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 자율주행 단계(레벨)4+ 기술개발 본격 착수!-‘27년 융합형 단계(레벨) 4+ 자율주행차 상용화 기반 박차

하이거 2021. 6. 27. 15:02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 자율주행 단계(레벨)4+ 기술개발 본격 착수!-‘27년 융합형 단계(레벨) 4+ 자율주행차 상용화 기반 박차

작성일 2021-06-27 부서 디지털포용정책팀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 자율주행 단계(레벨)4+ 기술개발 본격 착수!

‘27년 융합형 단계(레벨) 4+ 자율주행차 상용화 기반 박차 -

정부, 7년간 1조 974억원 지원, 373개 연구기관 3474명 연구원 참여 -

 

□ (재)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사업단장 최진우, 이하 사업단)은 지난 6.17일 53개 세부과제(2021년 정부예산 850.4억원)에 대한 착수보고를 완료하고 안전하고 완벽한 자율주행이 가능한 단계(레벨)4+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ㅇ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경찰청 등 4개 부처가 추진하는 다부처 협업사업으로 7년간 총사업비 1조 974억원을 투입하여 진행하는 사업이다.

 

ㅇ 본 사업은 사업단과 각 부처 연구개발 전문기관(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과학치안진흥센터)이 공동관리하며 융합형 단계(레벨)4+ 자율주행 상용화 기반 완성을 목표로 ❶차량융합 신기술, ❷정보통신기술융합 신기술, ❸도로교통융합 신기술, ❹서비스창출 및 ❺생태계 구축 등 5대 전략분야를 중심으로 88개 세부과제를 지원한다.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부처별 역할 분담

 

◇ (산업통상자원부) 차량융합 신기술, 융합플랫폼, 표준개발 등 생태계 구축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기술융합 신기술,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데이터 분석, 통신·보안 등

 

◇ (국토교통부)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서비스, 법/제도 개선, 실증

 

◇ (경찰청) 자율주행차 운전능력평가 체계, 교통사고 분석기술 등

 

◇ 자율주행 서비스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해 다부처 협력

 

 

□ 올해 선정된 53개 세부과제에는 총 373개 자율주행 관련 기관의 석·박사 1,524명을 포함, 3,474명의 연구인력이 참여하여 레벨4+ 상용화 연구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ㅇ 산업통상자원부는 차량융합 신기술 개발과 자율주행 생태계 구축 등 2개 전략분야, 16개 세부과제에서 현대모비스㈜, ㈜만도, ㈜서울로보틱스, 한국자동차연구원, 한국표준협회, 한국과학기술원(K인공지능ST) 등 중소·중견기업 54개, 대기업 8개, 국책연구기관 21개, 대학 11개 등 총 104개의 기관에 석·박사 341명을 포함, 799명의 연구인력이 참여하여 자율주행 차량의 인지·판단·제어를 위한 자율주행 차량부품 개발을 주도한다. 

 

ㅇ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보통신기술융합 신기술, 차량융합 신기술, 자율주행 생태계 구축 등 3개 전략분야, 15개 세부과제에서 ㈜케이티, ㈜모라이, ㈜스트리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서울대 등 중소·중견기업 35개, 대기업 6개, 국책연구기관 21개, 대학 18개 등 총 92개의 기관에 석·박사 316명을 포함, 전체 903명의 연구인력이 참여하여 데이터 수집·가공 자동화 기술, 차량통신·보안, 인터넷기반자원공유(클라우드)·엣지 연계 자율주행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모의실험기(시뮬레이터) 개발 등을 추진한다.

 

ㅇ 국토교통부는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개발, 자율주행 서비스, 자율주행 생태계의 3개 전략분야, 13개 세부과제에서 현대자동차㈜, SK텔레콤, 카카오모빌리티, ㈜오토노머스에이투지,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교통연구원, 연세대 등 중소·중견기업 40개, 대기업 12개, 국책연구기관 26개, 대학 18개 등 총 103개의 기관에 석·박사 540명을 포함, 전체 1085명의 연구인력이 참여하여 도로-교통기술, 동적지도, 법/제도 개선, 모빌리티 서비스 실증 등을 주도한다. 

 

ㅇ 경찰청은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자율주행 생태계의 2개 전략분야, 9개 세부과제에서 LG유플러스, 네이버시스템㈜, ㈜차지인, 도로교통공단,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양대 등 중소·중견기업 32개, 대기업 1개, 국책연구기관 8개, 대학 17개 등 총 74개 기관에 석·박사 327명을 포함, 전체 687명의 연구인력이 참여하여 교통안전과 소통 확보를 위해 도로교통법 등 법제도 전반을 검토하고, 자율주행차의 운전능력 사전검증 및 운행 지원체계와 교통사고 분석기술 개발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 최진우 사업단장은 “본 사업은 다부처 단일사업으로 추진되는 만큼 통합목표 달성을 위해 부처간 경계를 두지 않고 세부과제 간 구체적인 연계·협력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며, “사업 성공을 위해 사업단이 전방위적 매개체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 한편 사업단은 국내 7개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서울 상암, 경기 판교, 충북, 세종, 광주, 대구, 제주) 및 완성차 업체 등을 방문하여 성공적인 자율주행 레벨4+ 기술개발을 위한 협력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붙임1  자율주행차의 개념 및 기술 구분

 

➊ (개념) 자동차에 정보기술(IT)·감지기(센서)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하여 스스로 주변 환경을 인식, 위험을 판단하고 주행 경로를 계획하여 운전자 또는 승객의 조작 없이 안전한 운행이 가능한 자동차

 

 

 

➋ (기술 구분) 운전 자동화 단계를 6단계(Lv.0 ~ Lv.5)로 구분(SAE, 

미 자동차공학회)하며, 3 단계(Lv. 3)부터 자율주행차로 정의

 

레벨 구분 Level 0 Level 1 Level 2 Level 3 Level 4 Level 5

 

운전자 보조 기능 자율주행 기능

명칭 無 자율주행 운전자 지원 부분 자동화 조건부 자동화 고도 자동화 완전 자동화

(No (Driver Assistance) (Partial Automation) (Conditional Automation) (High Automation) (Full

Automation) Automation)

자동화 항목 없음(경고 등) 조향 or 속도 조향 & 속도 조향 & 속도 조향 & 속도 조향 & 속도

운전주시 항시 필수 항시 필수 항시 필수 시스템 요청시 작동구간 내  전 구간 불필요

(조향핸들 상시 잡고 있어야함) (조향핸들 잡을필요X, 제어권 전환시만 잡을 필요) 불필요

(제어권 전환X)

자동화 구간 - 특정구간 특정구간 특정구간 특정구간 전 구간

시장 현황 대부분 대부분 7~8개  1~2개  3~4개  없음

완성차 양산 완성차 양산 완성차 양산 완성차 양산 벤처 생산

예시 사각지대 경고 차선유지 또는 차선유지 및 혼잡구간 지역(Local) 운전자 없는

크루즈 기능 크루즈 기능 주행지원 무인택시 완전자율주행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