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제3차 신산업 민관협의회 개최- 민관 공동으로 4차 산업혁명 대응방향 논의

하이거 2016. 11. 7. 14:00

3차 신산업 민관협의회 개최- 민관 공동으로 4차 산업혁명 대응방향 논의

 

담당부서산업기술정책과 등록일2016-11-07

 

 





 


제3차 신산업 민관협의회 개최

- 민관 공동으로 4차 산업혁명 대응방향 논의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는 11월 7일(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3차 신산업 민관협의회(공동의장 : 주형환 산업부장관,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를 개최함

【 제3차 신산업 민관협의회 개요 】

?시간/장소 : ’16. 11. 7(월) 07:30∼09:00 / 대한상공회의소(20층 챔버라운지)
?참석 : 산업부 장관, 대한상의 회장, 경제․금융․신산업 민간 전문가 등 30여명


 ㅇ 지난 4월 각계의 최고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신산업 민관협의회를 발족하여 민관 합동으로 4차 산업혁명 등 산업의 트렌드변화에 대응한 우리 산업이 나아가야할 청사진을 준비해왔으며,

 ㅇ 그동안 에너지신산업 종합대책(7월), 전기차‧수소차 발전전략(7월), 자율주행차‧경량소재 등 국가전략프로젝트 선정(8월), 로봇산업 발전방안(10월) 등 신산업 관련 정책도 발표하였음

□ 금일 회의에서 산업연구원(KIET)․한국개발연구원(KDI)은 그간의 연구를 바탕으로 중간보고를 하고, 대책의 방향성과 정책과제에 대해 의견 수렴함

주형환 산업부 장관 주요 발언


□ (추진배경) 4차 산업혁명의 진화속도가 예상보다 빨라, 자칫 큰 변화의 흐름을 놓치면 경쟁국에 뒤처질 수 있는 상황

 ㅇ 그간 다양한 정책*을 통해 긴급처방이 필요한 부문부터 대응해왔으나,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전략마련이 필요한 시점

    * 스마트공장 확산, 에너지신산업 육성, 국가 전략 프로젝트 등

□ (4대 메가트렌드)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주요 변화로 ①스마트화, ②서비스화, ③플랫폼화, ④친환경화 등 4대 메가트렌드를 제시


【 4대 메가트랜드 】


 ➊ (스마트화) 사물․사람이 연결되며 제품․서비스․제조공정이 스마트화

  * 소비자의 다양한 수요에 따라 맞춤형․실시간 제품을 생산하는 on-demand 경제 구현, 창의적 고부가가치 일자리 증가 및 고용의 탄력성 확대

 ➋ (서비스화)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 → 제조업의 서비스화

  * 전통 제조기업인 GE는 S/W기반의 서비스 기업으로 변신 선언,향후 경쟁력 원천이 창의성과 데이터로 변모

 ➌ (플랫폼화) 제품간 → 시스템간 경쟁으로 확대되며 플랫폼 선점 경쟁 치열

  * 플랫폼간 경쟁으로 승자독식의 양상 전개, 생산자-소비자가 직접 연결됨에 따라 전통적인 중개․유통업의 입지는 급속히 약화될 전망

 ➍ (친환경화) 산업구조와 시장의 친환경화 가속화

  * 합리적인 에너지 사용, 환경상품 교역의 확대, Grid Parity 시대 도래


□ (現 수준) 거대 변화의 흐름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위기일 수도 있으나 새로운 도약을 위한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진단

 ㅇ 여러 미흡한 점이 있으나, 세계적인 ICT 인프라를 비롯하여 반도체․자동차 등 강력한 제조기반을 보유하여 충분한 기회가 있다고 평가
□ (대응방향) 4차 산업혁명 대응기반을 조기에 확보하기 위해 규제없는 개방적 경쟁환경 조성,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와 창의적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밝히며,

 ㅇ 지원제도도 선택․집중․개방을 원칙으로 하고, 스마트공장 등 제조혁신 확산의 필요성 언급

 ㅇ 아울러, 산업별 전략은 기존 제품개발 중심에서 제품과 서비스를 포괄토록 접근하고, 협력방식도 산업내 협력을 넘어 산업간 융합 얼라이언스로 협력의 틀을 확장할 필요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 주요 발언


□ 신산업 창출을 위해 보다 근본적인 처방이 필요하다고 제안

 ㅇ 우선, 실패를 용인하고 외부와의 파트너십 확대를 통한 협업문화 확산 등 기업들의 일하는 방식 개선과,

 ㅇ 신산업 분야의 대대적인 네거티브 규제개선 시행, 벤처기업 판로개척을 위한 유통․금융 등의 과감한 제도개선을 제안


향후 계획


□ 금번 협의회를 통해 의견 수렴 후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응방향(가칭)’을 금년말 발표할 예정

    * 민관협의회 실무위원회를 통해 세부 정책과제 정밀검토(11월중), 필요시 4차 산업혁명 관련 전문가 그룹을 통해 추가검토 실시

[붙임 자료]

1. 행사개요  // 2. 참석자 명단  // 3. 산업부 장관 모두말씀



□ 개최 목적

 ㅇ 4차 산업혁명 등 글로벌 패러다임 변혁에 대응하여 메가 트렌드 및 우리의 대응수준, 단기․중장기적 대책 등을 함께 논의

□ 개요

 ㅇ 일 시 : ’16.11.7(월), 07:30~09:00

 ㅇ 장 소 : 대한상의 20층 챔버라운지

 ㅇ 참석자 : 신산업 민관협의회 위원 30명 내외

   - (공동의장) 산업부 장관, 대한상의 회장

   - (참석위원) 신산업 및 대․중소․벤처 기업가, 거시경제․인문․사회 전문가 등 민간위원

□ 진행순서
(사회 : 산업기술정책과장)

시 간
내 용
비 고
07:30~07:35
(05’)
· 개회 및 기념촬영

07:35~07:45
(10’)
· 모두 말씀
․산업부 장관,
  대한상의 회장
07:45~08:05
(20’)
· (발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응방향」(가칭) 중간보고
․KIET, KDI
08:05~08:57
(52’)
· 토 론
․참석자
08:57~09:00
(03’)
· 마무리 말씀
․산업부 장관


붙임 2

 제3차 신산업 민관협의회 참석 위원 (25명)


구 분
소 속
성 명
직 위
의장(2명)
산업통상자원부
주형환
장관
대한상공회의소
박용만
회장
거시 및 인문사회
전문가
(9명)
경제
KDI
김준경
원장
산업연구원
유병규
원장
KAIST
이창양
교수
컨설팅
베인&컴퍼니 코리아
이성용
대표
맥킨지 서울사무소
최원식
대표
BCG 서울사무소
이병남
대표
금융
한&컴퍼니
한상원
대표
삼성증권
윤용암
대표
언론
한국경제신문
안현실
논설위원
신산업
분야
(7명)
ICT융합
산업융합옴부즈만
이주연
옴부즈만
바이오의료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전상훈
병원장
고급소비재
아모레퍼시픽
심상배
사장
자율자동차
한양대학교
선우명호
교수
항공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조광래
원장
IOT
성균관대학교
최재붕
교수
바이오
KAIST
이상엽
교수

기업규모별
(7명)
대기업
삼성전자
권오현
부회장
현대자동차
권문식
부회장
SK텔레콤․하이닉스
임형규
부회장
LG화학
박진수
부회장
벤처․중소기업
벤처기업협회
정준
회장
에스엔에스에너지
김찬호
대표
아이센스
남학현
대표


붙임 3

 산업부 장관 모두말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