2. K-ICT 글로벌 표준화 전략 콘퍼런스 세부 프로그램3.1. 2017년 K-ICT 표준화전략맵 주요 내용3.2. 작년 대비 2017 표준화전략맵 중점기술 개편 사항4. K-ICT 표준화전략맵(안) 개발 추진현황5. ICT 표준화 포럼 추진현황6. 우수 ICT 표준화 포럼 및 전략맵 수상자 명단. 끝.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미래창조과학부 장서연 사무관(☎ 02-2110-2953)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1
K-ICT 글로벌 표준화 전략 콘퍼런스 행사 개요
□ 행사 계획
ㅇ (행사명) 글로벌 표준화 전략 콘퍼런스(K-ICT 표준화전략맵 발표회 및 포럼코리아)
ㅇ (일시/장소) ‘16.11.21(월), TTA 9층 국제회의장
ㅇ (행사기관) △(주최) 미래부, △(주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ㅇ (주요 참석자) ICT 및 표준화 전문가, 미래부, TTA 등 (200여명)
□ 주요 내용
ㅇ(전략맵발표회) 표준화전략맵 초안에 대한 ▲관계부처 및 외부 전문가 의견수렴, ▲산·학·연 등 일반 참가자 대상 표준화 교육·홍보
* ICT 분야 중점 표준화 기술별 표준화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산·학·연·관에 제공하여 국제표준 선점을 지원함으로써 이를 통해 국가 표준 경쟁력 제고(‘16년, 30대 중점 기술분야)
ㅇ (포럼코리아) ICT 기술 표준화 동향 발표, 표준화 포럼의 활동결과 소개 및 우수 포럼 시상을 통해 표준화에 대한 대국민 인식 제고
* 세계 사실표준화기구(IEEE, IETF 등) 대응과 국내 민간표준화 활성화를 위해 ‘01년부터 매년 분야별 표준화 포럼 선정‧지원 (‘16년, 38개 포럼)
□ 프로그램(안)
시 간
주요 내용
비 고
09:00∼10:00(60’)
등 록
10:00∼11:20
공동세션
사회 : TTA
10:00∼10:45(45’)
제4차 산업혁명과 AI
SKT 최진성 CTO
10:45∼11:00(15’)
K-ICT 표준화전략맵 Ver.2017 추진경과 소개
TTA 표준기획부장
11:00∼11:05(5’)
인사말
TTA 회장
11:05∼11:10(5’)
축 사
미래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
11:10∼11:20(10’)
우수 표준화 포럼 및 공로패 시상식
(미래부 장관상 2점, TTA 공로패 3점)
미래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
TTA 회장
11:20∼13:00(100’)
중 식
13:00∼18:00
기술세션
(전략맵 기술 및 포럼 활동 발표/검토)
중점기술별 분과장 및
포럼 연구책임자
붙임 2
K-ICT 글로벌 표준화 전략 콘퍼런스 세부 프로그램
□ 표준화전략맵은 중장기(’17~‘19) 표준화 추진전략 발표(25분)
□ 포럼은 국내외 기술 표준화 동향 및 ‘16년 활동결과 발표(20분)
장소
10대 전략산업
시 간
발표내용
발표자
좌장
9층
국제회의장
-A
5G + 전파위성
13:00~13:20
5G 이동통신 기술 및 표준화 동향
고려대 강충구 교수
ETRI
이준환
실장
13:20~13:45
5G 이동통신 표준화전략맵
ETRI 이준환 실장
13:45~14:05
IEEE 802, 포럼 및 표준화 동향
경기대 오민석 교수
14:05~14:30
위성/무인기통신 표준화전략맵
ETRI 장대익 실장
네트워크
14:40~15:00
SFC 표준기술과 OPNFV
숭실대 김영한 교수
ETRI
김정윤
책임
15:00~15:20
SDN/NFV 기술 및 표준화 동향
ETRI 신명기 실장
15:20~15:45
미래형창의네트워크 표준화전략맵
ETRI 김정윤 책임
15:45~16:10
광통신네트워크 표준화전략맵
ETRI 강태규 책임
방송 및
스마트미디어
16:20~16:40
차세대방송기술 표준화 동향
ETRI 정원식 실장
ETRI
정원식
실장
16:40~17:05
실감방송 표준화전략맵
ETRI 정원식 실장
17:05~17:25
MPEG포럼 및 MPEG 국제표준화 동향
ETRI 차지훈 실장
17:25~17:50
스마트미디어 표준화전략맵
ETRI 강신각 책임
9층
국제회의장
-B
기반SW + 컴퓨팅
13:00~13:20
클라우드 표준화동향 및 포럼소개
동국대 김양우 교수
KACI
구원본
부장
13:20~13:45
클라우드/빅데이터 표준화전략맵
ETRI 오명훈 선임/
KERIS 정의석 선임
13:45~14:05
HTML5융합기술포럼 소개
HTML5포럼 홍덕기 국장
14:05~14:30
지능정보기술 표준화전략맵
인시그널 천승문 소장
디지털콘텐츠
14:40~15:00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의 기술 동향
볼레크리에이티브 서동일 대표
KERIS
조용상
책임
15:00~15:25
실감/융합 영상 표준화전략맵
건국대 윤경로 교수
15:25~15:45
게임의 다양한 기술과 표준
조이펀 정상권 대표
15:45~16:10
교육/전자출판 표준화전략맵
KERIS 조용상 책임
정보보호
16:20~16:40
차세대인증 FIDO의 현재와 미래
중앙대 이기혁 교수
고려대
한근희
교수
16:40~17:00
네트워크/디바이스 보안 표준화전략맵
KISA 이태진 팀장
17:00~17:20
개인정보보호 국제표준화현황
TCA서비스 오경희 대표
17:20~17:40
스마트의료기기와 보안
고려대 한근희 교수
17:40~18:00
공통기반보안 표준화전략맵
ETRI 김인섭 책임
9층
국제회의장
-C
융합서비스+ICT 디바이스
13:00~13:20
스마트로봇포럼 소개 및 추진현황
로봇협회 서준호 팀장
ETRI
전종홍
책임
13:20~13:45
지능형로봇 표준화전략맵
ETRI 지수영 실장
13:45~14:05
ICT DIY와 메이커 창작문화 활성화
ETRI 현성은 연구원
14:05~14:30
스마트디바이스 표준화전략맵
ETRI 전종홍 책임
14:40~15:00
e-Navigation 기술동향 및 포럼소개
선박협회 모수종 국장
ETRI
유돈식
책임
15:00~15:20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팜 서비스
이지팜 박흔동 대표
15:20~15:45
스마트교통 표준화전략맵
ETRI 윤현정 책임
15:45~16:10
Health ICT 표준화전략맵
ETRI 유돈식 책임
16:20~16:40
사물인터넷 산업동향
IoT협회 전성태 본부장
ETRI
홍용근
전문위원
16:40~17:05
IoT 표준화전략맵
ETRI 홍용근 전문위원
17:05~17:25
국내외 홈가전 IoT 기술/서비스 추진동향
중앙대 김영만 교수
17:25~17:50
스마트홈/워크/시티 표준화전략맵
ETRI 박호진 책임
붙임 3.1
2017년 K-ICT 표준화전략맵 주요 내용
□ 표준화 전략맵 개요
ㅇ ICT 분야 중점 기술별 표준화 전략을 산·학·연·관에 제공하여 국제표준 선점을 지원하고 국가 표준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 매년, 국내외 기술정책 및 동향을 반영한 기술별 표준화 전략을 수립(연동계획)
* 초연결, 지능정보사회 핵심분야인 5G, IoT, AI 등 신산업 분야 선점을 위해 표준선점이 중요
【 K-ICT 표준화전략맵 주요내용 】
ㅇ 중점기술별 표준화 개요 및 중점 표준화 항목 도출
ㅇ 국내외 시장, 기술개발, IPR, 표준화 현황 분석
ㅇ 중점 표준화 항목별 국내외 표준화 추진전략 및 중장기 계획 수립
□ 2017년 표준화 전략맵 중점 추진방향
ㅇ (중점기술 재정비) K-ICT 전략 분야와 신성장산업 핵심 분야를 추가하여, 중점기술을 기존 25개 → 30개로 확대 개편
- (신규 추가) 2016년 표준화 전략맵에서 특별 기획으로 편성했던 ‘지능정보’, ‘스마트 디바이스’와 ‘SW품질평가’, 오픈소스SW’를 추가
- (세분화 및 분류조정) ‘실감형 콘텐츠’를 3개 중점기술로 세분화하고 ‘스마트교통’, ‘지능형로봇’ 등 분류 조정
ㅇ (연계 강화) K-ICT 전략, 미래성장동력 표준화 추진방안, 기술로드맵 등 과 연계를 강화하고 표준화 부문에 특화된 실행계획 수립
* 표준화는 ICT R&D 결과와 시장을 연결하는 핵심 다리 역할 수행
붙임 3.2
작년 대비 2017 표준화전략맵 중점기술 개편 사항
10대 기술분류체계
2016년도 (25+2개 기술)
2017년도 (30개 기술)
이동통신(3)
①5G이동통신 ②WLAN, ③WPAN/WBAN
⇒
①5G이동통신 ②WLAN, ③WPAN/WBAN
전파/위성(2)
④위성/무인기ICT
⑤전파응용
④위성/무인기ICT
⑤전파응용
네트워크(3)
⑥SDN/NFV
⑦미래형창의네트워크
⑧광통신네트워크
⑥SDN/NFV
⑦미래형창의네트워크
⑧광통신네트워크
방송/스마트
미디어(2)
⑨실감방송
⑩스마트미디어
⑨실감방송
⑩스마트미디어
정보보호(3)
⑪공통기반 보안
⑫네트워크/디바이스 보안
⑬서비스/융합 보안
⑪공통기반 보안
⑫네트워크/디바이스 보안
⑬서비스/융합 보안
융합서비스(6)
⑭IoT⑮Health ICT
⑯스마트농축수산업
⑰e-Navigation
⑱그린ICT
⑲스마트홈/워크
⑳스마트교통
㉑지능형로봇
⑭IoT⑮Health ICT
⑯스마트농축수산업
⑰e-Navigation
⑱그린ICT
⑲스마트홈/워크/시티
디지털콘텐츠(3)
㉒실감형콘텐츠
⑳실감/융합영상*,
㉑게임*,
㉒전자출판/이러닝*
SW(3)
㉓모바일서비스
㉔웹
㉓오픈소스SW*
㉔SW품질평가*
㉕웹
기반SW/컴퓨팅(2)
㉕클라우드/빅데이터
㉖클라우드/빅데이터
㉖(특별기획) 지능정보
㉗지능정보*
(콘텐츠 검색, UI/UX 포함)
ICT디바이스(3)
㉗(특별기획) 스마트디바이스
㉘스마트디바이스*
(지능형 반도체 포함)
㉙스마트교통
㉚지능형로봇
※ 붉은색: 분야 추가/ 푸른색: 분야 조정 및 세분화
붙임 4
K-ICT 표준화전략맵(안) 개발 추진현황
□ 전략맵 개요
ㅇ (목적) 선제적 표준화가 필요한 핵심기술의 국내외 표준화 추진전략 수립
* 5G, IoT, AI 등 제4차 산업혁명의 초연결, 지능정보사회 핵심기술의 표준선점이 중요
ㅇ (절차) 사전 조사·분석 → ICT 중점기술 선정 및 전담반 구성 → 표준화전략맵 초안 작성 → 발표회(산․학․연․관 의견수렴) → 발간·배포
* 표준 RP, CP(미래부), PD(산업부, 문화부) 검토를 통해 R&D 사업간 시너지 제고
ㅇ (활용) 정부 표준화 정책 및 민간 표준화 활동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 (정부) 차년도 표준화사업 및 기술개발-표준화 연계과제 기획 시 사용
* (민간) ICT관련 산·학·연 단체에 배포하여 표준동향 분석 및 표준화 활동 시 참고
□ 추진 경과
ㅇ 1~2월 : 국내외 주요 국가․표준화기구 분석(사전 조사·분석)
* 주요국(미국, 유럽 등) 및 국내 ICT 정책, △주요기구(ITU, W3C 등) 핵심표준화 항목, △공개 표준화 항목 수요조사, △IDC, 가트너 등 선정기술
ㅇ 3~4월 : 30개 중점기술 선정 및 전담반 구성·위촉
* 분야별 미래부 CP 검토를 통해 중점기술 검토·확정(3/14~4/4), 전담반 471명 참여
ㅇ 5월~8월 : 분과별 집중 검토회의를 통해 초안 개발
* 분과별 제1~5차 회의 총 121회 개최, IITP 기술로드맵에 반영(8월)
ㅇ 9월~10월 : 산․학․연․관 표준화 전문가 의견수렴
* 미래부 실/국(8/30~9/20), TTA TC/PG(10/19~11/8)
ㅇ 11월 21일 : K-ICT 글로벌 표준화 전략 콘퍼런스 개최
* K-ICT 표준화전략맵(안) 발표회 및 ICT 포럼 코리아 2016 공동개최
□ 향후 계획
ㅇ 12월 : K-ICT 표준화전략맵 Ver.2017 및 표준화활용맵 발간, 배포
* 관계부처(국회/미래부/산업부 등), ICT 관련단체/기관, TTA 회원사 등
붙임 5
ICT 표준화 포럼 추진현황
□ 개요
ㅇ (추진배경) 사실표준의 시장 파급효과가 증대됨에 따라, 국내 대응·지원 필요
* 북미, 유럽의 ICT 기업들은 IoT, 5G 등 분야 글로벌 포럼/컨소시엄(100개) 활동 주도
ㅇ (주요 내용) 세계 사실 표준화 기구의 전략적 대응 및 국내 시장 표준화 활동 강화를 위해 ICT 표준화 포럼 선정‧지원 (‘16년 38개)
ㅇ 주요 포럼/컨소시엄(예, IEEE802, IETF 및 W3C 등)의 국내 ‘미러포럼’ 을 통한 전략 대응 및 국내 핵심기술의 국제표준화 추진
ㅇ 시장 요구(중소‧벤처기업 기술)를 반영한 국내 포럼표준 제정‧활용 유도
ㅇ 포럼 표준을 기반으로 국내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안 활동 등
* 중소‧벤처기업의 자율적 표준화 참여의 장 : 51%(870 개/1,700 개 기관회원, ‘16년)
□ 추진 체계
ㅇ 기술 정책 및 산업 융합 추세에 따라 △표준화 분야 및 대상(포럼) 선정, △활동 지원, △성과 관리 및 평가 등으로 구성됨
* 기본계획 수립(1월) → 공개 수요조사 및 정책 의견수렴(2월) → 선정회의(2월) → 협약 및 활동지원(3~12월) → 표준화 성과기반의 활동평가(차년도 1월)
ㅇ 사실표준화기구 대응 및 시장 중심의 전주기 표준화 활동을 강화를 위해 지원 체계개편(‘14년~)
특성
사실표준화기구 대응
미러포럼
전주기 맞춤포럼
인큐베이팅 포럼
표준개발 포럼
확산진흥 포럼
주요
역할
- 대응기구 전략수립
- 국내 기술의 국제 사실표준화 추진
- 최신 정보보급
- 신규 기술분야
표준연구(조사‧분석)
- 산업 활성화를 위한 대정부 정책제안
- 시장 수요기반의
포럼표준 개발
- 국내기술의 국제표준화
- 포럼표준기반의
사업화
(제품‧서비스 적용)
- 최신 정보보급
□ 주요결과
ㅇ 국내기술의 국제표준화 추진 및 포럼표준 개발
구 분
'11
'12
'13
‘14
‘15
‘16.10
지원포럼(개)
38
41
34
32
36
38
국내 포럼표준 개발(건)
242
270
224
201
222
144
국외 기고서 제출(건)
654
675
686
708
625
436
□ 2016년 ICT 표준화포럼 현황
구분
포럼명
포럼 의장
사무국
기관장
미러
포럼
HTML5융합기술포럼
박종목 이사(NHN)
HTML5융합기술포럼
홍덕기 국장
IETF미러포럼
김영한 교수(숭실대)
개방형컴퓨터통신연구회
정홍석 국장
IEEE802포럼
김윤관 교수(카톨릭대)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신수 단장
인큐
베이팅
포럼
ICT기술평가포럼
김성민 교수(한양대)
벤처기업협회
정 준 회장
5G포럼
이형희 사업총괄(SKT)
한국네트워크산업협회
이규태 부회장
퀀텀포럼
이준구 교수(KAIST)
퀀텀정보통신연구조합
김지영 국장
ICT힐링서비스포럼
백롱민 교수(서울대)
웰니스IT협회
노영희 회장
3D프린팅창의융합표준화포럼
신홍현 이사장 (3D프린팅연구조합)
3D프린팅연구조합
신홍현 이사장
홀로그램포럼
이승현 교수(광운대)
3차원방송영상학회
강순도 회장
실감형혼합현실기술포럼
서동일 이사 (볼레크리에티브)
차세대융합콘텐츠산업협회
이정희 국장
표준
개발
포럼
차세대방송표준포럼
김용한 교수(서울시립대)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윤재중 국장
MPEG포럼
안치득 소장(ETRI)
개방형컴퓨터통신연구회
정홍석 국장
사물인터넷포럼
안성준 전무(LG U+)
한국사물인터넷협회
노영규 부회장
클라우드컴퓨팅표준화포럼
황일선 단장(KISTI)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
민영기 국장
임베디드SW기술포럼
한동원 소장(ETRI)
한국정보산업연합회
박우건 부회장
e-Navigation대응전략포럼
최인준 상무(삼영이엔씨)
한국선박전자산업진흥협회
모수종 국장
멀티스크린서비스 포럼
이인찬 이사(SKB)
한국통신학회
이재호 국장
사용자인터페이스표준화포럼
한동원 소장(ETRI)
한국컴퓨팅산업협회
김진택 국장
빅데이터포럼
장동현 대표이사(SKT)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정용환 부회장
스마트융합가전포럼
도영수 전무(삼성전자)
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
최상만 본부장
소셜커뮤니케이션표준화포럼
한민규 교수(한성대)
오픈소스진흥협회
박형배 국장
모바일콘텐츠표준화포럼
김원 교수(가천대)
차세대융합콘텐츠산업협회
이정희 국장
농식품ICT융합표준포럼
홍경표 소장(KT)
개방형컴퓨터통신연구회
정홍석 국장
SDN/NFV포럼
이동면 원장(KT융합기술원)
한국네트워크산업협회
이규태 부회장
사회안전시스템포럼
조동호 교수(KAIST)
한국통신학회
이재호 국장
스마트의료보안포럼
한근희 교수(고려대)
스마트의료보안포럼
한근희 교수
오픈소스표준화포럼
박형배 국장 (오픈소스진흥협회)
오픈소스진흥협회
박형배 국장
산업융합네트워크포럼
류정동 책임(ETRI)
개방형컴퓨터통신연구회
정홍석 국장
한국미래케이블포럼
박승권 교수(한양대)
한국미래케이블포럼
박승권 교수
지능정보기술포럼
최진성 CTO(SKT)
한국컴퓨팅산업협회
김진택 국장
HPC포럼
김성호 센터장(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선화 원장
한국FIDO산업포럼
박춘식 교수(서울여대)
한국FIDO산업포럼
박춘식 교수
개인정보보호표준포럼
염흥렬 교수(순천향대)
정보보안국제협력센터
정길원 국장
스마트로봇표준포럼
신경철 대표이사(유진로봇)
한국로봇산업협회
양효식 부회장
확산
포럼
코리아NFC표준화포럼
주용완 단장(KISA)
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
박성용 부회장
한국무선전력전송포럼
김남 교수(충북대)
한국전파진흥협회
강철희 부회장
ICT DIY 포럼
손승원 연구위원(ETRI)
한국사물인터넷협회
노영규 부회장
SW공학기술표준화포럼
박지환 대표이사(씽크포비엘)
소프트웨어공학네트워크
조경휘 이사장
붙임 6
우수 ICT 표준화 포럼 및 전략맵 수상자 명단
□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상
포럼명
의장
포럼 소개
IEEE802포럼
김윤관 교수
(카톨릭대)
- 목적 : 무선LAN/PAN 분야 글로벌 사실표준화기구인 IEEE802 전략대응 및 최신기술 정보보급
- 설립연월 : 2015.6
- 조직구성 : 총회, 운영위, 3개 분과로 구성(WLAN, WPAN, 신기술 분과)
* 수상이유 : 무선 데이터 통신기술(WLAN/WPAN) 분야 국내 기술의 국제표준화 적극 추진
SDN/NFV포럼
이동면 원장
(KT 종합기술원)
- 목적 : 차세대네트워크(SDN/NVF) 기술의 국내외 표준화를 통해 관련산업 활성화를 유도
- 설립연월 : 2014.10
- 조직구성 : 총회, 운영위, 4개 분과로 구성(기술표준, 정책, 대외협력, 서비스PoC 분과)
* 수상이유 : SDN/NFV 기술 관련 표준 제정 및 국내 산업 활성화 기반 마련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전략맵 공로패
성 명
약 력
정원식
- 現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파영상재현연구실장(2000.5~)
- 現 차세대방송표준포럼 3DTV분과위원회 위원장
* 수상이유 : 표준화전략맵 실감방송 중점기술 분과장으로 현황분석에 따른 신규 표준화항목을 중점 발굴하여 전략을 수립에 기여
장대익
- 現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휴대방송통신연구실장(1990.2~)
- 現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이동통신 및 디지털방송공학 전공책임교수(2005.3~)
-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초빙교수(2011.6~2012.6)
* 수상이유 : 표준화전략맵 위성/무인기ICT 중점기술 분과장으로 국제표준을 선도할 수 있는 차세대공략 항목 발굴에 기여
이태진
- 現 한국인터넷진흥원 보안기술R&D팀장(2003.1~)
- 악성코드 탐지/분석기술 개발(국가R&D 100대 기술 선정)
- VoIP 보안기술 및 DDos 대응기술 개발
* 수상이유 : 표준화전략맵 네트워크/디바이스 보안 중점기술 분과장으로 융합보안기술에 대한 전략을 수립하여 기반 마련
*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인터넷전화
*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attack) : 분산서비스거부공격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반, 클라우드로 만들어 갈 미래 논의의 장 열린다- 2016 그랜드 클라우드 컨퍼런스 개최 (0) | 2016.11.22 |
---|---|
전파정보 포털「K-ICT 스펙트럼 Map」서비스 개시- 주파수, 무선국 등 원하는 전파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0) | 2016.11.22 |
ITU텔레콤월드 2016 개최 (0) | 2016.11.22 |
2016 전파방송진흥주간 개최 (0) | 2016.11.22 |
日, 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기업들의 생존전략은?[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및 기타 해외동향 (0) | 2016.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