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원천 기술을 국내 상용화 기술로 개발- 글로벌 기술도입형 국제공동기술개발 사업 공고
담당부서 산업기술개발과등록일 2021-06-07
해외 원천 기술을 국내 상용화 기술로 개발
- 글로벌 기술도입형 국제공동기술개발 사업 공고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 이하 산업부)는 6.7(월), ‘글로벌 기술도입형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을 공고하였다.
□ 올해 시범사업으로 추진하는 ‘글로벌 기술도입형 국제공동기술개발 사업’은 해외기업 또는 기술(IP 등)의 인수 등을 통해 해외기업의 원천기술을 획득한 국내기업에게 상용화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ㅇ 선정된 기업은 3년간 최대 24억원의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받으며, 해외기업과의 공동연구, 기술인력 교류 등을 통해 상용화에 필요한 추가 기술을 개발하게 된다.
< 글로벌 기술도입형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 개요 >
ㅇ 지원내용 : 해외로부터 원천기술을 확보한 국내기업의 후속 기술개발을 지원
국내기업
해외기술도입
해외기업
공동연구, 인력교류
* 해외기업으로부터 원천기술을 도입하고, 도입 기술을 바탕으로 해외기업과의 공동연구, 기술인력 교류 등을 통해 신속한 상용화를 도모
ㅇ 지원규모 : 과제별 총 24억원 이내(연간 8억원 이내, 최대 3년)
ㅇ 신청자격 : 해외 기술도입의 일환으로 ➊해외기업 또는 기술(IP 등)의 인수, ➋해외기업으로의 투자, ➌해외기업과의 합작법인 설립 계약이 성사된 국내기업
□ 자체 연구개발만이 아닌, 외부자원을 활용하는 개방형 기술혁신(Open innovation) 방식은 조기에 기술을 확보하는 유용한 전략으로, 구글*, 페이스북 등 글로벌 기술 기업이 이를 적극 활용하며 성장하였다.
* ‘97년 설립이래, 모바일 OS ’안드로이드‘(’05년),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06년), 알파고의 원조 ’딥마인드‘(’14) 등 130여개 기업 기술인수
ㅇ 국내에서도 반도체 패키징 기술 애로에 직면했던 국내기업 ‘네패스’가 패키징 기술에 강점을 보유한 미국 반도체 패키지 업체의 핵심 기술을 인수하고 후속 기술개발 추진을 통해 500억원 이상의 잠재적인 성과를 이룬 바 있다.
□ 산업통상자원부 김상모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코로나-19로 빠르게 변하는 시장환경에 대응하여 해외 우수기업과의 전략적 기술 협력은 신속한 기술혁신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이다.”라고 강조하며,
ㅇ “우리 기업들이 신속하게 기술패러다임을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국제공동기술개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 한편, 이번 사업의 상세한 내용과 신청절차 등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www.kiat.or.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9.1(수)까지 사업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부, 6.23~6.25일 「제1회 디지털 유통대전」 개최 (0) | 2021.06.07 |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재제조’ 사업화 지원 본격 추진-순환경제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재제조 기업 35개 선정·지원 (0) | 2021.06.07 |
2021년 6월 대한민국 기술자(엔지니어)상 수상자 선정-롯데케미칼㈜ 권오성 팀장 / ㈜포스콤 나창식 책임연구원 (0) | 2021.06.07 |
국민이 체감하는 디지털뉴딜 마이데이터 실증서비스 8개 선정 (0) | 2021.06.07 |
제1차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21∼'25) 공청회 개최-2025년 자율주행 기반 교통물류체계 상용화 시대 개막 (0) | 2021.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