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판교테크노밸리]대통령 Post-Doc. 펠로우 박은정 박사, 지식창조대상 (보건의료분야) 수상자 선정-대통령Post-Doc.펠로우십 사업 및 2015년도 분야별

하이거 2015. 10. 15. 11:00

대통령 Post-Doc. 펠로우 박은정 박사, 지식창조대상 (보건의료분야) 수상자 선정-대통령Post-Doc.펠로우십 사업 및 2015년도 분야별 지식창조대상

 

작성자 송병찬 등록일 2015-10-15

 

대통령 Post-Doc. 펠로우 박은정 박사

지식창조대상 (보건의료분야) 수상자 선정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정민근)대통령 Post-Doc. 펠로우십사업을 통해서 지원하고 있는 신진연구자(박은정 박사, 차의대)가 국내 최고 수준 과학기술자에 수여하는 ‘2015 미래부 지식창조대상보건의료분야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라고 밝혔다.

 

지식창조대상은 국제적으로 학술적 공헌도가 큰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공적을 치하하고자 2009년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정하였으며, 객관적으로 학술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도록 계량정보분석기법*을 통해 인용도가 높은 세계 최상위권의 과학자 10명을 선정한다.

* 분야별 상위 1%의 피인용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자의 학술적 성과를 정량적으로 계측, 2009년 제1회 지식창조대상 수상자인 KAIST 유룡 교수는 2014Thomson Reuters'노벨상 화학분야 수상 예측 인물'로 선정됨

 

10명의 수상자 중에서 유일한 신진연구자(연구교수)인 박은정 박사는 국내박사 출신으로 2011년 대통령 Post-Doc. 펠로우에 선정되어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독성학적 관점에서 생체친화적인 나노물질의 특성을 규명하고 생산하는 연구에서 많은 성과를 내고 있다.

대통령 Post-Doc. 펠로우십사업의 지원을 통해서 해당 보건의료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상위 1%피인용 논문4편이나 발표하는 등 연구 실적이 우수해서 2014년 단계평가에서 최고등급을 받기도 했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대통령Post-Doc.펠로우십사업은 과학인재의 해외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연구 역량이 뛰어난 신진연구자를 선발하여 5년 간(3+2) 인건비와 연구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2011년 시작되어 현재까지 총 74명에게 11,900백만 원을 지원하고 있다.

동 사업은 선발 후 우수 과학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규직 취업(임용)시에도 연구과제 수행을 계속 지원하여 안정적인 연구 환경을 조성하는 국가 핵심 과학기술 인재 양성 프로그램이다.

 

붙임 1대통령Post-Doc.펠로우십 사업 개요

붙임 2박은정 연구교수 이력 및 연구내용

붙임 3지식창조대상 개요

 

붙임 1.

 

대통령Post-Doc.펠로우십사업 개요

 

 

추진배경

젊은 과학자 집중 육성(Presidential Basic Science Fellowship제도) 도입 건의(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VIP 주재,'10.11)

 

사업목적

연구역량이 뛰어난 박사후연구원의 초기 일자리와 연구비를 지원함으로써 우수한 신진과학자 육성 및 과학인재 유출 방지

국가 미래 성장 기반으로의 성장을 위한 독립 연구수행 지원을 통한 우수성과 창출에 기여

 

주요내용

(지원대상) 연구역량이 뛰어난 박사후(Post-Doc.) 단계의 신진연구자

(지원내용)

- 지원분야 : 과학기술 전 분야

- 지원기간 : 5(3+2)

- 지원규모 : 과제당 1.3~1.5억원/(연구비 0.8~1억원, 인건비 0.5억원)

- 지원과제수 : 연간 20과제 내외 신규 지원*

* 지원과제 수(신규과제 수) : ('11) 14('12) 20('13) 19('14) 21

(2015년도 사업예산) 119

 

선정방안

(선정기준) 연구업적 및 연구계획서, 연구기관의 활용 계획서 등을 통해 연구자의 잠재력 등을 중심으로 평가

(선정절차)

1단계

(신청접수)

 

2단계

(토론평가)

 

3단계

(발표평가)

 

4단계

(선정 확정)

사업 신청접수

패널별

토론평가

연구계획서 발표

및 질의응답

기초연구사업 종합평가단

 

 

붙임 2.

 

박은정 연구교수 이력 및 연구내용

 

 

주요경력

- 2008.02 동덕여자대학교 기타약학 박사학위 취득

- 2009.07.~2009.10. 한국화학연구원 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 선임연구원

- 2011.06.~2015.05. 아주대학교 분자과학기술학과 연구교수

- 2011.09.~(현재) 대통령Post-Doc.펠로우십 선정 (1)

- 2015.05.~(현재) 차의과학대학교 연구교수

 

연구내용

- 연구분야 : 독성학(나노독성/면역독성)

- 연구주제 : 독성학적 관점에서의 생체친화적인 나노물질의 특성 규명 및 생산

 

연구내용

- 나노산업의 급속한 성장 속에서 나노물질의 제조, 사용, 폐기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국민의 건강에 대한 악영향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대기 중 미세먼지에 의한 건강영향 평가에서 얻어진 지식 및 기술을 활용하여 OECD가 선정한 우선관리대상 나노물질 14종을 위주로 세포 및 동물실험을 통해 나노물질의 독성기전을 연구

 

 

연구성과

- 50편의 SCI논문 발표(JCR 10%이내 8, 주저자 43편 포함)

- 20편의 KSCI논문 발표(주저자 18편 포함)

 

대표 연구실적

- 2008, 세리움 나노파티클 (Toxicology, 288회 인용)과 티타늄 나노파티클 (Toxicology Letters, 309회 인용)을 사람의 정상 기관지상피세포에서 유래한 BEAS-2B세포주에 처리한 후 나노물질의 세포내 uptake과정과 그에 따른 독성발생기전 연구논문 발표

- 2009, 실리카 나노파티클 (Toxicology Letters, 246회 인용)을 복강 및 복강에서 뽑은 탐식세포에 처리한 후 그 독성기전을 평가함으로써 나노파티클이 체내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발표

- 2010, Trojan-horse mechanism에 의한 나노물질의 독성유도를 확인하기 위해 이온화능이 강한 은나노입자를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e)에 분산시킨 후 복강에서 유래한 탐식세포주 (RAW264.7 cells)에 처리한 후 dark field 현미경을 활용하여 촬영하였고, 막손상과 관련된 유전자 변화 및 그 독성을 관찰하여 발표 (Toxicology In Vitro, 298회 인용).

 

 

붙임 3.

 

지식창조대상 개요

 

 

시상 목적

국제적으로 학술적으로 공헌도가 매우 큰 우리나라 최고 과학자들에게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상인 지식창조대상을 수여하고, 그 공적을 치하하기 위함

국내 우수과학자의 지속적 발굴을 통한 국가적 차원의 과학기술 연구 성과에 대한 관심 제고

 

수상자 선정 방법

선정 분야 : 과학기술 전체 학문분야

수상조건

- 세계 수준급 연구 영역을 개척하여 국제적 학술 공헌도가 지대한 선도과학자로서 시상일 현재 국내에 거주 중인 한국인이어야 함.

- 16개 주제 분야 가운데 각 분야별 수상후보자 10인씩, 160명의 과학자를 선정하여 연구분야별 연구기여도 점수 상위 10인을 수상자로 선정함

 

2015 지식창조대상 시상식

행사명 : 2015년도 지식창조대상 시상식

주관 : 미래창조과학부, 주최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일시 : '15. 10. 15.() 11:00~13:30

장소 : The K Hotel(본관3층 비파)

참석자 및 예상인원

- 미래창조과학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등 주요 내외빈, 지식창조대상 수상자, 가족 및 소속 기관장 등 약 60명 내외

 

 

2015년도 분야별 지식창조대상 수상자 : 10

 

주제

연구자명

기관명

피인용 상위 1% 논문

연구

기여도

피인용

평균피인용

기계

최장욱 교수

한국과학기술원

EEWS 대학원

6

949

158.2

4,079.2

농림

수산식품

임종환 교수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3

539

179.7

4,130.1

물리학

장석필 교수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3

828

276.0

118,668.3

보건의료

박은정 연구교수

차의과학대학교 의생명과학과

4

740

185.0

12,908.0

생명과학

장석복 교수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

4

554

138.5

10,424.8

에너지

/자원

선양국 교수

한양대학교 에너지공학과

6

408

68.0

14,394.6

원자력

신현석 교수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자연과학부-화학

2

233

116.5

21,230.2

재료

문주호 교수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6

870

145.0

8,269.1

지구과학

황철성 교수

서울대학교 재료공학과

4

1,138

284.5

49,150.8

화학공학

김재윤 교수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부

10

3,543

354.3

28,509.3

 

 

2009~2014년도 지식창조대상 수상자 : 50

 

수상연도

주제

연구자명

기관명

학과

2014

기계

안효성 교수

광주과학기술원

기전공학부

물리학

이종흔 교수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보건의료

박광식 교수

동덕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생명과학

김세권 교수

부경대학교

해양바이오프로세스연구단

수학

김태균 교수

광운대학교

수학과

재료

이중희 교수

전북대학교

고분자나노공학과

지구과학

홍성유 단장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화학

김기문 교수

포항공과대학교

첨단재료과학부

화학공학

이인범 교수

포항공과대학교

엔지니어링대학원

환경

최희철 교수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부

2013

공학

박주현 교수

영남대학교

전기공학과

동식물학

최길주 교수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물리학

손영우 교수

고등과학원

계산나노과학

분자생물학

이윤태 교수

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과

생물학

이서구 석좌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수학

조열제 교수

경상대학교

수학교육과

우주과학

이석영 교수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재료과학

조재필 교수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친환경에너지공학부

컴퓨터

정재은 교수

영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화학

김종승 교수

고려대학교

화학과

2012

물리학

권영일 교수

연세대학교

물리학과

보건/의료

방영주 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수학

김재률 교수

전남대학교

물리학과

에너지/자원

박현웅 교수

경북대학교

에너지공학부

우주/항공/천문/해양 우주/항공/전문/해양 분야는 20102월 공표된 과학기술 표준 분류 체계이며, 현재는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으로 사용됨.

 

박창범 교수

고등과학원

물리학부

재료

홍병희 교수

서울대학교

화학부

전기/전자

문수복 교수

KAIST

컴퓨터과학과

화학

윤주영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바이오융합학과

환경

신항식 교수

KAIST

건설 및 환경공학과

2011

농업과학

김대옥 교수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대학

물리학

박원일 교수

한양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생물학/생화학

채호준 교수

전남대학교

생명과학기술학부

약리학/독성학

이은성 교수

가톨릭대학교

생명환경공학부

임상의학

서영준 교수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재료과학

박종남 교수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친환경에너지공학부

화학

주상욱 교수

울산과학기술대학교

나노생명과학공학부

2010

공학

김해원 교수

단국대

치과대학

면역학/미생물학

이복률 교수

부산대

약학대학

생화학/유전학/분자생물학

정종경 교수

서울대

생명과학부

약리학/독성학/약학

정지훈 교수

성균관대

약학부

에너지

홍성안 박사

KIST

연료전지연구센터

재료과학

이광희 교수

GIST

신소재공학부

컴퓨터과학

신현동 교수

경희대학교

전자전파공학과

화학

천진우 교수

연세대학교

화학과

화학공학

이영무 교수

한양대학교

에너지공학과

2009

물리학

강주환 교수

연세대

물리학과

분자생물학/유전학

김빛내리 교수

서울대

생명과학부

수학

박춘길 교수

한양대

수학과

약리학/독극물학

박태관 교수

KAIST

생명과학과

재료과학

현택환 교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화학

유룡 교수

KAIST

화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