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철강산업, 기업활력법을 통한 사업재편 본격화- 산업부, 현대제철‧동국제강 등 3개 기업 사업재편계획 승인

하이거 2016. 11. 22. 20:18

철강산업, 기업활력법을 통한 사업재편 본격화- 산업부, 현대제철동국제강 등 3개 기업 사업재편계획 승인

 

담당부서철강화학과 등록일2016-11-22

 

 







 


철강산업, 기업활력법을 통한 사업재편 본격화

- 산업부, 현대제철‧동국제강 등 3개 기업 사업재편계획 승인 -

- 현재까지 10건 승인, 연말까지 승인기업 수 더 늘어날 전망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주형환)는 11.22(화) 현대제철(철강), 동국제강(철강), 우신에이펙(건설기자재) 등 3건의 사업재편계획을 승인함

 ㅇ 이번 승인은 경영, 법률, 회계, 금융, 노동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사업재편계획심의위원회」의 심의 결과에 따른 것으로,

 ㅇ 기업활력법 사업재편계획 승인기업은 10개 기업(7개 업종)으로 늘어남

□ 특히, 이번에는 대표적 철강기업인 동국제강과 현대제철의 사업재편계획이 승인되었는 바,

 ㅇ 이들 기업의 사업재편계획은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는 범용품목의 설비 감축, 고부가 철강재 신규 개발 및 첨단 설비 투자 확대 등 지난 9월 발표된 「철강 산업 경쟁력강화 방안」의 취지에도 부합함

 ㅇ 이로써 지난달 승인된 하이스틸을 포함해 철강분야 승인기업수는 3개로 늘어나 철강업종에서 기활법을 통한 사업재편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음
□ 이에 더해 건설기자재(알루미늄 샤시·판넬) 중소기업인 우신에이펙의 사업재편계획이 비철금속 업계 최초로 승인되어 사업재편 분위기가 비철금속업계까지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 이번에 승인된 3건의 사업재편계획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 동국제강 >

 ㅇ 최근 후판시장이 전방산업(조선산업) 불황으로 과잉공급상황이 심화됨에 따라, 포항 제2후판 공장과 설비(180만톤)를 매각

 ㅇ 이를 대신하여 고부가 품목인 컬러강판 설비를 증설(10만톤)하고, 친환경‧고부가가치 철강재 생산과 기술개발 등에 나설 계획임

< 현대제철 >

 ㅇ 과잉공급인 단강(잉곳) 생산용 전기로(인천공장, 20만톤)를 매각

 ㅇ 이를 대신하여 순천공장에 고부가 단조제품 설비투자와 함께, 고급 금형․공구강용․발전용 강종을 신규 개발하고 고합금․고청정 생산설비 등에 투자할 예정임

< 우신에이펙 >

 ㅇ 국내외 알루미늄 샤시‧판넬 시장의 과잉공급 상황 심화에 따른 경영 어려움에 대응

 ㅇ 선제적으로 제품‧판넬 설비(알루미늄 제품 5천톤, 판넬 50만㎡) 감축하고,  신성장 분야인 선박용 LED조명 설비 투자에 나설 계획

 ㅇ 특히, 선박용 LED 조명 분야 진출을 위해 기술개발 등 업종 전환을 위한 사전 준비를 착실히 하는 등 중소기업의 사업재편 모범 사례로 평가됨
□ 기업활력법 사업재편 승인 횟수가 거듭되면서 기업들의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ㅇ 현재까지 승인된 10건의 사업재편계획을 분석해 보면 승인업종, 사업재편 유형, 승인기업 규모, 지원요청사항 등이 다채로운 것으로 나타남

    * (승인업종) 철강‧비철금속 4, 석유화학 2, 조선기자재‧섬유‧농기계‧태양광셀 각 1
    * (사업재편 유형) 영업용 자산 양수도 7, 인수‧합병 3
    * (승인기업 규모) 대기업 3, 중견기업 4, 중소기업 3
    * (지원요청 사항) R&D 지원 9, 세제지원 5, 혁신활동 지원 3, 기업결합심사 단축 2, 상법상 절차간소화 특례 1

    <승인된 사업재편계획 분석(요약)>




□ 산업부는 12월에도 심의위원회를 한 차례 더 개최할 예정이며, 석유화학 및 조선기자재 업종에서 4~5개 기업들이 구체적 관심을 보이고 있어 연말까지 15개 내외의 승인기업이 탄생할 것으로 기대

 ㅇ 한편, 기업활력법 시행 원년(元年)을 점검ㆍ평가하고, 기업들의 기업활력법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등을 모색하는 「기업활력법 성과 및 개선방안 세미나」도 12월에 개최할 예정임
붙임 : 승인기업별 사업재편 주요내용


참고

 승인기업별 사업재편계획 주요 내용


1. 동국제강

? 기업 개요

 ㅇ 철강제품을 주력으로 하는 상장 중견기업(’15년 매출액 4.5조원)

    * 국내 전체 후판 생산능력(1,459만톤)의 약 23.3%를 차지하는 3위 사업자

? 사업재편 배경

 ㅇ 국내 후판 시장은 전방산업인 조선업* 불황, 저가 중국산 수입 확대** 등으로 이미 과잉공급이며, 앞으로도 더욱 심화될 전망

    * 국내 후판 수요의 76%를 차지
   ** 중국산 후판 국내시장 점유율(%) : (’12)22.1, (’13)19.4, (’14)23.0, (’15)20.3

 ㅇ 사업재편을 통해 후판 시장의 과잉공급을 해소하고 잠재 수요가 풍부한 고부가가치 컬러 강판 시장에 집중

? 사업재편 주요내용

 ㅇ ①포항 제2후판 공장ㆍ설비 매각(年 180만톤 생산능력 감축 : 340→160만톤), ②유망분야인 고급 컬러강판 사업 강화 ③친환경ㆍ고부가 제품* 개발

    * ①친환경ㆍ고기능성 코팅소재를 적용한 컬러강판 제조기술, ②내진 성능을 확보한 초대형 H형강 제조기술, ③고효율 친환경 전기로 제강 기술 개발

? 기대효과

 ㅇ (산업 측면) 업종 내 과잉공급 해소 및 산업구조 고도화를 통해 글로벌 철강 시장에서의 주도권 선점

 ㅇ (기업 측면) 과잉공급 상태인 후판 생산을 축소하고 기술력 높은 컬러강판 생산을 늘림으로써 기업의 수익성을 제고

   - 고부가가치ㆍ친환경 제품을 개발을 통해 선진국 시장의 강화된 환경 규제 및 중국산 저가 철강 제품에 대응 가능
2. 현대제철

? 기업 개요

 ㅇ 철강제품 제조업을 주력으로 하는 상장 대기업

    * 단강(잉곳) 매출액 약 1,311억원(’15)
    * 단강(잉곳) 국내 전체 생산능력(270만톤)의 약 25.9%(70만톤)를 차지

? 사업재편 배경

 ㅇ 조선 등 전방산업 악화로 단강시장의 과잉공급 심화 및 경영 악화

 ㅇ 사업재편을 통해 과잉공급 개선에 기여하고, 유망분야 활성화 등 산업·기업 경쟁력 제고

? 사업재편 주요내용

 ㅇ 인천공장의 단강(잉곳) 제조설비인 전기로*를 매각

    * 20만톤을 감축하여 국내 전체 단강 생산능력(270만톤)의 약 7.4% 수준

 ㅇ 고급 단조제품* 개발·생산 등 사업혁신 추진

    * 고급 금형·공구강용 강종, 발전용 강종, 고합금·고청정 단조제품 등

? 기대효과

 ㅇ (산업 측면) 단강 설비과잉 해소 및 고부가 단조제품으로 전환을 통해 산업구조 고도화에 기여 ➡ 단조업종 경쟁력을 강화하는 ‘철강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9.30일)’과 부합

 ㅇ (기업 측면) 고부가 단조 사업 진출을 통해 경영을 개선하고, 생산 효율화를 통한 기업 경쟁력 제고
3. 우신에이펙

? 기업 개요

 ㅇ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제품 및 판넬을 생산‧판매‧시공하는 중소기업(’15년 매출액 246억원)

    * 알루미늄 제품 1.5만톤, 판낼 242만㎡ 생산능력을 보유한 업계 7위 기업

? 사업재편 배경

 ㅇ 건설자재 분야는 건설경기 악화*, 플라스틱 샤시 대비 가격경쟁력 저하(플라스틱 대비 2배가량 고가) 등에 따른 수요 감소로 과잉공급 발생

    * 건설업 매출액영업이익률(%) : (’09)5.2 → (’11)4.1 → (’13)1.9 → (’15)△1.9
    * 알루미늄 샤시 생산설비 가동률(%) : (’14)66.8 → (’15)64.6

 ㅇ 반면, 국제해사기구(IMO)의 에너지효율 설계지수(EEDI) 제도 도입* 등 글로벌 환경‧안전 규제 강화로 선박용 고효율 LED조명 수요 증가**

     * 화물 1톤당 1해리 운항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 총톤수 400GT 이상의 선박은 EEDI를 (’15) 10% → (’20) 20% → (’25) 30%으로 단계적 의무 감축

    ** 전세계 선박용 LED 조명시장 전망(LED inside): ('16) 43.6억불 → ('20) 164억불

 ? 사업재편 주요내용

 ㅇ 김해공장 알루미늄 제품(샤시 등) 및 판넬 생산설비* 매각 또는 폐기하고 특수조명(선박조명 LED 등) 분야의 신규 생산설비 투자

    * 알루미늄 제품(샤시 등) 연 5천톤 생산설비 및 판넬 연 50만㎡ 생산설비 감축

? 기대효과

 ㅇ (산업 측면) ①설비 매각으로 건축 자재 과잉공급 해소 ②선박용 LED 조명산업 국내기반 강화

 ㅇ (기업 측면) 성장성 높은 특수조명 분야로의 선제적 사업재편을 통해 기업 경쟁력을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