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 낚는 낚시는 옛말, 이제 특허기술로 낚시한다!-국내 강태공들의 특허출원 증가가 낚시용품 특허출원 견인
담당부서 식품생물자원심사과작성일 2021-04-12
세월 낚는 낚시는 옛말, 이제 특허기술로 낚시한다!
- 국내 강태공들의 특허출원 증가가 낚시용품 특허출원 견인 -"
"□ 최근 주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른 여가시간 증가, 낚시 예능 프로 그램의 인기, 코로나19 세계적 유행으로 국내에서 비대면 활동을 즐기려는 심리 등으로 인해 낚시의 인기가 커지고 있다. [붙임 1]
□ 특허청(청장 김용래)에 따르면, 낚시용품 관련 특허출원은 ’11~’17년 에는 300여건 미만에 머무른바 있으나, ’18년 303건 ’19년 332건, ’20년 에는 382건으로 꾸준하게 특허출원이 이어지고 있다. [붙임 2]
ㅇ ’18년, ’19년에는 ’17년 시작된 낚시 예능 프로그램의 인기가, ’20년 에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스포츠인 낚시의 인기 상승이 출원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 기술 분야별로 국내 출원동향을 살펴보면(‘11년~’20년), 낚시채비가 1,235건으로 가장 많고, 낚시릴 531건, 부속장비 462건, 받침도구 410건, 낚싯대 227건, 게임 완구 85건 순으로 조사됐다.
ㅇ 특히, 낚시추와 연결구에 관한 특허출원은 ’18년에 비해 ’20년에 각각 157.1%, 116.7% 증가하였는데, 이는 최근 낚시로 인한 환경 오염을 줄이기 위하여 친환경 소재, 걸림 엉킴 방지, 위치 추적
기술 등이 접목된 관련 출원이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ㅇ 반면 낚시찌에 관한 특허출원은 ’18년에 비해 ’20년에 46.0% 감소 했는데, 한자리에 오래 머물러 고기를 낚는 찌낚시 대신, 활동성이 많은 루어낚시가 인기를 얻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ㅇ 자동 챔질 흔들기, 원격 제어,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입질을 감지하는 낚시장치 등 자동/지능형 낚시용품도 102건 출원되어, 바쁜 현대인들이 빠르고 간편하게 낚시를 즐기고자 하는 욕구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 출원인별로 살펴보면, 국내개인 67.8%, 외국기업 16.9%, 국내기업 13.0%,
국내대학/연구기관 1.8%, 외국개인 0.5% 순으로 나타났다.
ㅇ 특허청 전체의 특허출원 중 국내개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평균 19.8%인 점에 비추어 볼 때(‘17~’20년), 낚시용품 분야에서 국내개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ㅇ 특히, 국내개인의 낚시용품 특허출원은 ’17년 155건에서 ’20년 282 건으로 81.9% 증가하여, 국내개인들이 낚시용품 특허출원 상승률을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 특허청 식품생물자원심사과 이윤아 심사관은 “국내제품의 경쟁력 제고와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라며, “관련 분야 지식재산의 기술이전이나 사업화 촉진을 통해 국내 낚시 용품 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되기를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 붙임 : 낚시 관련 산업 현황 등"
붙임 1 낚시 관련 산업 현황
"< 출처 : 해양수산부 제2차 낚시진흥 기본계획안, 2020.02.>
□ 낚시인구 및 전망"
□ 낚시어선 이용객
붙임 2 낚시용품 관련 국내 특허출원 동향
□ 최근 10년간 낚시용품 전체 특허출원 동향(‘11~’20)
(단위: 건(%))
연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합계
특허출원 270 280 280 297 273 271 262 303 332 382 2,950
(9.2) (9.5) (9.5) (10.1) (9.2) (9.2) (8.9) (10.3) (1 .2) (12.9) (10 .0)
<연도별 낚시용품 특허출원 건수>
□ 낚시용품 기술분야별 국내 특허출원 동향 (단위: 건)
"연도
기술분야"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합계 점유율
낚 시 채 비 낚시찌 47 30 45 24 37 29 31 50 33 27 353 12.0%
미끼 25 24 18 29 39 36 40 34 43 57 345 11.7%
낚시추 22 25 34 24 26 22 10 14 24 36 237 8.0%
연결구 9 22 13 17 18 14 13 18 25 39 188 6.4%
낚싯바늘 7 15 11 6 17 7 5 5 8 8 89 3.0%
낚시줄 3 2 3 0 4 1 2 5 3 0 23 0.7%
낚시릴 23 34 46 80 42 54 67 75 67 43 531 18.0%
부속장비 51 53 41 49 30 47 38 35 48 70 462 15.7%
받침도구 50 49 34 34 31 31 41 40 40 60 410 13.9%
낚싯대 26 21 28 26 19 22 10 20 23 32 227 7.7%
게임・완구 7 5 7 8 10 8 5 7 18 10 85 2.9%
합계 270 280 280 297 273 271 262 303 332 382 2,950 100.0%
<낚시용품 기술분야별 국내 특허출원 동향>
□ 자동/지능형 낚시용품 특허출원 동향 (단위: 건(%))
연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합계
특허출원 9 2 8 8 13 9 13 15 16 9 102
(8.8) (2.0) (7.8) (7.8) (12.8) (8.8) (12.8) (14.7) (15.7) (8.8) (100.0)
<자동/지능형 낚시용품 특허출원 동향>
□ 출원인 유형별 특허출원 현황 (단위: 건)
"연도
출원인"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합계 점유율
내 국 인 국내개인 212 199 185 171 194 171 155 195 236 282 2,000 67.8%
국내기업 26 45 35 41 35 43 43 32 31 51 382 13.0%
대학/연구기관 4 14 6 1 2 4 4 3 8 8 54 1.8%
"외 국
인" 외국기업 27 21 53 83 42 48 57 72 55 40 498 16.9%
외국개인 1 1 1 1 0 5 3 1 2 1 16 0.5%
합계 270 280 280 297 273 271 262 303 332 382 2,950 100.0%
붙임 3 최근 특허 등록 사례
"(스마트폰을 이용한 환경적응형 낚시 장치 및 그 낚시 방법)은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낚시대 및 낚 시줄의 움직임에 대한 디지털정보를 생성하여 스 마트폰을 이용해 분석함으로써 물고기의 움직임 을 정확히 감지하고 물고기의 입질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낚시 장치이다.
출처: 특허등록(등록특허공보 제10-2108767호) 등록일: 2020년 5월 1일"
"(낚싯대 자동챔받침대)는 물고기가 낚싯줄을 잡아 당기면 자동적으로 낚싯대를 들어올려서 챔질한 상태로 버티고 있으므로 낚싯대를 잃어버릴 일이 없고 초보자라도 쉽게 낚시할 수 있게 도와주는 낚싯대 받침대이다.
출처: 실용신안등록(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1569호) 등록일: 2020년 4월 22일"
"(친환경 낚시 추)는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 기 위해 하우징은 내부식성을 갖는 알루미늄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수용되는 무게 구성 단위는 석 재로 이루어지며, 석재를 넣는 만큼 무게조절이 가 능한 낚시용 추이다.
출처: 특허등록(등록특허공보 제10-2156114호)
등록일: 2020년 9월 9일"
"(스마트폰과 전자 케미의 연동 시스템)은 스마트 폰을 통해 일몰과 일출 시간에 찌와 결합된 전자 케미의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밝기를 조절할 수 있 고, 입질이 오면 스마트폰으로 신호를 알려주는 연 동 시스템이다.
출처: 특허등록(등록특허공보 제10-2133508호)
등록일: 2020년 7월 7일"
"(수중 드론을 이용한 낚시 시스템)은 사용자가 수중 드론의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면서 수중 드론의 동작을 제어하여 직접 대상 어종을 잡거나, 챔질까지 모든 과정을 인공지능으로 제어하여 자동으로 낚시를 할 수 있 게 해주는 낚시 시스템이다.
출처: 특허등록(등록특허공보 제10-2215117호) 등록일: 2021년 2월 4일"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4.12., 정례브리핑) (0) | 2021.04.12 |
---|---|
제2차 첨단재생의료실시기관 지정 신청- 종합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대상으로 4월 13일부터 4월 30일까지 신청·접수 (0) | 2021.04.12 |
장수상표를 활용한 이색 협업(콜라보)상품이 뜬다-새로운 상품에 손이 가게 하는 익숙한 상표의 힘 (0) | 2021.04.12 |
산업부,『무역과 환경』이슈 대응을 위한 민관 간담회 개최-주요국의 탄소국경제도 도입 동향 및 대응방향 논의 (0) | 2021.04.12 |
글로벌 밸류체인(GVC)에 진입할 우수 소부장 기업 모집-‘산업기술국제협력 글로벌수요연계형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의 ‘21년도 상반기 신규 지원과제 공고 (0) | 2021.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