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OECD 한국경제보고서」 발표-한국경제보고서(OECD Economic Surveys: Korea 2020)
2020.08.11. 경제분석과
「2020 OECD 한국경제보고서」 발표
- 회원국 최초 성장률 상향, 올해 성장률 회원국중 월등한 1위 -
- 일체의 봉쇄조치 없이 방역에 성공, 경제적 피해도 최소화 -
- 위기상황에서 신속·효과적인 정책대응으로 성공적인 경제운영 -
- ‘한국판 뉴딜’에 대한 긍정적 역할 기대 -
? OECD는 8.11.(화) 프랑스시간 08:00(한국시간 15:00)에 「한국경제보고서(OECD Economic Surveys: Korea 2020)」를 발표
* OECD는 2년 주기로 회원국의 경제동향・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평가하고, 정책권고 사항을 포함한 국가별 검토보고서를 발표
↳ 당초 5월경 발간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영향 등 반영을 위해 8월로 연기
ㅇ 보고서는 ➊거시경제 동향 및 정책, ➋고령화 대비 일자리 정책, ➌생산성 향상 등을 위한 기술 확산으로 구성
? OECD는 금번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 발생 이후 한국의 방역·위기 대응 및 경제성과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
➊ 신속·효과적인 방역조치로 코로나19를 가장 성공적으로 차단
▪정부의 즉각적인 조치와 효과적인 방역 전략으로
바이러스 확산을 차단
* a prompt reaction and an effective containment strategy allowed to limit the spread of the disease.
▪한국은 바이러스 확산을 가장 성공적으로 차단한 국가로 일체의 봉쇄조치 없이 방역 성과를 거두면서 경제적 피해도 최소화
* Korea has been among the most successful countries in the world in limiting the spread of the disease … without locking down any city or region, which minimized the economic impact
➋ 적극적 위기대응 정책으로 성공적으로 경제 운영
* The government has taken appropriate and prompt measures to support economy and alleviate hardship
▪신속하고 효과적인 정책대응에 힘입어 경제충격이 제한적으로 나타나며 회원국 중 경제위축이 가장 작았다고 평가
* Thanks to the government’s prompt response to the pandemic, Korea is experiencing the shallowest recession among OECD countries(OECDPress release)
▪다른 회원국에 비해 고용·성장률 하락폭이 매우 작은 수준이라고 진단
* COVID-19 crisis has hit employment hard, albeit less than in most other countries
* The projected contraction in GDP in 2020 is considerably milder than in other OECD countries
➌ OECD 회원국 중 최초로 ‘20년 성장률 전망 상향조정(△1.2%→△0.8%)
▪금번 전망 상향은 2/4분기 GDP 실적 등을 반영한 결과로, 한국의 ‘20년 성장률이 2위와 4%p 이상 격차를 보이면서 월등한 1위를 기록(☞별첨1)
▪세계경제 둔화 등으로 수출 전망은 하향조정했으나, 정부의 내수활성화 정책 등에 힘입어 내수지표 상향
* ’20년 한국경제 전망치(’20.6→8월, %, Single-hit 기준) : (전체)△1.2→△0.8 (민간소비)△4.1→△3.6 (총투자)△0.7→+2.9, (수출)△2.6→△5.7
‘20년 성장률 전망(전년대비, %) 6월 고용 변화(전년대비, %)
➍ 양호한 재정건전성 바탕의 확장재정 등 거시정책 긍정 평가
▪양호한 재정건전성을 바탕으로 실시한 확장적 재정정책은 위기 대응에 적절했던 것으로 평가
* The government has appropriately responded to the COVID-19 crisis by providing additional fiscal support to the economy … Sound public finances provide room to increase spending
재정수지 추이 및 전망(GDP대비 %) 정부부채(GDP대비 %, ‘19)
▪정부의 금융시장 리스크에 대한 적극적 조치 등으로 금융시스템도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
* The financial authorities have taken determined action to address financial risks and now appear to have stabilised financial markets.
▪ 장기추이로 볼 때 전국단위의 실질주택가격 등은
효과적인 정책대응 등으로 OECD 평균에 비해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
* Real housing prices have been stable at the national level over the past decade thanks to more responsive supply than in most OECD countries and prudent financial policy
실질주택가격 추이(‘86.1/4~’20.1/4) 주택가격-임대료 비율 추이(‘86.1/4~’20.1/4)
▪완화적 정책기조는 유지하되 향후 시중유동성의 부동산시장 과다유입 등 금융안정 리스크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
* financial stability risks, such as an over-concentration of capital in the real-estate market, while maintaining its accommodative policy stance to support the economy
? OECD는 「한국판 뉴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향후 경제회복 등에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
➊ 「한국판 뉴딜」의 핵심 내용을 상세히 설명
▪한국을 디지털 기술 분야의 선두국가로 평가하며, 최근 발표한 뉴딜에 대해 민관 시너지 촉진에 초점을 둔 정책으로 소개
* Korea is a frontrunner in digital technologies and one of the top five contributors to the development of emerging digital technologies.
* The New Deal focuses on projects exploiting synergies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business sector, including strengthening data infrastructures … .
▪ 뉴딜은 디지털 뉴딜, 그린뉴딜, 사회안전망 강화로 구성되며, ’25년까지 약 114조원의 예산 투입, 약 190만개의 일자리 창출 기대
➋「한국판 뉴딜」을 통한 경기회복 기대
▪디지털·그린·사람투자를 통해 환경친화적·포용적인
경기회복을 뒷받침할 것으로 평가
* The recently announced Korean New Deal, which will boost digital, green and skills investments, has the potential to support a green and inclusive recovery.
▪재생에너지·친환경기술 지원 확대는 재정승수가 높아 경제회복을 공고히 하는데 기여
* increased support for the transition towards renewable energy and clean technologies would strengthen the second phase of the recovery, in which fiscal multipliers will be higher
? 한편, 금번 보고서의 특별주제* 등과 관련하여 제시한 정책권고는 대체로 정부 정책방향과 부합하는 모습
* 1」고령화에 대비한 고용 증대 및 일자리 질 향상
2」코로나19 충격 극복과 생산성·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술확산 촉진
➊ 핵심 정책권고 중 다수가 한국판 뉴딜 과제에 포함
▪디지털 분야 투자 확대를 통해 기술 확산과 생산성 제고를 권고
* Support growth-enhancing investments, notably in digital fields, such as 5G infrastructur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비정규직 및 새로운 형태 근로자에 대한 보호 강화 권고는 뉴딜의 전국민 고용보험 도입 과제와 일맥상통
* Strengthen protection and coverage for non-regular workers and workers in new forms of employment
▪기초생보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 권고는 뉴딜 과제에 기포함
* As planned under the New Deal, phase out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from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me
▪뉴딜 과제에 포함된 상병수당 도입을 권고하면서
재활과 직장복귀에 도움이 되도록 설계할 것을 제안
* Match the introduction of a cash sickness benefit planned in the New Deal with a strong focus on rehabilitation and return to work
➋ 삶의 질, 생산성 개선 등 정책권고가 정부 정책방향에 부합
▪정부의 근로시간 단축을 올바른 방향으로 평가하면서, 장시간 근로 관행 변화를 위한 추가 대응을 권고
* While having more stringent working time limits is an important step in the right direction, more is needed to effectively change Korea’s long working-hour culture
▪과도한 규제를 완화하기 위한 규제 샌드박스 활용 및 환자안전·진료의 질 확보를 전제로 한 비대면의료 활성화 권고
* Use regulatory sandboxes to identify excessive regulation and revise or abolish it. Facilitate telemedicine, as long as it is compatible with preserving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care
▪이밖에 고령화 대비 주된 일자리 고용 안정, 고령층 일자리 질 개선,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 등 다수 권고가 ‘혁신적 포용국가’로의 전환을 위해 정부가 기추진중인 역점과제에 해당
※ <별첨1> OECD 회원국(37개) 성장률 전망
<별첨2> 2020 OECD 한국경제보고서 핵심 정책권고 사항
<별첨3> 2020 OECD 한국경제보고서 주요내용
기획재정부 대변인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77 정부세종청사 4동 moefpr@korea.kr
별첨 1 OECD 회원국(37개) 성장률 전망
(단위 : %)
‘19년 ‘20년 ‘21년 출처
single hit Double hit single hit Double hit
한국 2 △0.8 △2.0 3.1 1.4 OECD 한국경제보고서(8.11)
[△1.2] [△2.5] [3.1] [1.4] [OECD 경제전망(6.10)]
터키 0.9 △4.8 △8.1 4.3 2 OECD 경제전망(6.10)
호주 1.8 △5.0 △6.3 4.1 1
칠레 1 △5.6 △7.1 3.4 1.9
덴마크 2.4 △5.8 △7.1 3.7 0.9
노르웨이 1.2 △6.0 △7.5 4.7 1.3
일본 0.7 △6.0 △7.3 2.1 △0.5
콜롬비아 3.3 △6.1 △7.9 4.3 2.8
이스라엘 3.5 △6.2 △8.3 5.7 2.6
오스트리아 1.5 △6.2 △7.5 4 3.2
룩셈부르크 2.3 △6.5 △7.7 3.9 0.2
독일 0.6 △6.6 △8.8 5.8 1.7
스웨덴 1.2 △6.7 △7.8 1.7 0.4
아일랜드 5.5 △6.8 △8.7 4.8 △0.2
미국 2.3 △7.3 △8.5 4.1 1.9 OECD 미국경제보고서(7.9)
폴란드 4.1 △7.4 △9.5 4.8 2.4 OECD 경제전망(6.10)
멕시코 △0.1 △7.5 △8.6 3 2
스위스 1 △7.7 △10.0 5.7 2.3
슬로베니아 2.4 △7.8 △9.1 4.5 1.5 OECD 슬로베니아보고서(7.20)
핀란드 0.9 △7.9 △9.2 3.7 2.4 OECD 경제전망(6.10)
캐나다 1.7 △8.0 △9.4 3.9 1.5
헝가리 4.9 △8.0 △10.0 4.6 1.5
그리스 1.9 △8.0 △9.8 4.5 2.3 OECD 그리스보고서(7.22)
네덜란드 1.8 △8.0 △10.0 6.6 3.4 OECD 경제전망(6.10)
라트비아 2.2 △8.1 △10.2 6.3 2
리투아니아 3.9 △8.1 △10.4 6.4 3.4
에스토니아 4.4 △8.4 △10.0 4.3 1.6
뉴질랜드 2.2 △8.9 △10.0 6.6 3.6
벨기에 1.4 △8.9 △11.2 6.4 3.4
슬로바키아 2.4 △9.3 △11.1 6.4 2.1
포르투갈 2.2 △9.4 △11.3 6.3 4.8
체코 2.5 △9.6 △13.2 7.1 1.7
아이슬란드 1.9 △9.9 △11.2 4.6 3
스페인 2 △11.1 △14.4 7.5 5
이탈리아 0.3 △11.3 △14.0 7.7 5.3
프랑스 1.5 △11.4 △14.1 7.7 5.2
영국 1.4 △11.5 △14.0 9 5
별첨 2 2020 OECD 한국경제보고서 핵심 정책권고 사항
➊코로나19 영향 완화를 위한 거시경제 정책
▪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정부는 가계·기업 지원을 지속하고, 추가적인
소득 지원시에는 저소득층에 집중
▪장기적인 재정운용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되,
건전한 재정을 기반으로 추가 경기부양 여력이 있는 만큼 성장률을 제고하는 투자를 지원할 필요(특히, 5G·인공지능 등 디지털 부문)
▪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유동성 지원을 넘어 비전통적
수단도 고려
▪ 대기오염물질 배출 허용기준 및 차량 배기가스 기준을 강화하고,
CO2 배출권 가격을 점차 인상해나갈 필요
➋코로나19와 고령화에 대비한 고용 증대 및 일자리 질 향상
▪ 고용지원서비스·교육훈련 투자를 확대하여 구직지원 강화
▪ 향후 정년을 연장한다는 목표 하에, 주된 일자리에서 오래 근무할 수
있도록 임금 유연성 확대 등 인센티브 확대
▪「한국판 뉴딜」에서 제시한 상병수당 제도 도입시, 근로자의 재활과
일자리 복귀 지원에 부합하도록 설계
▪ 비정규직·플랫폼 노동자 등의 사회안전망을 강화하고 사회보험 가입
준수 유도
▪ 절대 빈곤 고령층을 중심으로 기초연금 추가 인상하고,
뉴딜에서 제시한대로 기초생보 부양의무 기준을 완화
▪ 성별 임금격차 완화를 위해 정기적인 국가 차원의 분석 필요
➌코로나19 충격 극복과 생산성·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술확산 촉진
▪ 규제샌드박스 활용을 확대하여 규제를 완화·개선
▪ 환자의 안전과 의료서비스 질이 담보되는 한도 내에서 비대면의료를 활성화
▪ 중소기업 보조금 지급시 성장·혁신·생산성 제고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R&D 및 신기술 도입 잠재력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혁신바우처 제공
▪ 중소기업 근로자 및 고령층 대상 ICT 교육훈련을 강화
별첨3 2020 OECD 한국경제보고서 주요 내용
* 보고서 원문은 OECD 홈페이지(http://www.oecd.org) 참고
1 거시경제 동향 및 정책
한국경제 평가 및 전망
□ 최근 한국경제는 코로나19로 심각한 침체를 경험했으나, 신속·효과적인 정책 대응으로 다른 회원국 대비 경제 위축이 매우 낮은 수준
* 한국은 코로나19의 확산과 그로 인한 사망을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으로 억제한 나라중 하나로, 봉쇄조치를 실시하지 않음으로써 경제적 충격도 최소화
ㅇ 한국 GDP는 1/4분기, 2/4분기 각각 △1.3%, △3.3% 감소, 고용은 3월 이후 도소매·음식숙박업 및 임시·일용직 중심으로 감소
▪ 다만, 고용 위축은 다른 주요국에 비해 크지 않은 수준
□ ‘20년 한국 경제는 역성장(’20년 △0.8%, 2차 확산 미발생) 하겠으나, 다른 OECD 회원국에 비해 하락폭이 상당히 작을 것으로 전망
※ ‘20.6월 OECD 경제전망시 발표된 한국 성장률 전망(△1.2%)이 2/4분기 GDP 속보치(7.23일 발표) 등을 반영하여 △0.8%로 상향 조정(+0.4%p)
ㅇ 다만, 세계경제 침체 및 글로벌 공급망 약화 등에 따른 교역량 위축은 수출·투자 등에 하방요인으로 작용
< 한국경제 성장전망(전년대비, %) >
’19년 2차 확산 미발생(Single-hit) 2차 확산 발생(Double-hit)
‘20년 ‘21년 ‘20년 ‘21년
기존전망 수정전망 기존전망 수정전망 기존전망 수정전망 기존전망 수정전망
▪GDP 2 △1.2 △0.8 3.1 3.1 △2.5 △2.0 1.4 1.4
- 민간소비 1.7 △4.1 △3.6 4.8 3.7 △5.6 △5.0 2.9 1.7
- 총고정자본형성 △2.8 △0.7 2.9 △1.4 1.4 △1.2 2.3 △0.8 1
- 수출 1.7 △2.6 △5.7 3.6 4.4 △4.5 △7.6 △0.1 0.7
- 실업률 3.8 4.5 4.3 4.4 4.3 4.6 4.4 4.7 4.5
- 소비자물가 0.4 0.5 0.3 0.3 0.3 0.5 0.3 0.2 0.1
- 경상수지(GDP대비%) 3.6 3 2.2 3 2.1 2.6 1.9 2 1.1
- 재정수지(GDP대비%) 0.9 △2.9 △2.8 △2.6 △2.8 △3.2 △3.1 △3.3 △3.6
거시경제 정책
※ 한국의 경기부양 정책 규모 : 277조원(GDP의 14.4% 수준)
↳ 3차례 추경(59.2조원), 금융지원(200조원 이상) 및 감세 등으로 구성
□ (재정) 한국 정부의 재정정책은 매우 확장적이며, 대규모 재정지원 등으로 재정적자가 발생하겠으나 재정을 통한 경기 뒷받침 지속할 필요
ㅇ 한국의 정부부채(‘19년)는 40% 미만으로 주요국에 비해 낮은 수준, 양호한 재정건전성을 기반으로 코로나19 위기에 적절히 대응
ㅇ 장기적으로는 고령화에 따라 공공지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므로 재정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정부 수입 증대 필요
□ (통화) ‘20년 두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75bp 인하하는 등 통화정책 기조는 완화적이며, 완화기조가 유지될 필요
ㅇ 낮은 물가상승률 및 경제활동 저하가 지속될 경우, 추가 완화조치 필요
□ (금융) 코로나19로 인해 금융부문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으나, 정부의 적극적 조치* 등으로 금융시스템은 여전히 안정적인 상황
* 민생·금융안정 패키지(100조원), 기간산업 안정기금(40조원) 등
ㅇ 다만, 기업신용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가계신용은 DSR 규제 등으로 증가율 낮아지고 있으나 여전히 가계소득보다 빠르게 증가
ㅇ 부동산 시장의 경우 다른 OECD 회원국 대비 신축적인 주택 공급과 건전한 금융정책에 힘입어 그간 전국단위 실질주택가격 안정세 유지
실질주택가격 추이(‘86.1/4~’20.1/4) 주택가격-임대료 비율 추이(‘86.1/4~’20.1/4)
▪ 다만, 코로나19 이후 일부 지역에서 집값이 상승하면서 전세대출 규제 강화, 종부세 인상, 주택공급 확대 등 부동산 대책 추가 발표
ㅇ 향후 시중유동성의 부동산시장 과다유입 등 금융안정 리스크 유의할 필요
삶의 질 향상 및 포용성 강화
□ 코로나19 위기 이후 소득보전, 고용유지 지원, 공공일자리 창출 등에도 불구하고 비정규직·고령층 등을 중심으로 분배 악화
* 노인 상대빈곤율이 회원국 중 가장 높고, 세후 지니계수로 측정한 소득불평등도는 OECD 국가 중 7번째로 높은 수준
ㅇ 최근 수년간 한국 정부는 분배 개선을 위해 다양한 조치* 시행
* 최저임금 인상, EITC 수급요건 완화, 사회보험 및 건강보험 가입 확대, 고령층 등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 기초연금 인상 등
▪ 최근 높게 상승한 최저임금은 임금 불평등 완화에 기여했으나, 저숙련 노동자 고용, 中企 인건비 상승 등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
* 다만, ‘20년은 2.9% 인상, ‘21년 최저임금은 코로나19 상황 등을 반영하여 1.5% 인상 예정
□ 상대적으로 낮은 고용률*, 생산성** 및 일생활균형·환경 부문 삶의 질 제고 필요
* 고용률(‘19년, 15-64세) : (프랑스)65.5 (한국)66.8 (OECD평균)68.8 (미국)71.4 (영국)75.6
** 노동생산성(OECD=100) : (한국)82.0 (영국)99.3 (프랑스)116.5 (미국)134.2
ㅇ (고용) 한국은 다른 회원국 대비 여성·청년 고용률이 낮고,
고령층이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 후 소득감소 등 발생
▪한편, 현 정부는 일자리 질과 근로자 건강·생산성 제고를 위해 장시간 근로관행 개선 노력 지속 中
❖ 한국의 근로시간 개혁 : 현 정부는 근로시간 단축 정책을 점진적으로 시행 中
▸ 연장근로시간 한도 단축을 통해 주당 최대 근로시간을 68시간→52시간으로 단축
▸ 기업 규모에 따라 순차적 지원, 운송업·보건업 등 일부는 근로시간 적용 예외
+ 탄력 근로시간제 적용 기간을 연장(3개월→6개월)하는 노사정 합의 체결
ㅇ (디지털) 한국은 우수한 디지털 인프라와 세계 최초 5G서비스 도입 등 첨단 디지털 기술 분야의 선두주자로, 코로나19 위기시 한시적인 비대면의료 허용을 통해 감염 위기 축소
▪ 특히, 한국은 AI, 원격 생활서비스 등으로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기여했으며, 최근 디지털 기술 확산 등을 포함한 「한국판 뉴딜」을 발표
▪ 다만, ICT 제조업 등에 비해 서비스업 생산성이 낮고, 중소기업·고령층을 중심으로 기술 격차 상존
ㅇ (환경) 급속한 산업화의 영향으로 대기환경 질이 낮은 상황
▪ 한국 정부는 ‘19년 대기오염을 ’사회재난‘으로 지정하고 추경을 편성,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목표(’30년까지 37%)를 발표
▪ 장기적으로 온실가스 순배출량 제로 상태 달성을 위해, 발전·운송·산업 등 다양한 부문에 전략적인 대응 필요
2 고령화 대비 고용 증대 및 일자리 질 향상
□ 한국은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중으로, 급격한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노동공급 감소는 잠재성장률 하락, 재정부담 등 우려
* 한국 노년부양비는 2060년 80%를 초과(OECD 회원국 중 최고 수준)하고,
잠재성장률은 3%(‘05-’20년 평균)에서 1.2%(‘20-’60년 평균)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
ㅇ 다만, 인적자본 활용 및 생산성 제고를 통해 평균 잠재성장률을 1~2%p 상향 가능
* 성별 고용률 격차 해소(현 18%p→‘60년 6%p)시 ’60년 1인당 GDP 4.5% 증가
서비스 생산성 제고(제조업의 45%수준→85%)시 ‘20-’60 잠재성장률 1.2%p 상승
ㅇ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비정규직 중심의 고용 감소 등으로 잠재성장률 저하, 재정부담 등 심화 가능성
❖ 코로나19에 따른 한국 정부의 주요 고용 및 소득 지원 조치
▸ 유연근무 보조금 : 시차출퇴근, 재택근무, 원격근무 등 도입시 보조금 지급
▸ 고용안정 지원금 : 고용유지 보조금 요건 완화, 지원금액 상향, 코로나19로 인한 피해 지역 및 업종에는 추가 지원
▸ 소득 보전 : 긴급재난지원금(가구당 최대 100만원) 모든 가구 지급, 플랫폼 노동자, 프리랜서 등을 위한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지급
▸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 등 : 기존에 계획된 일자리 사업 절차 간소화 및
55만개 청년·저소득층 일자리 추가 마련
□ 여성·고령·청년층의 고용률 및 일자리 질 제고를 통해 고용 증대 가능
ㅇ (여성) 비정규직 비중이 높아 코로나19 등 위기에 취약하며, 경력단절과 연공제 등 영향 등으로 30세 이후 고용률이 저조
→ 육아휴직 촉진1」, 보육서비스 품질 개선2」 등을 권고
1」 육아휴직 기간과 소득대체율 간의 탄력적 선택 방안, 남성 육아휴직 확대 등을 권고
2」 어린이집 평가인증 의무화(‘19.6), 보육교사 확충, 공공어린이집 확대(‘21년까지 40% 수준으로 제고) 등 정부 정책을 소개 + 공공보육 품질 개선 필요성 제시
ㅇ (고령층) 낮은 연금 수급액 등으로 고령층 취업률이 상대적으로 높으나 일자리 질은 개선 필요
→ 빈곤층 중심의 기초연금 등 확대1」, 주된 일자리에서 오래 근무할 수 있도록 유인 제고2」 필요
1」 기초연금 추가 확대, 기초생활보장제도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권고
2」 장기적으로 정년을 연장해 나가면서, 연공기반 임금을 성과·직무기반으로 전환, 고령 근로자에 대한 재교육 등 직업훈련 강화 등 권고
ㅇ (청년) 고용시장 진입을 지연시키는 노동시장 미스매치 해소를 위해 직업훈련 및 고용지원센터 역할(진로상담 등) 강화 등 권고
❖ 고령 근로자 퇴직과 청년 고용 간 관계
▸ 과거 OECD 국가 사례에 의하면 고령층 조기퇴직에 따른 청년고용 확대 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오히려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
▸ 다만, 한국의 경우 노동시장의 특수성으로 인해 정년연장이 청년고용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상존
- 연공기반 임금제도로 인해 고령층 고용비용이 생산성을 초과하면서,
기업의 청년 채용 여력에 부담요인으로 작용
- 공공부문·대기업 등 제한적인 양질의 일자리에 대한 세대간 경쟁 가능성
☞ 장기적으로 임금결정 방식 개선, 노동시장 이중구조 완화 등을 통해 정년연장 보완 필요
□ 포용성 강화를 위해서는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해소해 나가면서, 사회안전망 강화*를 병행할 필요
* 고용보험 가입률 제고 및 징수 강화, 상병수당 도입 검토, 근로빈곤 완화 등
ㅇ 추가적으로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은 중장년·저숙련 근로자의 역량강화, 재교육·직업훈련 등에 보다 초점을 맞출 필요
3 생산성 향상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술 확산
□ 한국은 디지털 신기술 최강국 중 하나로, 코로나19 극복 과정에서 AI·원격 서비스 등 디지털 기술 활용이 확산 방지에 기여
❖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디지털 기술 활용
▸ 한국은 봉쇄조치를 시행하지 않고 다양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감염자를 신속히 검사·추적하고 비대면 생활방식 활성화
- AI기반 빅데이터 시스템을 활용해 진단키트 개발, 모바일 앱을 통한 자가격리, 네이버·카카오 등의 공적마스크 판매·제고 정보 공유, 코로나맵 등 소개
- 재택근무, 온라인 수업, 화상회의 및 온라인 쇼핑 등 언택트 생활방식 활성화
□ 5G 등에 힘입어 ICT 분야 생산성은 매우 높은 수준이나,
서비스업(ICT 서비스 포함), 중소기업 생산성 등은 제고할 필요
➊ 스마트 공장을 통한 제품 다양화, 리쇼어링 촉진 등으로
중소 제조기업의 생산성 제고 가능
* 한국 정부는 ‘20년 예산안에 스마트 공장 고도화를 지원, 확대하는 방안을 포함하고, 스마트 공장을 ’22년까지 30,000개 설립한다는 목표 수립(‘19년 말 12,660개)
➋ 디지털 기반의 ‘제조업의 서비스업화’*를 통해 생산성 제고 가능
* 기업의 생산활동 또는 제품 자체에 서비스 산출물이 결합(예 : 제조업체는 투입단계에서 R&D, 설계, 물류, 마케팅 등 서비스를 투입, 휴대전화의 경우 앱, 통신서비스 등 묶음 판매)
➌ 디지털 기술 기반의 플랫폼, 온라인 거래 등도 서비스업 생산성 제고에 기여
* AI 기술을 활용한 자동화, 생산자-소비자 간 정보비대칭 해소 등으로 생산성 증대
□ 다만, 대・중소기업간 및 근로자간 디지털 격차로 인해 기술 확산 저조
ㅇ 지난 20여년간 한국은 모바일기기, 반도체, 가전 등에서 탁월한 성과를 달성하는 등 ICT 기술에서 가장 앞선 지위를 유지
▪다만, 최근 몇 년간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 새로운 디지털 기술 분야에서는 다소 뒤처져 있는 상황
ㅇ 중소기업이 서비스업에 집중된 가운데, 서비스업의 낮은 혁신성향 등으로 대-중소기업간 첨단 디지털 기술 격차 큰 편
▪중소기업의 정보, 투자자금, 숙련 근로자 부족도 기술격차 야기
ㅇ 세대간 디지털 격차도 큰 편에 속하며 이는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하는 요인으로 작용 소지
□ 디지털 기술 적용・확산을 위한 정책노력 강화 필요
ㅇ 세대간 디지털 기술격차 해소를 통한 불평등 해소, 교사 및 중소기업 근로자 등의 ICT 관련 교육·훈련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
* 한국 정부는 최근 중소기업 근로자의 직업훈련 강화를 위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으나, 여전히 직업훈련의 질과 금전적 지원 등이 부족하다고 언급
* 직업훈련에 있어 온라인 대중 공개수업(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 방식을 확대 등 제시
ㅇ R&D 지원방식을 효율적으로 개선1」하고, 중소기업 혁신 바우처2」 제공, 대기업・중소기업・학계 협업 등을 통해 中企 ICT 활용 촉진 필요
1」 상용화 단계의 R&D지원은 금융시장 활용, 효율적인 수혜자 선정 등
2」 ‘97년 네덜란드에서 최초 도입하여 다수 유럽 국가, 미국 등에서 활용중으로 R&D를 위한 자체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 등이 대학·연구소 등에 연구용역을 의뢰할 수 있도록 지원
ㅇ 한국은 엄격한 규제 수준이 첨단 기술 확산에 걸림돌로 작용
▪다만, 한국 정부는 규제 샌드박스를 도입하여 신산업 분야 등에 규제를 완화했으며, 규제자유특구를 통해 혁신기술 시험의 장을 마련
ㅇ 추가적으로 디지털 기술 확산을 위해 온라인 보안 강화 노력, 전자정부 시스템을 통한 공공-민간부문 디지털화 시너지 활용 등 필요
* 한국은 UN 전자정부 발전지수 2위, 정부데이터 개방 부문에서 OECD 1위를 기록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식점 특화거리도 전통시장·상점가 준하는 지원 받는다-골목형상점가의 점포 밀집 기준 마련 등「전통시장법 시행령」개정 (0) | 2020.08.11 |
---|---|
하반기 온라인 화상 수출상담회 확대 지원 (0) | 2020.08.11 |
디지털 뉴딜 성공을 위한 범정부 협력체계 구축, '디지털 뉴딜반’ 제1차 회의 개최 (0) | 2020.08.11 |
과기정통부,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제정안 대국민 공청회 개최 (0) | 2020.08.11 |
ETRI, 구어체 엑소브레인 언어분석 API 공개 (0) | 2020.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