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중국 최대 쇼핑데이, 광군제(双十一) 물류 현장을 가다[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및 기타 해외동향

하이거 2016. 11. 14. 18:47

중국 최대 쇼핑데이, 광군제(双十一) 물류 현장을 가다[ KOTRA KOTRA 해외시장뉴스] 및 기타 해외동향

 

2016-11-14 | 중국| 상하이무역관


* 중국 최대의 쇼핑데이이자 세계 최대 규모의 일일 매출액을 갱신하고 있는 광군제(十一) 당일 알리바바 산하의 백세 물류창고 현장을 직접 방문한 내용을 정리함.

 

  

백세물류 회사 개요

  

百世物流科技(中国)有限公司

설립시기

2007

CEO

저우샤오닝(周韶宁)

종업원수

1만3,000여 명

업종

물류운송·물류관리서비스

연간매출

(2014년)

약 1억 위안 이상

투자기간

비공개

홈페이지

www.800best.com

소재지

절강성 항저우시

주요 품목

국내·국제 물류택배서비스

소개

          - 2007년 알리바바 및 폭스콘으로부터 1500만 달러의 융자를 획득해 설립
- 우수한 정보과학기술과 회사 자체 연구개발한 종합 운영 플랫폼 GeniMax 스템을 통해서 국내외 기업에 종합 공급망과 물류 서비스를 제공함.
- 2013년도 중국 전자상거래 물류저장 서비스 20순위권 진입
- 현재 보유한 5대사업부로 공급망, 택배, 익스프레스, 전자상거래 및 소프트웨어 서비스가 있음.

관련 사진

EMB000017a83dd2         EMB000017a83dd3

 

백세물류 상하이 차오안(曹安) 창고 현장

 

  o 전국적으로 총 300만 평의 물류창고를 소유하고 있는 백세물류는 상하이에 총 4개의 창 고를 운영하고 있으며, 그 중 차오안 창고는 6000평의 면적을 보유함.

 

  o 평상 시 일평균 2천건의 물량을 처리하고 있는 이 창고의 2016년 11월 11일 일일 처리량은 30만 건에 달할 것으로 예상함.(11월 11일 오후 16시 기준 21만 건)

    - 백세물류의 광군제 당일 전국 창고 처리량은 약 3500만 건에 달하며, 전년 대비 50% 가까이 성장한 수치임

 

  o 차오안 창고는 백세물류와 가맹을 맺은 웬통(通), 순펑(丰), 중통(中通) 등의 택배회 사가 가맹 형식으로 함께 사용하고 있으며, 알리바바 Tmall 외에도 징동(JD.com), 唯品 (VIP.com) 등의 플랫폼의 주문량을 일부 함께 처리하고 있음

    - 백세물류가 40%, 나머지 택배회사가 60%의 면적을 나누어 사용하고 있음

    - JD.com의 경우 B2C가 아닌 B2B 주문방식으로 백세물류 창고를 이용하고 있음. 즉, 개별 주문량 배송 처리가 아닌 매월 1회 단체 주문량을 백세물류로부터 받아 고객에게 직접 배송 하는 방식임

 

  o 광군제로 인한 물류업계의 연이은 성장은 2013년 이후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음. 2010년 Tmall.com이 탄생하고, 2012년 알리바바에서 첫 광군제를 개최한 이후 2013년부터 유명 브랜드별 플래그샵(旗店)이 Tmall에 앞 다투어 입점하면서 온라인 플랫폼 물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

    - 백세물류의 연 매출은 작년 기준 한화 약 1조 원으로 2016년은 1조2,000억 원을 예상하고 있음


  o 특히 2015년부터 중국 O2O 시장이 급성장을 보이면서 의류, 화장품 등 패션, 뷰티 관련 소비재를 중심으로 온라인숍에서 주문한 물건을 오프라인 매장에서 배송하는 O2O 서비스가 등장함. 이에 따라 온오프라인 배송 수요가 동시에 발생하며 더욱 체계적인 물량 관리, 배송 시스템 업그레이드 등이 요구되고 있음


  o 당일 주문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광군제 특성 상 물류회사는 고객사(제조업체 등)와 연간계약 등 일반적인 계약 외에 광군제 약 한 달 전 별도 계약을 체결하고 있음.

    - 보통은 처리물량의 20%를 개런티로 계약을 하며, 최근 빅데이터를 통해 비교적 정확하게 주문량을 미리 예측할 수 있게 되면서 개런티로 인한 고객사의 부담은 줄어들고 있음

 

  o 광군제 주문량 처리에 있어 가장 관건은 반품 처리라고 볼 수 있음. 광군제 반품률은 약 25%에 달할 정도로 높은 편임. 소비자권익보호법 개정에 따라 온라인 주문에 대한 7일 이내 무조건 환불조치가 이뤄지고 있음. 이에 따라 소비자의 반품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게 됐음.  

 

광군제 당일 백세물류 창고 구역별 현장 

EMB000017a83dd5

 백세물류 차오안 제 5창고 입구

EMB000017a83dd6

 차오안 창고 밖 대기 중인 상자


EMB000017a83dd7

상품 Picking 구역(SKU별 보관)


EMB000017a83dd8

Picking구에서 포장구로 내려오는 벨트

EMB000017a83dd9

 포장구역

EMB000017a83dda

 배송구역

자료원: 상하이무역관 촬영


 

중국 택배업계의 광군제 물류대란 대비 양상

 

  o 현재까지 택배업계는 연속 5년 50%가 넘는 업계성장률을 나타냈음. 택배업은 이미 중국 내 증가속도가 가장 빠른 업계중 하나로 자리매김했음. 덧붙여 택배업은 정책 및 제도적 이점에 따른 예산대규모 방출을 예기하며, 빅데이터 및 스마트화의 높은 침투율, 기초교통설비 구축 및 소비 업그레이드 등의 요인은 향후 10년 택배업계는 발전의 황금기를 맞게 할 것임.


  o 중국 택배협회와 차이냐오(菜鸟网络)*는 2016년 "광군제(十一)"기간인 11월 11일-16일까지 전 택배업계의 물류량이 10억5000만 건을 초과할 것이라고 예측했으며, 이는 전년대비 35%의 고성장을 의미함.

    * 차이냐오 : 2013년 5월 알리바바 그룹이 인타이(泰集團), 푸싱(星集), 푸춘(富春集) 등이 공동 투자해 설립한 중국 스마트 물류 인프라망(CSN). 션통, 웬통, 중통, 윈다 등의 대표 택배기업들의 운송, 고객 등 모든 빅데이터를 통합 관리해 제공하고 있음.


    EMB000017a83ddb

자료원: 중국산업정보망(中 国产业信息)

 

  o 통계에 따르면 2016년 광군제 기간 전 택배업계는 약 268만 명의 일선노동자를 택배서비스에 투입함. 투입인원은 전년 대비 50%가 증가했으며, 간선차량과 항공수송 투입량 역시 각각 59%, 40%로 증가할 것으로 보임.

 

  EMB000017a83ddc

 자료원: 중국산업정보망(中 国产业信息)

 

  o 차이나 철도(中国铁路)는 11월 11~20일을 "전자상거래 황금주간"으로 지정, 전자상거래와 택배업계와 합작해 고속철도 및 철로를 통한 물류운송 서비스를 진행함. 그 중 고속철도 택배서비스는 "당일배송", "익일오전배송" 및 "당일수령" 등의 쾌속물류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임. 광군제 기간 동안 차이나 철도는 매일 170대의 고속철도와 탄환열차를 운용한 광군제 전자상거래 물류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임.


  o 전자택배 주문서의 전면적인 사용으로 차이냐오(菜)는 대량의 데이터를 축적했음. 이에 스마트 개별주문 시스템은 2016년 광군제에 전면적으로 운용할 계획이며, 시스템이용률은 약 70%에 가까울 것이라고 예측함. 대다수의 택배물품은 스마트 시스템을 통해 배송채널이 분배되며, 그 정확도와 속도는 매우 높음. 11일 당일은 12, 13일을 훨씬 뛰어 넘는 물류량을 보일 것이며, 소비자 물품수령 사전서명 등의 방법을 운용해 물류 지체시간을 줄일 대책을 마련했음. 차이냐오(菜) 역시 "광군제 기간 일괄배송"을 내세워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최종 목적구역이 일치하는 제품을 일괄 배송하는 방식을 채택했음.

 

 EMB000017a83ddd

 


 EMB000017a83dde

자료원: 중국산업정보망(中 国产业信息)

 

  o 서비스 품질소비 변화 및 택배서비스의 서비스비용 인하에 따라 더욱 신속하고 평판이 높은 택배서비스사가 소비자의 이목을 끌기 시작함. 이러한 요소들은 택배회사의 경쟁중점일 뿐만 아니라 시장점유율을 장악하는 주요수단으로 작용할 것임.


 



 2016 광군제 핵심 키워드

 

  o 글로벌: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는 올해 광군제의 새로운 성장점으로 부상했음. 알리바바(Alibaba)는 티몰(天猫国际), 징동(JD)는 월마트와 협력해 다양한 해외SKU를 흡수하는 등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글로벌화가 눈에 띄게 증가함.

 

  o 엔터테인먼트: 엔터테인먼트와 전자상거래의 융합은 소비자에게 "오락+쇼핑"의 즐거움을 선사함. 쑤닝(宁)의 예능프로그램 생중계, 알리바바의 특별 생중계 등 주요 플랫폼과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연동이 증가하고 있음.

 

  o 모바일: 모바일기기를 통한 교역액은 매년 증가하고 있음. 2015년 티몰의 광군제 모바일 교역액은 전체 교역액의 65%를 차지했으며, 올해 역시 모바일 인터넷은 인터넷쇼핑의 주류로 부상했음. 모바일기기의 높은 시장 침투율, 정보기술혁신 및 소비 단편화 등 요소는 '모바일화'를 더욱 가속화 시킬 것임.

    * 2016년 11월 11일 오전 기준 티몰 전체 주문량의 84%가 모바일에서 발생

 

  o 융합화: 현재 온라인 및 오프라인 채널의 패턴융합이 진행되고 있음. 상품, 서비스회원 및 고객의 전면적인 융합은 고객맞춤형 소비방식, O2O 체험식 소비방식 등의 신소비 형태를 구축했음.

 

시사점: 광군제, 중국 물류업계 성장의 촉진제

 

  o 중국 택배업계의 고성장은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 2015년 중국 택배서비스업의 총 수익은 276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35%의 성장률을 나타냈음. 이와 동시에 7곳의 브랜드 택배회사의 산출 가치는 200억 위안, 9곳의 택배회사는 100억 위안에 다다람. 2016년 중국 택배서비스업 물류량은 총 275억 건으로, 전년 대비 34%의 성장할 전망. 총 수익은 353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28%의 성장할 전망임


  o 현재 중국 택배업계는 "아래로, 서쪽으로"를 지향함. 즉, 중국 전 구역 물류이동의 평행발전을 추진하고 있음. "차량, 해운, 항공택배" 프로젝트를 진행해 인프라 구축에 힘쓰고 있음. 물류업과 전자상거래 강화, 선진제조업, 현대농업 등 상하류 산업의 융합발전은 우편업계과 택배업계의 혁신융합을 이끌어 낼 것이며 서비스 수준 역시 제고될 것임.

 

  o 중국 택배업계의 해외영업확장은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며, 중국기업과 해외 동종업계의 협력 및 융합 역시 끊임없이 가속화되고 있음. 현재 수출업무의 70%는 우편 서비스로 배달되며, 순펑, 위안통, 선통, 중통 및 윈다 등 중국 대표 택배업체 역시 국제 택배시장 진출을 목전에 두고 있음.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는 택배업계 성장의 새로운 동력이 될 전망임.

 

  o 스마트산업의 성장은 과학기술 발전을 이끌 것임. 업계에서는 향후 전자택배 주문서 사용률은 70%가 넘어설 것이라고 보고 있으며, 택배회사는 매년 12억 위안의 예산을 절감하게 될 것임. 스마트 개별주문 서비스의 전면적 운용 역시 온라인 택배조회와 실제물류상황과의 일치율을 99%를 상회시킬 것임. 또한 자동화 물류창고의 전면적 도입은 인건비 절감과 분류정확도 향상에 큰 공헌을 할 것임. 

 

 

자료원 : KOTRA 상하이무역관 백세물류창고 참관자료, 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 중국전자상거래센터(中国电子商中心), EBRUN(亿),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 왕이신문(易新), 펑황재경(财经)

 

 



번호제목국가무역관게시일조회수
61291 UAE, 중동 신재생 에너지시장 허브되나?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2016-11-14 2
61290 미국 대선 결과에 대한 캐나다 현지 반응 및 영향 캐나다 토론토 2016-11-14 20
61289 인도 IT 서비스 산업, 지속적인 혁신을 향한 발걸음 인도 뉴델리 2016-11-14 6
61288 체계를 갖춰가는 인도 공공조달시장 인도 뉴델리 2016-11-14 10
61287 제12회 2016 중국(대련) 국제해사전 개최 중국 다롄 2016-11-14 16
61286 트럼프 당선으로 출렁이는 멕시코 경제 멕시코 멕시코시티 2016-11-14 44
61285 EU 조달시장을 잡아라 벨기에 브뤼셀 2016-11-14 48
61284 중국 최대 쇼핑데이, 광군제(双十一) 물류 현장을 가다 중국 상하이 2016-11-14 88
61283 로봇산업, 인도 제조업 부흥의 핵심으로 떠오르다 인도 뉴델리 2016-11-11 242
61282 일본의 저당질 식품시장을 잡아라 일본 도쿄 2016-11-11 229
61281 ‘흡연대국’ 중국의 금연보조제 시장 전망 중국 선양 2016-11-11 269
61280 日 배우자 공제 재검토, 맞벌이가구 소비 노려볼 만 일본 도쿄 2016-11-11 161
61279 프랑스에 이는 캡슐커피 붐 프랑스 파리 2016-11-11 260
61278 부가세 환불 받는 프랑스 기업들, 가솔린차로 전환할까 프랑스 파리 2016-11-11 168
61277 헝가리, 뷰티오일에 대한 관심 지속 증가 헝가리 부다페스트 2016-11-11 178
61276 獨 함부르크, 차세대 모빌리티 기술에 주목 독일 함부르크 2016-11-11 251
61275 신재생에너지 협력 위한 ‘한-칠레 신재생에너지 쇼케이스’ 칠레 산티아고 2016-11-11 157
61274 2016/17년 남아공 중기 예산안 발표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2016-11-11 125
61273 페루 비타민·식이보충제 시장 동향 페루 리마 2016-11-11 153
61272 中 ‘先통관, 後심사’ 통관정책 시범 시행 중국 베이징 2016-11-10 334
61271 中 온라인 여행시장 플랫폼(OTA) 인기몰이 중국 청두 2016-11-10 311
61270 일본,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에 보호무역주의와 엔고 우려 일본 도쿄 2016-11-10 339
61269 몽골, 경기불황에도 인기 상승 중인 한국 화장품 몽골 울란바토르 2016-11-10 421
61268 베트남 육류시장 성장 잠재력 '청신호' 베트남 하노이 2016-11-10 205
61267 모잠비크 전력산업 현황 모잠비크 마푸투 2016-11-10 127
61266 도미니카공화국, 국민연금 인프라 투자 허용 도미니카공화국 산토도밍고 2016-11-10 136
61265 2016 충북 CIS 종합 무역사절단 상담회 참관기 카자흐스탄 알마티 2016-11-10 85
61264 아세안 비관세장벽 현황 ① 싱가포르 싱가포르 2016-11-10 204
61263 베트남, 세 번째 한류의 불씨 살리려면? 베트남 호치민 2016-11-10 243
61262 중국 1~3분기 대외무역 결과 보고서 중국 광저우 2016-11-10 186
61261 2016년 하반기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 동향 베트남 하노이 2016-11-10 234
61260 우버 택시, 카자흐스탄 택시시장 상륙 카자흐스탄 알마티 2016-11-10 132
61259 한-호 FTA 체결 3년차 상품 교역 동향 호주 시드니 2016-11-10 124
61258 베트남, 금형산업 현황과 전망 베트남 호치민 2016-11-10 205
61257 중국 보건식품산업의 새로운 트렌드 중국 칭다오 2016-11-10 291
61256 美 트럼프 당선으로 12월 금리 인상 안갯속 미국 시카고 2016-11-10 339
61255 미 대선 결과, 러시아 반응 및 향후 경제 전망 러시아 모스크바 2016-11-10 797
61254 도널드 트럼프의 당선을 바라보는 로스앤젤레스의 시선 미국 로스앤젤레스 2016-11-10 497
61253 美 트럼프, 제1 선결과제로 TPP 파기·NAFTA 재협상 처리 전망 미국 워싱톤 2016-11-10 833
61252 中 허난성 전자상거래 전성시대 활짝 중국 정저우 2016-11-09 269
61251 인도, 루피貨 화폐 개혁 인도 뉴델리 2016-11-09 1385
61250 카자흐스탄, 의료기기 및 의약품 등록 인증 안내 카자흐스탄 알마티 2016-11-09 192
61249 도약하는 러시아 자동판매기 시장을 선점하라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 2016-11-09 277
61248 새로운 이동수단으로 떠오르는 퍼스널 모빌리티(PM) 우크라이나 키예프 2016-11-09 302
61247 11월 이란 동향 1호 본사 본사 2016-11-09 270
61246 10월 이란 동향 5호 본사 본사 2016-11-09 155
61245 홍콩에서 직원 채용 시 알아야 할 필수정보 홍콩 홍콩 2016-11-09 559
61244 대이란 무역동향 및 진출 장벽 이란 테헤란 2016-11-09 295
61243 홍콩에도 배달문화가 뜬다 홍콩 홍콩 2016-11-09 231
61242 프랑스, 안경 판매조건 완화로 안경테 수요수입 증가 전망 프랑스 파리 2016-11-09 151
61241 멕시코 뷰티 박람회(Expo Beauty Show) 참관기 멕시코 멕시코시티 2016-11-09 273
61240 수단, 관리 변동환율제 도입 및 공공요금 인상 수단 카르툼 2016-11-09 150
61239 수단 청소용 세제시장 현황 및 진출 방안 수단 카르툼 2016-11-09 192
61238 스페인 화장품시장을 뒤흔드는 5가지 트렌드 스페인 마드리드 2016-11-09 259
61237 인도네시아 온라인시장에서 잘 나가는 10대 한국 제품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2016-11-08 1464
61236 독일, 미래의 모빌리티 – 부가가치 사슬의 총체적 변화 예고 독일 프랑크푸르트 2016-11-08 422
61235 UAE, 전력기자재 수요 증가 기대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2016-11-08 410
61234 러시아 북서관구 50대 제조업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2016-11-08 235
61233 떠오르는 독일 화장품 시장 독일 함부르크 2016-11-08 711
61232 이스라엘 투자유치 동향 이스라엘 텔아비브 2016-11-08 178
61231 이집트, 자동차부품 품귀현상 이집트 카이로 2016-11-08 275
61230 건설경기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우디 은행들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2016-11-08 197
61229 2016 모로코 자동차 산업 현황 모로코 카사블랑카 2016-11-08 214
61228 이탈리아 식품시장, 건강을 향한 끝없는 갈망 이탈리아 밀라노 2016-11-08 394
61227 네덜란드 낙농업가, 소 배설물로 친환경에너지 생산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2016-11-08 184
61226 오스트리아, 성장세 전환에 성공한 전기전자산업 오스트리아 2016-11-08 180
61225 헝가리인들이 말하는 한국 치과기자재의 셀링포인트 헝가리 부다페스트 2016-11-08 141
61224 불가리아, 고속도로 구축 프로젝트 로드맵을 살펴보다 불가리아 소피아 2016-11-08 166
61223 2016 충칭 문화산업박람회 참관기 중국 충칭 2016-11-08 161
61222 中 충칭 ICT 시장의 무궁무진한 매력 중국 충칭 2016-11-08 214
61221 제9회 중국 광저우 국제만화축제 참관기 중국 광저우 2016-11-08 106
61220 2016 국제 인쇄∙그래픽 전시회 참관기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2016-11-08 92
61219 마시는 식사 스마트 푸드, 스위스에서도 인지도 늘어 스위스 취리히 2016-11-08 368
61218 녹색 경제를 향한 네덜란드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2016-11-08 201
61217 사우디, 프로젝트 중단과 건설경기 부진으로 펌프 밸브 수요 부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2016-11-08 171
61216 중국, 인력조정 시 법률리스크 및 실무 대응책 중국 칭다오 2016-11-08 123
61215 중국, 로열티 과세기준 및 추징사례로 본 대응책 중국 칭다오 2016-11-08 167
61214 해마다 업그레이드되는 중국 광군제 중국 베이징 2016-11-07 1124
61213 수직농장(Vertical Farm)을 들어보셨나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2016-11-07 345
61212 2016 체코 브르노 국제기계엔지니어링 전시회를 가다 체코 프라하 2016-11-07 161
61211 이탈리아 자동차시장 ‘쾌속 질주 중!’ 이탈리아 밀라노 2016-11-07 409
61210 폴란드 LOT항공 직항 취항, 한-폴 하늘길 활짝 열려 폴란드 바르샤바 2016-11-07 222
61209 중국 최대 창업 축제, 2016 Maker Faire Shenzhen 중국 선전 2016-11-07 266
61208 카타르, 교통안전시장에 주목하라 카타르 도하 2016-11-07 380
61207 스웨덴 유통시장, 전문 대형매장이 주도 스웨덴 스톡홀름 2016-11-07 184
61206 네덜란드의 2017년 물, 인프라사업 계획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2016-11-07 180
61205 영국 주요 투자가들이 한데 모인 BVCA Summit을 가다 영국 런던 2016-11-07 123
61204 마드리드 한국문화원, “Art & Biz” 아트콜라보 전시 상담회 개최 스페인 마드리드 2016-11-07 87
61203 말레이시아, 공개된 2017년 예산안 주요 내용과 시사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2016-11-07 191
61202 미국의 TPP 비준 동향 및 아시아 국가들의 플랜B 미국 워싱톤 2016-11-07 99
61201 2016 덴마크 해양산업 전시회를 가다 덴마크 코펜하겐 2016-11-07 74
61200 알제리 외환통제 현황 및 전망 알제리 알제 2016-11-07 138
61199 싱가포르 건축기술 박람회(BuildTech Asia 2016) 방문기 싱가포르 싱가포르 2016-11-07 104
61198 핀란드 건축 전시회(Finn Build 2016) 참관기 핀란드 헬싱키 2016-11-07 91
61197 캐나다-EU 포괄적경제무역협정(CETA) 체결 캐나다 토론토 2016-11-07 286
61196 이라크 의회, 주류 수입·제조·판매 금지법 통과 이라크 바그다드 2016-11-07 275
61195 꾸준히 성장하는 폴란드 장난감 시장 폴란드 바르샤바 2016-11-07 188
61194 UAE-중국 전방위 협력 강화, 우리 기업 활동 위축 요인 되나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2016-11-07 180
61193 [무역관 르포] 폴란드, 컬러를 마실 준비가 되었다 폴란드 바르샤바 2016-11-07 224
61192 中, 한국산 폴리아세탈 제품 반덤핑 조사 착수 중국 상하이 2016-11-04 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