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성공적인 5G 전략 추진을 위한 글로벌 협력 장 마련- 제3차 5G 글로벌서밋(Global Summit) 개최(10.26)

하이거 2016. 10. 28. 19:54

성공적인 5G 전략 추진을 위한 글로벌 협력 장 마련- 35G 글로벌서밋(Global Summit) 개최(10.26)

 

작성일 : 2016. 10. 28. 정보통신방송기술정책과

 

 






성공적인 5G 전략 추진을 위한 글로벌 협력 장 마련
- 제3차 5G 글로벌서밋(Global Summit) 개최(10.26) -


□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인 5세대 이동통신(이하 5G)의 최신 동향을 공유하고 글로벌 협력과 발전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세계 각국의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5세대 이동통신(이하 5G)의 성공적인 전략 추진과 국제협력 강화를 위해 최재유 차관 주재로 2016년 10월 26일(수) 오전 10시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제3차 5G 글로벌서밋’을 개최하였다.

  ㅇ 5G 글로벌 서밋은 주요국의 5G 준비현황을 공유하고 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국제협력의 장(場)으로, 10여개국 산․학․연 전문가 300여명이 참석하였다.
    * 제1차(‘14.10월, 부산), 제2차(’15.12월, 서울)

□ 이번 행사에는 국내․외 이동통신사업자, 제조사, 대학을 비롯해 아시아-태평양 지역(베트남, 대만,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터키) 정부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5G 및 ICT 융합산업 분야 최신동향 및  향후 추진방향에 대한 주제 발표와 열띤 토론을 이어갔다.
  ㅇ 세션1에서는 국내 주요 통신사업자의 5G 비전이 발표되었으며, ‘초연결사회와 5G’ 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하였다.

  ㅇ 이어서, 세션2에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베트남, 대만, 말레이아, 인도네시아, 터키)의 이동통신 현황 및 5G 도입방안 등을 발표하였다.

  ㅇ 세션3에서는 ‘민간의 5G 융합서비스 실현계획’을 주제로 자동차, 에너지, 의료기기, 제조, 빅데이터, IoT 생태계 확산 등 5G와 타 산업의 융합서비스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 아울러, 앞서 개최된 ‘제5차 5G 전략추진위원회’에서는 국내 이통사, 제조사, 중소기업, 5G포럼 대표 등 산·학·연·관의 전문가 18명이 참석하여 민‧관의 5G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향후계획 등을 논의하였다.

  ㅇ 5G 국제표준화 적시 대응을 위해 표준화 관련 주요 일정 및 ITU, 3GPP 기술 성능 요구사항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였다.
    * 주요일정 : (ITU) 5G 후보기술 접수(‘17.10월), 평가(’19년), 표준승인(‘20년), (3GPP) 5G 1단계 규격 완료(’18.6월), 5G 2단계 규격 완료(‘19.12월)

  ㅇ 또한, 5G 산업 경쟁력 강화 및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개방형 5G 테스트베드 구축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 미래부 최재유 차관은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인 5G 이동통신의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국내․외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히면서,

  ㅇ “향후 ‘18년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선보이는 5G 시범서비스를 기반으로, 우리나라가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산․학․연․관 모두가 힘을 모아줄 것을 당부드린다”고 강조하였다.



붙임1

 제3차 5G 글로벌 서밋 개요


□ 추진배경

 ㅇ 5G 기술은 ICT 산업과 타 산업을 혁신할 수 있는 창조경제의 핵심 인프라로써 기술 표준화, 주파수 등의 글로벌 협력이 중요

□ 개 요

 ㅇ (목적) 미래 이동통신(5G) 준비현황 및 이슈 등 현안 논의를 주도하고 우리나라와 주요 국가, 단체 간 국제협력의 場으로 활용

   * 주요국 5G 국제행사 : (미국) 5G Forum USA 2016(‘16.4월), (유럽) The 5G Observatory 2016(‘16.3월), (중국) The 1St Global 5G Event(’16.5월) 등

 ㅇ (주최 / 주관) 미래창조과학부 / 5G포럼, 기가코리아사업단

    * 미래부에서 주최하는 5G 분야 관련 유일한 행사로 국제협력 및 정보를 공유하여 협력체계의 틀 마련

 ㅇ (참석자) 5G 관련 국내외 산․학․연 전문가 등 약 300명

    * (해외) 에릭슨 부사장, 베트남 과기부 국장, 말레이시아 통신사 협회장, 대만 ITRI 통신연구소장, 인도네시아 5G포럼 의장, 터키 통신사 사장 등 약 30명

 ㅇ (주요내용) 국내외 5G 및 ICT 융합산업 분야 최신동향 공유

   ① (세션1) 기조연설 : 통신사의 5G 비전(SKT), 초연결사회와 5G(에릭슨)

   ② (세션2) 아시아·태평양 시장에서의 5G 도입방안
      * 베트남(과기부 부국장), 대만(ITRI 통신연구소장), 말레이시아(통신사 협회장), 인도네시아(5G포럼 의장), 터키(통신사 사장)

   ③ (세션3) 민간의 5G 융합서비스 실현계획
      * 자동차(HERE; 지도서비스기업), 에너지(한전), 의료기기(삼성전자), 제조(SK C&C), 빅데이터(NHN), IoT생태계확산(KT)

붙임2

 제3차 5G 글로벌 서밋 세부프로그램(안)


구분
주요내용
(세션1) 기조연설 (10:00~10:40, 40분)
좌장 : 정현규 ETRI 본부장
(5G포럼 부집행위원장)

10:00~10:20(20분)
- 통신사의 5G 비전(SKT)
박진효
(SKT 네트워크기술연구원 상무)

10:20~10:40(20분)
- 초연결사회와 5G
노렌 토마스
(에릭슨 네트워크사업부 부사장)
개막식 (10:40~11:10, 30분)
좌장 : 정현규 ETRI 본부장
(5G포럼 운영위원장)

10:40~10:45(5분)
- 개회사
한영남
(5G포럼 운영위원장)

10:45~10:50(5분)
- 환영사
최재유
(미래창조과학부 2차관)

10:50~10:55(5분)
- 축사
이상훈
(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

10:55~11:10(15분)
- 휴식
(세션2) 아시아․태평양 시장에서의 5G 도입방안
(11:10~14:10, 180분)
좌장 : 김영준 에릭슨LG 전무
(5G포럼 부집행위원장)

11:10~11:30(20분)
- 5G R&D 현황(베트남)
CHIEN, Dao Ngoc
(과학기술부 첨단기술국장)

11:30~11:50(20분)
- 5G 시스템을 위한 mmWave
  기술 개발(대만)
CHOU, Sheng Lin
(ITRI 이동통신연구소장)

11:50~12:10(20분)
- 5G 추진계획 및 현황(말레이시아)
RAHMAN, Tharek Abd
(5G 통신사 협회장)

12:10~13:30(80분)
- 오찬

13:30~13:50(20분)
- 5G와 IoT (인도네시아)
JAROT, Sigit
(5G포럼 의장)

13:50~14:10(20분)
- 5G 비전과 통신사(터크셀)의
  역할(터키)
AYKUT, Mustafa
(통신사 터크셀 실장)
(세션3) 민간의 5G 융합서비스 실현계획
(14:10~16:30, 140분)
좌장 : 김동구 연세대 교수
(5G포럼 부집행위원장)

14:10~14:30(20분)
- (자동차) 자율주행차를 위한 HD
  라이브 지도
차승용
(HERE 국제담당 상무)

14:30~14:50(20분)
- (에너지) 셀룰러 기반의 통합
  에너지 운영 시스템 
최태일
(한국전력공사 상무)

14:50~15:10(20분)
- (의료) 5G 시대의 모바일 의료
최영
(삼성전자 의료기기사업부 상무)

15:10~15:30(20분)
- 휴식

15:30~15:50(20분)
- (제조) 5G와 Industry4.0
임종우
(SK C&C 스마트팩토리사업팀장)

15:50~16:10(20분)
- (빅데이터) 빅데이터 산업의 발전방향
김유원
(NHN 엔터테인먼트 실장)

16:10~16:30(20분)
- (IoT생태계) IoT 생태계의 변화
백송훈
(KT 융합기술원 상무)
(패널세션) 토론 (16:30~17:30, 60분)
좌장 : 박용완 영남대 교수
(5G포럼 생태계위원회 위원장)

16:30~17:30(60분)
- 주제 : 5G 융합 생태계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