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진천에 미래형 친환경에너지타운 준공-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으로 환경과 에너지문제 동시에 해결
작성일 : 2016. 11. 22. 원천기술과
미래부, 진천에 미래형 친환경에너지타운 준공
-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으로 환경과 에너지문제 동시에 해결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11월 21일, 충청북도 진천에서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 준공식을 개최하였다.
ㅇ 친환경에너지타운은 하수처리장 등 기피‧혐오시설 부지를 활용해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판매하여 주민 생활환경 개선과 에너지 공급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사업으로, 파리 기후협약 발효(’16.11.4)에 따른 신(新)기후체제* 대응 및 신(新)기후산업 창출을 위한 정부의 핵심전략 중 하나이다.
* 2020년 만료 예정인 교토의정서(선진국 중심의 감축 합의문) 이후를 대비한 기후변화대응 체제로 유엔기후변화협정(UNFCCC) 모든(197개) 당사국 참여
ㅇ 진천은 2014년 5월, 3개 친환경에너지타운 시범지역* 중 하나로 선정 되었으며, 미래부에서 총 105억원**을 투자하는 등 총 135억원의 사업비가 2018년까지 투입될 예정으로, 지난 2015년 6월 착공식을 가진 이래 차질없이 추진되어 이번에 준공식을 개최하게 되었다.
* (미래부) 충북 진천, (환경부) 강원 홍천(’15.12월 준공), (산업부) 광주광역시
** (’15) 51억원 → (’16) 40억원 → (’17) 7억원 → (’18) 7억원
□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은 다른 지역의 친환경에너지타운과는 달리 도심 지역에 적용 가능한 모델로서, 72,000㎡ 규모의 부지에 태양광, 태양열, 지열, 하수폐열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들을 융‧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어린이집․고등학교․보건지소․도서관․문화의집․체육공원 등 인근 시설에서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미래형 에너지 커뮤니티로 구축되었다.
ㅇ 태양전지와 연료전지를 일조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기 생산에 활용하고, 태양열, 지열, 하수폐열 등 다양한 에너지원을 활용하여 냉‧난방 및 온수에 필요한 에너지를 융‧복합적으로 생산하게 되었다.
ㅇ 특히, 우리나라 계절 변화에 따른 에너지 수요 변동에 부합하여, 봄부터 가을까지 남는 열에너지를 모았다가 겨울철에 별도의 요금 부담없이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계간(季間) 축열식 열공급 기술*을 국내 최초로 적용하였다.
* 계간축열조 내 4,000톤(20m×20m×10m)의 온수를 저장, 여름부터 겨울까지 열손실을 30% 미만으로 제한하여 겨울에도 55℃ 이상의 온수 사용 가능
ㅇ 신재생에너지 생산‧활용으로 연간 약 3억 2천만 원의 경제적 수익이 창출되고, 또한 연간 중형차 360대의 배출량에 해당하는 약 720톤의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해졌다.
□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은 신재생에너지 기술 활용 뿐만 아니라 문화․관광 등 주민 수익모델을 가미하여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ㅇ 첫째, 준공 후 2년간 실증 운영(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17~’18)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활용 기술의 표준화 및 산업화 모델을 개발, 비즈니스 모델로 육성하여 전국에 확산할 계획이다.
ㅇ 둘째, 인근 충북․충남․대전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태양광, 태양열, 연료전지, 지열 및 계간축열조 등 다양한 친환경에너지 융‧복합 활용기술에 대한 ‘기술이전’, ‘전문기업 육성’ 및 ‘벤처 창업’을 전략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ㅇ 셋째, 실증단지를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수익금으로 실증단지 내 주민 편의시설을 확충하는 등 지역의 에너지산업, 관광, 교육의 랜드마크로 운영할 예정이다.
□ 이날 준공식에는 미래부 장관, 충북도 부지사, 진천군수 및 유관기관 등 200여명이 참석하여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 준공을 축하하고 홍보관․통합제어관리실 등 관련 시설물을 둘러보았다.
ㅇ 또한,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 구축에 공로가 큰 지자체․유관기관 관계자에게 총 10점의 장관표창을 수여하는 등 유공자에 대한 격려도 아끼지 않았다.
□ 최양희 장관은 격려사를 통해 “파리 기후협정 발효에 따라 국내 온실가스 감축 부담이 현실화 된 시점에, 기술혁신을 통해 감축 부담을 완화하는 동시에, 신시장 창출을 가속화해야한다.”며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이 준공 이후 실증운영을 거쳐 비즈니스 모델화되어, 대한민국 新기후산업 창출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게 되기를 희망한다.”라고 밝혔다.
붙임 : 1.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 준공식 개최 계획 1부.2.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 개요 1부.
3. 부처별 친환경에너지타운 개요 1부.
붙임1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 준공식 개최 계획
□ 주 최 : 미래창조과학부‧진천군(주관 : 한국연구재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일 시 : 2016년 11월 21일(월), 15:00~
□ 장 소 :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충북 진천군 두촌리)
□ 행사규모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포함 약 200여명
□ 행사주제(슬로건)
슬로건 :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으로 환경과 에너지문제 동시에 해결!
□ 주요 행사일정
구 분
시 간
내 용
비 고
준
공
식
1부
15:00∼15:05 ( 5')
개식선언
사회자
국민의례
주요내빈 소개
15:05∼15:10 ( 5')
환영사
진천군수
15:10∼15:15 ( 5')
축 사
충북도 부지사
15:15∼15:20 ( 5')
사업경과 보고
에기연 원장
2부
15:20∼15:30 (10')
장관포상
미래부 장관
15:30∼15:35 ( 5')
에기연-창조경제혁신센터* 등 LoI 체결식
* 충북‧충남‧대전 3개소
에기연 원장, 창조경제혁신센터장
15:35∼15:40 ( 5')
축 사
미래부 장관
15:40∼15:45 ( 5')
테이프 커팅
주요 내빈
붙임2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 개요
□ 사업개요
ㅇ (사업목적) 미래창조과학부‧지자체(진천) 공동으로 수질복원센터를 연계하여 에너지(전기, 열) 자립형 실증단지 구축
※ 생산된 에너지는 친환경에너지타운 내 도서관, 어린이집, 보건지소, 석장고교 등 6개 공공건물에 공급 예정
ㅇ (위치/면적) 충북혁신도시(덕산면 두촌리 일대) / 72,000㎡
ㅇ (예산/기간) 135억원 / 4년(’15년~’18년)
< 추 진 경 과 >
?’14. 5.21. 시범사업 대상지역 선정
* 미래부(진천, 도심型), 환경부(홍천, 농촌型, 완공), 산업부(광주, 매립지型)
?’15. 6. 3.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 착공식 개최
?’16.11.21.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 준공식 개최
□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 의미와 가치
① 국내 최초로 다양한 ‘신재생 에너지* 융‧복합’ 기술을 활용하여 에너지 수요를 자체적으로 충당하는 미래형 에너지 단지 구축
* 태양열, 연료전지, 지열, 하수폐열, 태양광, 연료전지
② 우리나라 계절별 에너지 수요변화*에 적합한 ‘계간(季間) 축열식 열 공급기술**’을 국내 최초로 적용
* (여름) 난방, 온수 수요 감소, (겨울) 난방, 온수 수요 증대
** 봄부터 가을까지 남는 열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겨울철에 공급하는 기술
③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지역‧공간 특성에 부합하는 ‘자립형 에너지 공급’ 솔루션*을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 창출
* 신재생 에너지원에 기반한 열, 전기 생산 모듈화 및 최적 운영기술
□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활용 기술 개요
ㅇ 친환경에너지 설비의 종류 및 용량
- (열) 태양열, 히트펌프(하수열, 지열), 연료전지를 활용하여 열을 생산하고, 계간축열조*를 활용하여 수요 맞춤형으로 열을 공급
* 봄부터 가을까지 남는 열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겨울철에 공급하는 기술
- (전기) 낮에는 태양광, 밤에는 연료전지를 활용하여 전기 공급
구 분
에너지원
주 요 내 용
설치용량
에너지
생산량
공공건물
소비량
열
에너지
태양열을 활용하여 집열기를 통해 열에너지 생산
1,600㎡
580㎿h
780㎿h
지중에너지 추출 및 열펌프와 연계하여 냉‧난방 에너지 생산
525㎾
190㎿h
수질복원센터의 하수열로부터 에너지를 추출 및 열펌프와 연계하여 냉‧난방 에너지 생산
열+전기
에너지
천연가스 등의 수소를 공기 중 산소와 반응시켜 열에너지 및 전기에너지 생산
10㎾
114㎿h
(열 64,
전기 50)
900㎿h
전기
에너지
태양광을 활용하여 태양전지를 통해 전기에너지 생산
750㎾
958㎿h
< 에너지원별 수요-공급량 >
※ 히트펌프 시스템은 동절기 3개월 동안 총 62일, 일일 5시간 운전 가정
※ 연료전지 시스템은 태양광 발전이 어려운 시간인 14시간/일 운전 가정
□ 지역 경제‧사회적 기대효과
ㅇ 연간 신재생에너지 수익효과 : 약 3.2억원(매전 약 2.3억원, 절감 약 0.9억원)
※ 전기에너지 발전수익 : 2.4억원(태양광 2.27억원(매전), 연료전지 0.17억원)
※ 열원설비를 통한 도시가스 절감 수익 : 약 0.8억원(태양열 0.53억원, 히트펌프 0.17억원, 연료전지 0.06억원)
ㅇ 연간 온실가스 감축효과 : 약 720톤
※ 중형승용차 약 360대 배기량, 소나무(30년산) 약 11만 그루의 정화효과이며, 2030년까지 약 10,000톤 감축 예상
ㅇ 친환경에너지타운에 대한 공감대 확산 및 주민 수용성 증대
※ 기피․혐오시설(하수처리장)의 기존 인식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수익 창출 수단으로 인식 전환
붙임3
부처별 친환경에너지타운 개요
구 분
미래부
(충북 진천)
환경부
(강원 홍천)
산업부
(광주)
위 치
충북 진천․음성 혁신도시 일원
강원 홍천군 북방면 소매곡리 일원
광주 북구 운정동 산 104번지 일원
면 적
72,000㎡
7,665,903㎡
279,208㎡
사업기간
4년(’15∼’18)
2년(’15∼’16)
* ’15.12월 완공
2년(’15∼’16)
총사업비
135억원
(국비 105, 지자체 30)
130억원
(국비 60, 지자체 60,
민간(SK) 10)
223억원
(국비 8, 지자체 7,
융자 189, 민자 19)
사업내용
< 전기 및 열에너지 생산 >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시스템 개발(연구)․설치 및 실증
< 전기 및 퇴비 생산 >
바이오 연료와 퇴비 생산시설 설치
< 전기생산 >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
에너지원
여러 신재생에너지간 융복합
(태양광, 태양열, 연료전지, 계간축열, 하수폐열, 지열 등 6개)
단일 에너지원
(가축분뇨 → 바이오에너지)
단일 에너지원
(태양전지)
향후적용
가능지역
신규 계획도시 및 아파트 단지
바이오자원이 풍부한
농촌 지역
대규모 유휴부지
지역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년도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선정결과 공고 (0) | 2016.11.22 |
---|---|
2016년도 바이오 의료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선정결과 공고 (0) | 2016.11.22 |
빅데이터로 소비동향 한 달 빨리 파악- 미래부-통계청, 신한카드 빅데이터 기반 소비동향 예측 시스템 구축 협력 (0) | 2016.11.22 |
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 활성화 방안 논의-제34차 ICT 정책해우소 개최 (0) | 2016.11.22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여는 ICT 응용 신산업: 경쟁력 진단과 인도 활용전략ㅔKOTRA 심층보고서] (0) | 2016.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