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2016년 11월 수출입 동향- 11월 수출 455억달러(+2.7%), 수입 375억달러(+10.1%)

하이거 2016. 12. 1. 15:34

201611월 수출입 동향- 11월 수출 455억달러(+2.7%), 수입 375억달러(+10.1%)

 

담당부서수출입과 등록일2016-12-01

 

 


































 


2016년 11월 수출입 동향


11월 수출 455억달러(+2.7%), 수입 375억달러(+10.1%)


1. 11월 수출입 동향 개요

□ (금액) 11월 수출 455억달러(전년동기대비 +2.7%), 수입 375억달러(+10.1%), 무역수지 80억달러 흑자 기록(58개월 연속 흑자)

 ㅇ 11월 수출․수입은 8월 이후 3개월만에 전년동기대비 증가 전환, 금액기준으로 수출입 모두 ‘15.7월 이후 월간 최대실적을 기록

< 11월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

(단위 : 억달러, %)

2015년
2016년
11월
1~11월
10월
11월p
1~11월p
수  출
443 (△5.0)
4,844 (△7.4)
420 (△3.2)
455 (+2.7)
4,506 (△7.0)
수  입
341 (△17.6)
4,010 (△16.7)
350(△4.8)
375(+10.1)
3,679 (△8.3)
무역수지
102
833
70
80
827


< 수출입증가율 추이(%) >

< 무역수지(억달러) >



□ (일평균 수출) 전체 일평균 수출은 1.6% 감소, 선박 제외 일평균 수출이 ‘15.2월 이후 21개월만에 전년 동기대비 증가 전환

   * 일평균 수출증감률(%) : (6)▵0.8→(7)▵4.8→(8)▵5.9→(9)▵3.7→(10)▵1.0→(11)▵1.6
      선박제외 일평균 수출증감률(%) : (6)▵3.9→(7)▵2.0→(8)▵9.6→(9)▵3.2→(10)▵3.3→(11)+4.0
 ㅇ 일평균 수출금액은 19.0억불, 선박제외 일평균 수출금액은 17.5억불을 기록

   * 일평균 수출액(억불) : (6)19.7→(7)17.4→(8)16.7→(9)19.5→(10)18.7→(11)19.0
     선박제외 일평균 수출액(억불) : (6)17.4→(7)16.6→(8)15.4→(9)18.4→(10)17.5→(11)17.5

□ (물량·단가) 수출물량은 6개월만에 증가 전환, 단가는 감소 전환

    * (물량) 반도체․석유화학․컴퓨터 등 증가 영향
    * (단가) 평판DP․철강 상승 불구, 무선통신기기․차부품 등 하락 영향



15.4Q
16.1Q
16.2Q
16.3Q
16.8월
16.9월
16.10월
16.11월p
 *
수출물량증감률(%)
▵3.1
0.7
1.7
▵1.7
▵3.6
▵0.2
▵3.3
+3.5

수출단가증감률(%)
▵9.2
▵14.3
▵8.2
▵3.3
+6.5
▵5.7
+0.1
▵0.8


□ (원화표시 수출) 전년동기대비 +3.6%, ‘16.6월 이후 5개월만에 증가 전환, ’15.9월 이후 14개월만에 최대 증가율 기록


‘16.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p
*
원화표시 수출증감률(%)
△6.3
0.8
2.2
▵10.4
▵3.3
▵12.1
▵5.1
+3.6

    * 원/달러 환율(₩/$)  :  ('15.11월) 1,151.97   →  ('16.11월) 1,161.64(+0.8%)
 
2. 품목별․지역별 수출 동향

□ (주력품목) 13대 품목 중 11개 품목의 전년대비 수출 증가, 금년 중 8월을 제외하고 가장 양호한 증감률 기록(▵0.6%)

    * ‘14.4월 이후 31개월만에 처음으로 13대 주력품목 중 11개 품목 이상 수출 증가
    * 13대 품목 수출증감률(%) : (6)△4.0→(7)△12.2→(8)1.7→(9)△8.2→(10)△3.6→(11)△0.6

 ㅇ 선박을 제외한 12대품목 수출은 ‘14.12월 이후 23개월만에 전년동기대비 증가(+6.2%)

    * 12대 품목 수출증감률(%) : (6)△6.0→(7)△7.9→(8)▵1.4→(9)△5.4→(10)△5.4→(11)+6.2
    * 선박수출액(억불) : (‘15.11월)56.4 → (’16.11월)35.6 (▵20.7억불)


* 수출증감률(%) : (석유화학)20.0  (일반기계)19.3  (컴퓨터)13.0  (반도체)11.6 (철강)10.8  (섬유)5.3  (차부품)4.2  (석유제품)2.8  (평판DP)2.4  (자동차)1.5  (가전)1.3  (무선통신기기)△17.9  (선박)△36.8

 ◇ (증가) 반도체․일반기계․석유화학․컴퓨터․철강 등 11개 품목

  ㅇ (반도체)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 및 탑재용량 증가에 따른 메모리 단가 상승으로 역대 5위 월간 수출실적 기록(57.9억불)

    * D램 현물가격(4Gb, $): (’16.8월)1.68 →(’16.9)1.82 →(’16.10)2.34 →(’16.11p)2.54
    * 수출증감률(%) : (’16.5)▵4.4→(6)▵0.5→(7)▵2.6→(8)2.5→(9)△2.6→(10)1.7→(11)11.6

  ㅇ (일반기계) 對EU(유럽 인프라 투자 확대), 중남미(금형 수요 증가) 수출 호조 등 영향으로 증가 전환, ‘14.12월 이후 23개월만에 두자리수 증가율 기록

    * 수출증감률(%) : (’16.5)▵0.6→(6)▵4.8→(7)▵4.0→(8)1.4→(9)▵0.4→(10)▵4.2→(11)19.3
    * 11.1-20일 증감률(yoy) : (EU) 17.7%, (중남미) 29.6%

  ㅇ (석유화학) PX(파라자일렌), 합성고무 등 주요 제품의 타이트한 수급여건에 따른 단가 상승으로 3개월만에 증가 전환, ‘15.7월 이후 최대실적(32.8억불) 기록

    * 수출단가($/톤,전년비%) : (’15.11) 1,024 (△26.3) → (’16.11e) 1,059 (3.4↑)
    * 수출증감률(%) : (’16.5)▵1.7→(6)▵10.6→(7)▵12.4→(8)4.2→(9)▵0.2→(10)▵0.0→(11)20.0

  ㅇ (컴퓨터) PC 교체수요 증가 및 일반 소비자용 SSD(10월 신제품 출시) 중심 수요 지속 증가로 7개월 연속 수출 증가

    * 수출증감률(%) : (’16.5)1.2→(6)19.7→(7)39.1→(8)23.3→(9)13.2→(10)7.1→(11)13.0

  ㅇ (철강) 국제가격 · 원료가격 상승 등에 따른 철강재 수출단가 상승세 지속으로 3개월만에 증가 전환, ‘14.9월 이후 26개월만에 두자리수 증가율 기록

    * 철강재 단가/증감률(US$/yoy) : ('16.7)735(▵5.8%)→(9)737(1.5%)→(11e)750(7.1%)
    * 수출증감률(%) : (’16.5)▵8.4→(6)▵2.3→(7)▵11.2→(8)4.7→(9)▵4.3→(10)▵0.8→(11)10.8

  ㅇ (평판DP) LCD 패널 가격 상승, OLED 수요 지속 증가 등으로 ’15.5월 이후 18개월만에 증가로 전환

    * 42인치(TV) LCD 가격($/yoy): (’15.11)114 ⇒ (’16.10)127(4%)→(’16.11)129(13%)
    * 수출증감률(%) : (’16.5)▵24.4→(6)▵25.3→(7)▵19.2→(8)▵7.1→(9)▵3.7→(10)▵4.7→(11)2.4

  ㅇ (자동차) 완성차 업체 파업 종료 이후 생산차질 만회 노력으로 ‘15.6월 이후 17개월만에 증가 전환

    * 수출증감률(%) : (‘16.5)▵8.7→(6)▵12.3→(7)▵14.5→(8)▵15.1→(9)▵23.9→(10)▵12.0→(11)1.5
  ㅇ (석유제품) 수출단가 하락폭 축소, 물량 증가로 ‘14.8월 이후 27개월만에 전년동기대비 증가

     * 수출단가 및 증감률($/B,yoy) : (9)52.1(▵10.9%)→(10)56.0(▵3.0%)→(11e)54.2(▵2.1%)
     * 수출증감률(%) : (’16.5)▵22.8→(6)▵26.5→(7)▵12.1→(8)▵24.5→(9)▵12.2→(10)▵3.1→(11)2.8

 ◇ (감소) 선박․무선통신기기

  ㅇ (선박) 고부가가치선인 해양플랜트, LNG운반선 등 5척 포함 총 32척 수출, 전년 기저효과(역대 월간 4위 수출실적, 56.4억불)로 감소 전환

     * 수출증감률(%) : (‘16.5)▵16.5→(6)30.3→(7)▵42.8→(8)89.1→(9)▵14.0→(10)49.4→(11)▵36.8
     * 월별 수출액(억불) : (‘16.5)19.1→(6)51.5→(7)19.8→(8)32.4→(9)22.4→(10)25.7→(11)35.6

  ㅇ (무선통신기기) 신형 스마트폰 단종, 글로벌 수요기업 거래선 변화** 등 영향으로 감소 지속, 전월대비 감소율은 축소

    * 수출증감률(%) : (’16.5)▵14.4→(6)▵1.4→(7)▵4.1→(8)▵9.0→(9)▵28.0→(10)▵28.1→(11)▵17.9
   ** 애플 AP 공급 :  ‘15년 국내기업→대만, 구글폰 공급 : ’15년 국내기업 → ‘16년 대만

□ (유망품목) 화장품․의약품․농수산식품 등 5대 유망소비재 수출 증가, SSD․OLED 수출 증가 지속

    * 증감률(%) : (화장품)25.2,  (의약품)19.7,  (패션․의류)39.7, (농수산식품)22.8,  (생활유아용품)16.0,  (SSD)58.8,  (OLED)17.0

 ㅇ 의약품은 주요 수출시장인 EU․중국․미국으로의 수출 증가로 2개월만에 증가 전환

    * 11.1-20일 수출액/증감률(백만불) : (EU)67(104%), (중국)7(6.0%), (미국)3(13.7%)
    *  수출증감률(%) : (‘16.5)26.2→(6)34.5→(7)38.0→(8)46.3→(9)17.6→(10)▵12.8→(11)19.7

 ㅇ 농수산식품은 농축산물, 수산물 수출 증가, 주력시장인 對일본․아세안․중국 등 수출 호조로 7개월 연속 증가

    * 11.1-20일 수출액/증감률(백만불) : (농산물)281(4.8%), (축산물)41(21.8%), (수산물)118(17.2%), (일본)110(7.2%), (아세안)76(16.7%), (중국)71(5.4%)

 ㅇ SSD 수출은 6개월 연속 증가, OLED는 ‘15.5월부터 19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
□ (지역별) 對베트남․아세안․중동 수출 증가 지속, 對중국․미국․일본․인도․CIS 수출 증가 전환


* 수출증감률(%) :  CIS 43.6  베트남 38.5  아세안 22.0  일본 12.6  인도 12.6  중동11.1  미국3.9  중국 0.4  중남미△16.0  EU ▵22.0 


 ◇ (증가 지속) 對베트남(9개월 연속), 아세안․중동(2개월 연속)

  ㅇ (베트남) 현지 생산기지向 무선통신기기․반도체․일반기계․섬유․평판DP 등 수출 호조로 9개월 연속 증가

    * 수출증감률(%) :  (’16.5)18.0 → (6)9.7→ (7)7.0→ (8)22.5→ (9)17.0→ (10)19.9→ (11)38.5
    * 11.1~20일 실적(억달러) : (무선통신기기)2.7(19.5%), (반도체)2.3(27.8%), (일반기계)2.0(16.8%), (섬유)1.9(11.4%), (평판DP)1.5(156%)

  ㅇ (아세안) 반도체․일반기계․철강 수출 호조로 2개월 연속 증가

    * 수출증감률(%) : (’16.5)0.5 → (6)▵10.3 → (7)▵4.4 → (8)2.7 → (9)▵1.2 → (10)2.6 → (11)22.0
    * 11.1~20일 실적(억달러) : (반도체)6.6(18.7%), (일반기계)4.0(10.1%), (철강)3.6(55.3%), (석유제품)3.6(▵5.1%), (정밀화학)1.3(▵2.3%)

  ㅇ (중동) 합성수지․중전기기․농수산식품 수출 호조로 2개월 연속 증가

    * 수출증감률(%) : (’16.5)▵18.6 → (6)▵19.1 → (7)▵19.3 → (8)▵8.0 → (9)▵19.1 → (10)10.0 → (11)11.1
    * 11.1~20일 실적(억달러) : (합성수지)0.5(23.1%), (중전기기)0.5(23.4%), (농수산식품)0.3(22.0%), (자동차)2.0(▵37.1%), (일반기계)1.6(▵27.0%)

 ◇ (증가 전환) 對중국․미국․일본․CIS 수출 등

  ㅇ (중국) 무선통신기기․차부품 등 감소 불구, 석유화학․일반기계․석유제품 등 수출 증가로 ‘15.6월 이후 17개월만에 증가 전환

    - 수출금액 기준으로도 금년 중 최대 월간 수출실적을 기록(117억불)

    * 수출증감률(%) : (’16.5)▵9.1→(6)▵10.3→(7)▵9.3→(8)▵5.3→(9)▵9.0→(10)▵11.3→(11)0.4
    * 11.1~20일 실적(억달러,%) : (석유화학)9.6(11.8), (일반기계)5.9(13.4), (석유제품)2.3(12.6), (무선통신기기)4.6(▵42.1), (차부품)3.3(▵24.6)
  ㅇ (미국) 가전․철강․컴퓨터 등 수출 증가로 ‘16.5월 이후 6개월만에 증가 전환

    * 수출증감률(%) : (’16.5)0.8→(6)▵6.9→(7)▵14.5→(8)▵4.8→(9)▵6.1→(10)▵10.3→(11)3.9
    * 11.1~20일 실적(억달러,%) : (가전)1.3(20.5), (철강)1.3(6.2), (컴퓨터)0.9(32.6)

    - 다만, 수출대비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수출 +3.9%, 수입 +10.4%)하여 對美 무역수지 흑자폭은 전년동기 대비 감소

    * 對美 무역수지(억불) : (‘15.11)21.6→(’16.11)20.3
    * 11.1-20일 對美 수입증가율(%) : (항공기부품)97.7, (반도체제조용장비)61.1, (자동차)52.4

  ㅇ (일본) 철강․반도체․석유화학 등 증가 영향으로 2개월만에 증가 전환, 금년 중 월간 최대 실적을 기록(22.8억불)

    * 수출증감률(%) :  (’16.5)▵12.5→(6)▵3.6→(7)▵2.6→(8)7.5→(9)6.5→(10)▵1.5→(11)12.6
    * 11.1~20일 수출실적(억달러) : (철강)1.7(17.3%), (반도체)1.0(25.3%), (석유화학)0.7(31.7%), (석유제품)1.2(▵36.1%), (정밀화학)0.7(▵19.2%)

  ㅇ (CIS) 차부품․자동차․일반기계․가전 등 수출 증가로 ‘16.8월 이후 3개월만에 증가 전환

    * 수출증감률(%) : (’16.5)▵1.6 → (6)4.4 → (7)▵0.6 → (8)0.2 → (9)▵3.7 → (10)▵4.8 → (11)43.6
    * 11.1~20일 실적(백만달러) : (차부품)85(43.4%), (자동차)60(113.7%), (일반기계)45(14.5%),  (가전)18(16.7%), (철강)16(▵2.0%)

 ◇ (감소) EU․중남미

  ㅇ (EU) 일반기계․철강 등 증가 불구, 전년 선박 기저효과(697.3% 증가, 21억불), 석유화학 등 감소로 감소 전환

    * 수출증감률(%) :  (’16.5)▵12.7→ (6)▵16.2→ (7)▵4.8→ (8)▵4.7→ (9)▵14.4→ (10)3.8→ (11)▵22.0
      11.1~20일 실적(억달러,%) :  (일반기계)2.8(17.7), (철강)1.2(55.1), (석유화학)1.3(▵22.9)

  ㅇ (중남미) 일반기계․차부품․가전 증가 불구, 선박․평판DP 등 수출 감소로 전월대비 감소율이 확대

    * 수출증감률(%) : (’16.5)▵6.9→(6)▵0.6→(7)▵16.6→(8)▵16.3→(9)0.1→(10)▵10.5→(11)▵16.0
    * 11.1~20일 실적(억달러,%) : (일반기계)1.5(29.6), (차부품)1.4(97.7), (가전)0.6(19.8), (선박)1.8(▵73.1), (평판DP)0.4(▵39.6)
3. 성질별 수입 동향

□ 11월 수입은 ‘16.8월 이후 3개월만에 증가 전환, 원자재․자본재 수입 증가 전환, 소비재 수입은 4개월 연속 증가

    * 수입증감률 : (’16.5)▵8.4→(6)▵7.5→(7)▵13.7→(8)0.7→(9)▵1.7→(10)▵4.8→(11)10.1

  ㅇ 주력산업의 선제적 투자 확대로 반도체․평판DP 제조용 장비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

< 품목별 수입증감률(11.1∼20일 기준, %) >

원자재

+11.3
(원유)16.6   (가스)6.7   (철강제품)8.8  
(석유제품)▵13.7   (석탄)68.8       

자본재

+8.9
(프로세스와콘트롤러)▵14.9   (반도체제조용장비)50.3
(메모리반도체)▵34.0  (평판DP제조용장비)501  (차부품)0.6

소비재

+8.9
(1,500cc초과가솔린차)84.4   (돼지고기)26.2
(코트 및 자켓)▵8.8  (쇠고기)▵10.2  (과일류-멜론 등)6.5

※ 원자재, 자본재, 소비재, 석탄, 철강, 석유제품, 원유, 가스 수입증가율은 11.1∼30일까지 실적

4. 특징 및 평가

□ 11월 수출은 선박(▵20.7억불), 무선통신기기(▵6.0억불) 수출 부진에도 불구, 주력품목의 전반적인 수출 호조로 8월 이후 3개월만에 증가로 전환

 ㅇ 수출금액이 ‘15.7월 이후 최대치을 기록하고, 수출증감률이 9월 이후 지속 개선되어 우리 수출이 견조한 회복세를 시현한 것으로 평가

    * 수출증감률(%) : (6)△2.9→(7)△10.5→(8)2.6→(9)△5.9→(10)△3.2→(11)2.7

 ㅇ 11월 수출 증가는 수출물량 증가(‘16.5월 이후 6개월만), 반도체․석유화학 등 주요품목 단가상승, 5대 유망소비재 등 유망품목 수출 증가에 기인

 ㅇ 조업일수(+1일)․선박 등 일시적 요인을 제거한 선박제외 일평균 수출도 ‘15.2월 이후 21개월만에 전년동기비 증가 전환

    * 선박제외 일평균 수출증감률(%) : (6)▵3.9→(7)▵2.0→(8)▵9.6→(9)▵3.2→(10)▵3.3→(11)4.0

 ㅇ 우리기업의 수익성과 직결되는 원화 기준 수출도 금년 6월 이후 5개월 만에 증가 전환, ’15.9월 이후 14개월만에 최대 증가율 기록

    * 원화 수출증감률(%) : (6)2.2→(7)△10.4→(8)▵3.3→(9)△12.1→(10)△5.1→(11)3.6
□ 품목별로는 ‘14.4월 이후 31개월만에 13대품목 중 11개 품목이 전년대비 수출 증가하였고,

   * 전년대비 수출 증가 품목(11개) : 반도체, 평판DP, 가전, 컴퓨터, 자동차, 차부품, 일반기계, 철강, 석유화학, 섬유, 석유제품

 ㅇ 반도체가 역대 5위의 월간 수출 실적, 일반기계가 23개월만에 두자리수 증가율 기록, 석유화학이 ‘15.7월 이후 최고 수출실적을 기록하여 전체 수출금액 증가를 주도

□ 지역별로는 對베트남․아세안․중동 수출 증가가 지속되고, 對중국․미국․일본․인도․CIS 수출이 증가로 전환되었으며,

 ㅇ 특히, 對중국 수출이 ‘15.6월 이후 17개월만에 증가로 전환되고, 금년 중 최대 월간 수출실적을 기록(117억불)한 것이 주요 특징

□ 12월 수출은 반도체·평판DP·석유화학 등 주요 수출품목의 견조한 회복세 지속 등 긍정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ㅇ 세계경제․교역 저성장 지속, 미국 금리인상,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하방리스크로 인해 회복세 지속을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

□ 정부는 금년 연말까지 수출 확대를 위해 통상협력·시장개척 등에 대한 총력 지원을 지속할 계획

 ㅇ 미국과의 통상협력 강화를 위한「對美 통상협의회」운영, 교역대상국 수입규제 해소 및 상호인정 확대 등을 위한 통상협력 강화

   * 한-중 전기전자제품 인증서 상호인정 확대(現 6개 품목 → 104개 품목 ‘16.12월)

 ㅇ 신흥시장에 대한 사절단 파견 및 소비재 전시상담회 개최

   * 중국 청두 등 3회 무역사절단 파견(12월중) , 인도 뭄바이 한국우수상품전(12월 중순)

 ㅇ 한-중미 FTA 조기 발효(11.16일 실질 타결), 기체결 FTA 활용 촉진 및 FTA 업그레이드 추진

   * 한중 FTA 발효 1주년 계기 활용촉진 교류행사(12.20일), 한-아세안 FTA 3차 개정의정서 조속 발효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