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우수한 이공계 ‘두뇌’들이 해외로 유출돼 국가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스위스 국제
경영개발연구원(IMD)은 지난해 한국의 ‘두뇌유출(Brain Drain) 지수’가 4.63으로 조사대상 60개국 중 37위를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두뇌유출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고국을 떠나 해외에서 근무하는 인재가 많아 국가경제 피해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10에 가까울수록 인재가 대부분 고국에서 활동하면서 국가 경제에 도움을 주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지난해 기준으로 조사 대상 60개국 중 두뇌유출이 가장 적은 국가는 노르웨이로 8.04를 기록했고 스위스(7.6)와 스웨덴(7.51), 핀란드(7.28) 등이 뒤를 이었다. 5위는
미국(7.11)이다. 두뇌유출이 가장 심각한 국가는 불가리아(1.68)로 나타났다. 러시아(2.51)가 56위, 폴란드(2.33) 57위, 헝가리(2.31)와 베네수엘라(1.83)가 각각 58위와 59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2011년에는 59개국 중 44위(3.68), 2012년에는 59개국 중 49위(3.40)를 차지했다.
해외로 유출되는 두뇌들은 주로 이공계 분야의 인재들이다. 이 때문에 연구·개발(R&D)
투자 규모가 세계 최상위권을 기록하고 있는 한국에서 이공계 인재들이 해외로 유출된다는 조사결과는 다소 의외라는
평가다.
우수 인력들의 해외유출은 고급 인재들을 유인해 국내에 정착시킬 수 있는 연구 환경이 열악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한국과학
기술기획평가원이 최근 국내 이공계 박사 147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37.2%가 해외 취업을 희망하고 있고, 그 이유로 ‘부족한 연구 환경(52.3%)’을 꼽았다.
임대환 기자 hwan91@munh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