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과학정상회의 D-6 -OECD 과기장관회의 과학기술포럼 주요 연사 확정
작성일 : 2015. 10. 14. 세계과학정상회의 준비기획단
- 세계과학정상회의 D-6 -
OECD 과기장관회의·세계과학기술포럼 주요 연사 확정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미국의 저명한 미생물생태학자 자넷 잰슨(Janet Jansson) 박사가 경제협력개발기구(이하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 기조연사로, 일본의 노벨상 수상자 노요리 료지(野依良治) 전 일본이화학연구소(RIKEN, 이하 리켄) 이사장이 세계과학기술포럼 개회식 연사로 각각 추가 선정되는 등 세계과학정상회의 주요 연사의 섭외가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ㅇ 2015 세계과학정상회의(10.19~23)는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와 ‘세계과학기술포럼’, 그리고 ‘대한민국 과학발전 대토론회’ 등으로 구성되며, 각국 장·차관과 세계적인 석학들이 함께 모여 향후 10년간의 세계 과학기술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 회의다.
□ OECD는 미국 에너지부 퍼시픽노스웨스트국립연구소(PNNL,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의 생물과학부(Division of Biological Science)를 총괄하고 있는 미생물생태학자 자넷 잰슨 박사를 OECD 과기장관회의 기조연사로 선정, 과기장관회의 기조연사 6인 전원을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 OECD 과기장관회의 기조연사 6인: 에스코 아호 전 핀란드 총리, 이희국 ㈜엘지(LG) 사장, 필 다이아몬드 SKA(Square Kilometre Array) 거대전파망원경 프로젝트 단장, 자넷 잰슨 박사, 에르베 르 트뢰트 프랑스 에꼴 폴리테크닉 교수, 캐롤라인 와그너 미 오하이오주립대 교수
ㅇ 에스코 아호 전 핀란드 총리와 이희국 LG 사장, 필 다이아몬드 SKA 프로젝트 단장은 OECD 과기장관회의 첫 날인 10월 20일 ‘효과적인 과학기술혁신 실현방안’을 주제로 진행되는 본회의에서, 자넷 잰슨 박사와 에르베 르 트뢰트 교수, 캐롤라인 와그너 교수는 둘째 날인 21일 ‘글로벌 도전과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주제의 본회의에서 각각 기조연설을 하게 된다.
□ 2001년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노요리 료지 전 리켄 이사장이 세계과학기술포럼 개회식 연사로 합류함에 따라, 19일 세계과학기술포럼 개회식에서는 제레미 리프킨(Jeremy Rifkin)의 ‘디지털 한국, 3차 산업혁명, 그리고 한계비용제로사회’ 기조연설과, ‘미래사회의 글로벌 도전과제와 과학기술혁신’을 주제로 하는 아론 시카노바(2004년 노벨화학상)와 노요리 료지 두 노벨상 수상자의 강연이 차례로 진행될 예정이다.
□ 미래창조과학부 이석준 제 1차관은 “노벨상 수상자를 비롯한 세계적인 석학과 전문가들의 수준 높은 강연이 이번 회의의 큰 축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끝.
[붙임 1]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 기조연사 6인 소개
[붙임 2] 세계과학기술포럼 개회식 연사 소개
[붙임 3] 세계과학정상회의 개요 [붙임 4]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 개요
[붙임 5] 세계과학기술포럼 개요
붙임 1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 기조연사 6인 소개
□ 에스코 아호(Esko Aho) 전 핀란드 총리
ㅇ 1954년생
ㅇ ‘91년 36세로 핀란드 역사상 최연소 총리로 선출돼 ’95년까지 재임하면서 핀란드의 유럽연합 가입(1995)을 이끌었으며, 핀란드에서는 미국의 존 F. 케네디에 비견돼 ‘*카누스(Kannus)의 케네디‘로 불림. * 핀란드 서부의 도시로 에스코 아호의 출신지
ㅇ 핀란드 국회위원(1983~2003), 핀란드 중앙당 총재(1990~2002) 역임
ㅇ 현재 핀란드산업동방사무소(East Office of Finnish Industries) 회장 겸 핀란드-러시아상공회의소(Finnish-Russian Chamber of Commerce) 회장으로서 핀란드-러시아 간 경제협력을 주도하고 있음
ㅇ 노키아에서 수석부사장(2009~2012) 역임 후 자문역으로 활동중
ㅇ 핀란드 국가혁신기금(SITRA) 총재(2004~2008) 역임
ㅇ 미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정치학연구소 수학(2001)
□ 이희국 ㈜엘지(LG) 사장 겸 기술협의회 의장
ㅇ 1952년생
ㅇ 서울대 전자공학과를 나와 美 스탠퍼드대에서 전기공학 박사를 받았고, 1983년 LG반도체 연구개발본부장을 시작으로, LG전자 기술원장, LG전자 최고기술경영자(CTO, Chief Technology Officer) 사장을 거쳐 현재 LG기술협의회 의장을 맡고 있으며, LG 창조경제지원단장을 겸하고 있음
ㅇ 30여 년간 정보통신기술(ICT)산업 일선에서 과학기술 연구개발 관련 요직을 거치며 우리나라 ICT 산업이 세계적인 수준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해온 경험과 역량으로 한국인 최초의 OECD 과기장관회의 기조연사로 선정
□ 필 다이아몬드(Phil Diamond) SKA(거대전파망원경)프로젝트 단장
ㅇ 1958년 영국 출생
ㅇ 영국 맨체스터대 천체물리학과 교수 겸 조드렐뱅크천체물리학센터(Jodrell Bank Centre for Astrophysics) 디렉터로 재직 중
ㅇ 2012년 9월 *SKA(Square Kilometre Array) 거대전파망원경 프로젝트 단장 부임 이래 현재까지 SKA 건설 준비활동을 주도하고 있음
* SKA 거대전파망원경 프로젝트는 세계 최대 규모, 최고 감도의 거대전파망원경을 호주와 남아프리카에 건설하는 프로젝트로, 반경 3천 킬로미터 부지에 총 개구면적(開口面積)이 1평방킬로미터에 달하는 수천 개의 전파수신기들을 설치, 기존 최신 전파망원경 대비 50배의 감도와 1만 배 이상의 측정속도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SKA 거대전파망원경이 완성되면 △빅뱅 후 최초의 별과 은하들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암흑에너지는 어떻게 우주의 팽창을 가속하는가 △우주에서 자력(磁力)의 역할은 무엇인가 △중력의 본질은 무엇인가 △지구 밖에도 생명이 존재하는가 등 우리 우주의 본질에 관한 질문들의 해답을 찾는 데 활용될 전망이다.
ㅇ SKA 프로젝트 단장 부임 전에는 호주연방과학원(CSIRO, the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zation) 천문우주과학부문장으로서 호주국립천문기구(ATNF, Australia Telescope National Facility)와 캔버라심우주커뮤니케이션컴플렉스(CDSCC, Canberra Deep Space Communication Complex)를 총괄
ㅇ 2000년 국제SKA운영위원회(ISSC, International SKA Steering Committee) 회의를 시작으로 SKA 관련 다양한 활동에 참여했으며, ISSC가 SKA과학공학위원회(SSEC,. SKA Science and Engineering Committee)로 개편된 이후 2005년부터 2년간 위원장을 역임함
□ 자넷 잰슨(Janet Jansson) 박사
ㅇ 미 에너지부 산하 퍼시픽노스웨스트국립연구소(PNNL,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 생물과학부(Division of Biological Science) 디렉터로 재직 중 (2014. 6~현재)
- 환경변화가 미생물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다학제적으로 연구하는 대규모 연구 프로젝트 ‘MinT(Micobiomes in Transition)’를 총괄
- 기후변화가 대초원·극지대의 미생물군집, 특히 영구동토층의 토양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등을 집중 연구 중
ㅇ 미생물생태학 분야에서 30여년의 연구경력을 쌓았으며, 특히 토양, 침전물, 사람의 장(腸) 등에 서식하는 다양한 미생물군집에 대한 미생물유전체학적 연구에 전문성을 갖고 있음
- 토양 및 작물과 관련한 박테리아의 생리상태 연구에 공헌
- 스웨덴에서 유전자변형미생물의 첫 번째 현장실험을 진행
- 멕시코만 ‘딥워터호라이즌’ 원유유출사고(2010)가 수중, 해변, 침전물의 미생물군집에 미친 영향을 다체학(multi-omics)적 접근법으로 연구
- 항생제, 염증성 장 질환, 다이어트 등이 장(腸)내 미생물군집에 끼치는 장기적 영향 등 인간 장(腸)내 미생물군집을 집중 연구
ㅇ 국제미생물생태학회(ISME, International Society of Microbial Ecology) 현 회장(2014~2016), 전 부회장(2012~2014)
ㅇ PNNL 합류 전에는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수석연구원으로서 지구과학부문 생태계생물학프로그램을 총괄(2007~2014)
ㅇ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스웨덴농업과학대 자연과학대 부원장 겸 환경미생물학과장으로서 스웨덴의 국가전략연구소 중 하나인 웁살라미생물유전체센터(Uppsala Microbiomics Center)를 총괄
ㅇ 1988년 미시간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음
□ 에르베 르 트뢰트(Hervé Le Treut) 에꼴 폴리테크닉 교수
ㅇ 프랑스국립과학연구소(CNRS) 연구디렉터 겸 피에르시몽라플라스연구소(IPSL) 산하 동태기후학연구소(LMD) 디렉터
ㅇ 세계기후연구프로그램(WCRP, World Climate Research Programme) 합동과학위원회(JSC, Joint Scientific Committee) 위원
ㅇ 유네스코(UNESCO)·*미래지구(Future Earth)·
국제과학연맹이사회(ICSU, International Council of Scientific Unions) 주관 2015 기후변화공동미래컨퍼런스(CFCC15, our Common Future under Climate Change, 프랑스 파리, 2015. 7. 7~10) 공동조직위원장 역임
*유엔환경계획(UNEP), 유네스코, ICSU 등의 후원을 받는 지구 지속가능성 및 지구환경 연구기관
ㅇ 프랑스 고등사범학교(ENS)에서 물리학을 전공한 후 일찍부터 기후모델연구 및 기후모델개발 분야에 투신해 파리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다양한 영역의 기후예측·기후모델링과 관련해 국제학술지에 80여 편의 논문을 저자·공저자로 발표한 저명한 기후학자
□ 캐롤라인 와그너(Caroline Wagner) 오하이오주립대 교수
ㅇ 과학기술 및 과학기술정책, 사회, 혁신 분야에서 30여 년간 3개 대륙을 오가며 전문영역을 구축해온 과학기술정책학자
ㅇ 랜드연구소(Rand Corporation) 과학기술정책연구부 부소장을 역임했으며, 세계은행의 지식보고서 및 기타 프로젝트, 유엔(UN) 밀레니엄 개발 프로젝트 등에 참여했고, OECD 및 여러 국가 정부에 자문을 제공
ㅇ 미국 워싱턴DC 트리니티칼리지를 졸업한 후 조지워싱턴대에서 석사학위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음
ㅇ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회원
붙임 2
세계과학기술포럼 개회식 연사 소개
□ 제레미 리프킨 (개회식 기조연사)
이름
제레미 리프킨(Jeremy Rifikin), 기조연설
국적
미국
출생
1945년생
소속
경제동향연구재단(FOET, Foundation on Economic Trends)
설립자 겸 이사장
학력
- 플레처 법률외교대학원 국제사무학 석사(1968)
- 펜실베니아 대학교 와튼스쿨 경제학 학사(1967)
전문분야
과학기술 변화가 경제, 노동, 사회, 환경에 미치는 영향
경력
- 와튼스쿨 경영대 최고경영자과정 교수 재직(1994년~)
주요저서
<한계효용 제로 사회: IoT와 자본주의 미래(2014)>
<수소경제(2002)>, <소유의 종말(2000)>, <노동의 종말(1995)>,
<엔트로피 법칙(1989)>
키워드
제레미 리프킨이 바라보는 우리의 미래
과학, 자본주의 미래의 대안
스토리
- 미국 경제학자, 미래학자, 환경학자, 운동가, 저술가
- 기술이 환경 및 제반 사회구조에 미치는 영향, 환경과 경제가 일정하게 통합된 구조임을 역설한 <엔트로피>는 초기 대표작이자 1980년대 논쟁작
- 현실분석을 통한 미래 예측 작업에 매진
- <노동의 종말>에서 정보화로 소수 엘리트를 제외한 인간의 노동이 서서히 제거되어 갈 것이라는 노동의 미래 예측, <바이오테크 시대>에는 산업시대와 비견될 만큼 중요한 ‘유전자의 시대’가 인간성을 근본적으로 뒤흔들 것이라는 전망, <소유의 종말>에는 문화마저도 자본에 잠식돼 모든 경험과 시간이 상품화되는 ‘접속 시대’ 그림을 펼침
- 미래 전망과 현실 비판은 여전히 호소력이 있다는 게 대다수 평
□ 아론 시카노바
이름
아론 시카노바(Aaron Ciechanover), 전체강연
국적
이스라엘
출생
1947년생
소속
- 테크니온 공대 교수
- 서울대 의대 단백질대사의학연구센터 석좌교수
학력
- 하다쉬 대학교 과학 석사(1971)
- 테크니온-이스라엘 기술연구소 생화학 박사(1981)
전문분야
단백질 결합 효소 연구, 면역 의학
경력
- 이스라엘 테크니온대학교 교수
- 2004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이스라엘 첫 과학 부문 노벨상 수상자
키워드
“사라지는 것에 답이 있다”
스토리
- 인체 내 존재하는 ‘유비퀴틴(ubiquitin)'이라는 단백질이 다른 단백질과 결합해 체내에 망가진 단백질을 분해하면서 세포의 사멸과정을 주도하는 구체적 작동원리를 밝혀낸 업적으로 노벨화학상 수상
- 대부분의 과학자가 단백질 생성에 관심을 갖던 때, 단백질이 어떻게 소멸되는지 연구. 알츠하이머병이나 노화처럼 특정 단백질이 원인이 되는 병의 치료법을 찾는 데 전기 마련
- 유비퀴틴의 발견으로 자궁경부암, 낭포성 섬유증, 면역질환 등에 관한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마련했으며, 많은 제약사가 자궁경부암 등 다양한 난치병 치료제를 개발하거나 개발 중.
(개회식 연사)
□ 노요리 료지
이름
노요리 료지(野依良治), 전체강연
국적
일본
출생
1938년생
소속
- 일본 과학기술진흥기구(JST) 연구개발전략센터(CRDS) 센터장
- 나고야대 특별교수(2004~현재)
- 일본이화학연구소(RIKEN, 리켄) 펠로(2015. 4~현재)
학력
- 교토대 공학부 공업화학과 졸업(1961)
- 교토대 대학원 공업화학 석사(1963)
- 교토대 대학원 공학박사 (1967)
전문분야
분자촉매화학 등 유기화학
경력
- 리켄 이사장(2003. 10~2015. 3.)
- 나고야대학 특임교수(2003~2004)
- 2001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 나고야대(대학원) 교수(1972~2003)
- 하버드대 박사연구원 (1969~1970)
키워드
노벨화학상 수상자, 12년간 리켄 이사장 역임, 과학기술 중요성 강조
스토리
- 화학계의 숙원이던 광학이성질체(光學異性質體)의 선택적 합성기법을 개발한 공로로 미국의 윌리엄 놀즈(William Knowles), 배리 샤플레스(Barry Sharpless)와 함께 2001년 노벨화학상 공동수상
- 놀즈의 광학활성촉매를 이용한 수소화반응에 관한 연구를 발전시켜 이를 산업화, 심장병과 파킨슨병 등의 치료제 개발에 공헌함
- 2003년 10월 리켄이 문부과학성 독립행정법인으로 출범하면서 초대 이사장으로 부임, 2·3대 이사장을 연임하며 10여 년간 리켄을 지휘
- 2014년 리켄에서 자극야기다능성획득(STAP, Stimulus-Triggered Acquisition of Pluripotency)세포 조작사건이 발생하자 연구부정재발방지개혁추진본부장을 맡아 대응을 지휘
- 2015년 3월 리켄 이사장 임기 3년을 남기고 노령을 이유로 사임(리켄은 4월 국립연구개발법인으로 재출범)
(개회식 연사)
붙임 3
세계과학정상회의 개요
□ 추진 배경
ㅇ 과기혁신 분야 장관, 국제기구, 저명인사가 모여 세계경제의 저성장 기조 및 글로벌 사회문제를 대응하기 위한 과기혁신 논의 추진
□ 행사 개요
ㅇ (일시 및 장소) '15. 10. 19 ~ 23 (5일), 대전 컨벤션센터(DCC)
ㅇ (주 최) 미래창조과학부, OECD
ㅇ (주 제)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글로벌 미래창조*
* Creating Our Common Future through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ㅇ (초 청) 69개 국가·국제기구의 장관급, 세계적 석학 등 저명인사 초청
- 현재(‘15.9.16) 장‧차관급 43명(일본 2명), 제레미 리프킨(美 경제동향재단 이사장), 아론 시카노바(‘04 노벨상) 등 70여명의 민간연사 참석 확정
< 세계과학정상회의 주요 프로그램 >
10. 19 (월)
10. 20 (화)
10. 21 (수)
10. 22 (목)
10. 23 (금)
세계과학
기술포럼
ASEAN+3 과기장관포럼
OECD
과기장관회의
OECD
과기정책위원회
총 회
대한민국 과학발전 대토론회
OECD 과기장관회의
□ 기대 효과
ㅇ 과기혁신(STI)은 세계경제 저성장 및 글로벌 사회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며, 미래성장동력이라는 창조경제 패러다임을 세계에 제시
ㅇ OECD 과기정책위원회 창설 이래 처음 해외, 특히 아시아에서 개최되는 장관회의로, 한국의 과학기술 외교력을 격상하는 계기 마련
ㅇ 행사기간 대중들이 참여하는 연계행사를 동시에 개최함으로써 과학문화를 부흥시키고, 대전을 세계 속에 과학도시로 발전시킬 계기 마련
붙임 4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 개요
□ 행사 개요
ㅇ 일시 및 장소 : '15. 10. 20(화) - 21(수), 대전컨벤션센터(DCC)
ㅇ 주최 및 주관 : 미래창조과학부, OECD
ㅇ 주 제 :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글로벌 미래 창조 (Creating Our Common Future through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 회의 진행
ㅇ (본 회의) 장‧차관 등 각국 수석대표만 참여하는 비공개 회의로, 2개의 본 회의 및 마무리 회의로 진행할 예정
-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글로벌 미래창조(장관회의 주제)를 위해 본회의Ⅰ은 개별국가 차원의 전략, 본회의Ⅱ는 글로벌 차원의 협력방안 논의
- 각 본회의는 △ 분임회의별 논의주제를 소개(민간 기조연설자)하는 전체회의Ⅰ, △ 3개의 분임회의(분임별 평균 17명의 수석대표 참석), △ 분임별 토의 결과 발표 및 전체 토의하는 전체회의Ⅱ로 구성
□ 대전선언문(안)
ㅇ ‘글로벌․디지털 시대의 과학기술혁신정책’이라는 제목으로, 향후 10년 간 글로벌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대전선언문을 채택할 예정
<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 프로그램(안) >
구 분
비고
개회식
본 회의Ⅰ
(효과적인 과학기술혁신 실현방안)
전체회의 Ⅰ
※ 회의 주제의 논의배경 소개 및 기조연설
분임 회의
국가
혁신전략
공공투자의
영향력 제고
21세기 과학정책: 오픈사이언스, 빅데이터
전체회의 Ⅱ
본 회의 Ⅱ
(글로벌 도전과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전체회의 Ⅰ
분임 회의
의료 분야
과학혁신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술 개발
포용적 성장을 위한 과학혁신
전체회의 Ⅱ
마무리 회의
o 대전선언문 채택
붙임 5
세계과학기술포럼 개요
□ 행사 개요
ㅇ 일시 및 장소 : '15. 10. 19(월), 대전컨벤션센터(DCC)
ㅇ 주최 : 미래창조과학부, 광복 70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ㅇ 후원 : 대전시 외 18개 기관
KISTEP, STEPI, KAIST, DGIST, UNIST, GIST, KRIBB, KBRI, NCC, GTC, KIER, NIPA, NIA, KIST, NRF, KISA, KOFAC, KICT
< 세계과학기술포럼 전체프로그램(안) >
시 간
분임 세션 (DCC 1층)
특별세션
(DCC 3층)
Track 1
Track 2
Track 3
Track 4
과학기술혁신
시스템
과학기술과 미래변화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혁신과 창조경제
지속가능 동반성장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09:00-11:00
개회식 - 개회사(미래부 장관), 환영사(대전시장), 축사(국무총리)
*기조연설: 디지털한국, 3차 산업혁명과 한계비용제로사회(제레미리프킨)
*전체세션(노벨상 수상자 특별강연) : 미래사회의 글로벌 도전과제와 과학기술혁신
(아론시카노바, ‘04노벨화학상 수상자, 노요리 료지, ‘01노벨화학상 수상자)
11:00-12:30
세션 1-1
(과학기술혁신
정책, R&D혁신)
세션 2-1
(바이오와 맞춤의료의 미래)
세션 3-1
(과학기술기반
혁신클러스터)
세션 4-1
(기후변화대응
및 환경)
Talk Concert
with Young Innovators
12:30-14:00
Lunch time
14:00-15:30
세션 1-2
(과학기술혁신
투자 영향평가)
세션 2-2
(차세대 에너지
R&D 전략)
세션 3-2
(과학기술과
제조업혁신)
세션 4-2
(글로벌 공존을 위한 과학기술)
과학창의로 여는 미래
15:30-16:00
특별세션
Coffee Break
16:00-17:30
세션 1-3
(과학교육·
인재양성)
세션 2-3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세션 3-3
(문화예술과 과학기술
융합을 통한 혁신)
세션 4-3
(글로벌협력 및
공공복리)
공상과학영화, 현실이 된다.
-우주자원탐사-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판교테크노밸리]제10회 K-ICT 대한민국 인터넷대상 시상계획 공고 (0) | 2015.10.14 |
---|---|
[판교테크노밸리]2015 과학경진대회 우수작품 지방순회전시 개최 (0) | 2015.10.14 |
[판교테크노밸리]원자크기 수준의 금속 틈 세계 최초 제작-양자 수준 금속 틈에 빛을 모으는데 성공, 전자소자분야 혁신 기반 마련 (0) | 2015.10.14 |
[판교테크노밸리]2015년도 구매조건부 신제품개발사업 수요조사과제(3차, 국방분야) 중소기업 모집 공고 (0) | 2015.10.14 |
[판교테크노밸리]2016년 플랫폼 - 가상현실(VR) 최근실태와 분야별 기술개발 및 주요과제 세미나- 기술별 / 컴포넌트별 / 용도별 (0) | 2015.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