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2050 탄소중립, 산업공정 R&D 투자 강화로 실현-탄소중립 산업전환 추진위원회 4차 실무회의 개최

하이거 2021. 3. 9. 09:46

2050 탄소중립, 산업공정 R&D 투자 강화로 실현-탄소중립 산업전환 추진위원회 4차 실무회의 개최

 

담당부서산업기술정책과 등록일2021-03-09

 

 


산업분야 탄소중립 확산 시리즈-06
2050 탄소중립, 산업공정 R&D 투자 강화로 실현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탄소중립 기술개발 관련 산업계와 소통 강화를 위해 3월 9일, 철강협회 김영주 상무 등 13개 업종 협회 관계자가 참석한『탄소중립 산업전환 추진위원회 4차 실무회의*』를 개최하였다. (장영진 산업부 산업혁신성장실장 주재)

* 1차(’20.12.22), 2차(‘21.1.19), 3차(’21.3.4) 개최

< 탄소중립 산업전환 추진위원회 4차 실무회의 개요 >

ㅇ (주요내용) 산업부문 2050 탄소중립을 위한 기술개발 수요발굴 논의 및 산업계 의견수렴

ㅇ (일시/장소) ‘21.3.9(화) 10:00~11:30 / 한국기술센터 대회의실(16층)

ㅇ (참석) (정부)산업통상자원부(산업혁신성장실장), (협회)철강· 석유화학·시멘트 등 13개 업종별 협회, (연구소 등)산업연구원, 한국산업기술평가원, 전략기획단 (참고2)

ㅇ 이번 실무회의는 탄소저감 R&D 예산의 전략적 배분을 위해 산업계의 시급한 탄소저감 R&D 수요 발굴과 기타 애로사항을 청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최하였다.

□ 이날 산업부는 탄소저감 기술개발 추진 방향성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제시하며, 산업계의 적극적 참여를 요청하였다
① 탄소배출의 근본적 저감을 위해서는, 다배출업종*에서 과거와 전혀 다른 新산업공정** 개발이 불가피하다. 이와 관련 산업부는 대규모 R&D가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예타사업 기획에 본격 착수할 예정이다.

*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 수소환원제철, 전기가열나프타 분해공정 등
② 단기간 내에 온실가스 저감성과를 거두기 위해선, 효율개선 및 공정관리 고도화 기술개발부터 속도감 있게 추진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관련 과제를 적극 발굴하여 ‘22년부터 최대한 투자할 계획이다.
③ 제품 생산공정이 아닌 사용과정에서 탄소가 발생하는 자동차, 조선, 기계 등의 업종에 있어서는, 전기차·수소차, 친환경 선박 등 화석연료 사용 저감과 직결된 품목을 집중 육성해 나갈 예정이다.
□ 산업부는 그간 탄소중립 기술개발이 신재생에너지, 수소, 수요관리 등 에너지 분야 중심으로 진행되고, 산업분야 관련 기술개발 투자가 상대적으로 저조했다면서,

ㅇ 향후에는 산업공정 온실가스 저감기술 지원을 산업 분야의 핵심 기술개발 아젠다로 전환할 계획임을 밝혔다.

ㅇ 또한 간담회를 통해 발굴한 과제 중에 시급성이 높은 과제는 내년도 예산안 편성시 우선적으로 배정할 예정이다.

□ 산업부 장영진 산업혁신실장은 “금년도 산업기술 R&D 예산은 약 5조원으로 ’20년 대비 18.7% 증액하였고, ’22년에도 큰 폭의 산업기술 R&D 예산 증액에 노력할 예정”이라면서,

ㅇ “2050 탄소중립 실현은 결국 혁신기술 개발만이 유일한 해결방안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22년에 산업공정 탄소중립 R&D 신규사업 예산 증액에 노력하겠다”고 밝히고,

ㅇ “산업공정이 탄소중립으로 전환하는 과정은 기업에게 위기이면서 기회가 될 수 있으므로, 산업부의 산업공정 R&D 투자 강화정책이 우리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우리나라를 산업 강국으로 이끄는 해결책이 될 것으로 전망 한다”고 밝혔다.


참고1 산업부문 탄소중립 협의회 개최 경과 및 향후 일정

□ (목적) 정부-산업계의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소통을 통한 탄소중립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및 민간의 자발적 탄소중립 추진 기반 마련

< 산업부문 탄소중립 협의회 개최 경과 및 향후 일정 >

시리즈 일정 협의회 주요 내용 구분
① 2.2 철강 철강업계 탄소중립 도전 공동선언 및 旣개최
업계 의견 수렴
② 2.4 기술혁신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장기
기술혁신 방안 모색
③ 2.9 석유화학 탄소중립 기술개발 현장 방문 및
업계 의견 수렴
④ 2.17 시멘트 시멘트 업계 탄소중립 공동선언 및
주요 과제 논의
⑤ 2.22 표준화 「2050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
수립 방향 논의
⑥ 3.9 4차 산업분야 탄소중립 R&D 수요 발굴 및 애로사항 수렴 개최
실무협의회
⑦ 3.9 반도체 반디업계 탄소중립 추진 의견 수렴 개최
디스플레이 예정
⑧ 3.1 비철금속 비철금속업계 탄소중립 지원방안 모색
⑨ 3.11 정유 정유업계 탄소중립 추진 지원
⑩ 3.15 전기전자 전기전자업계 탄소중립 실현 추진
⑪ 3.18 기계 기계업계 탄소중립 추진 건의사항 수렴
(잠정)
⑫ 3.24 (잠정) 자동차 자동차업계 탄소중립 추진 방향 모색
⑬ 3.25 제지‧섬유 섬유업계 탄소중립 전략 모색
⑭ 3.26 조선 친환경조선 추진 전략 모색
참고2 탄소중립 산업전환 추진위원회 4차 실무회의 개요

□ 회의 개요

ㅇ (목적) 예타 규모 이하로 추진예정인 탄소중립 신규과제의 적극 발굴을 위해 업종별 협ㆍ단체 의견수렴 추진

ㅇ (일시/장소) 3월 9일(화) 10시, 기술센터 16층 KIAT 대회의실

ㅇ (참석대상) 산업혁신성장실장(주재), 13개 업종별 협회 관계자, 산업연구원, 한국산업기술평가원, 전략기획단 담당자

*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정유, 반도체, 디스플레이, 비철금속, 자동차, 섬유, 전기전자(전자, 이차전지, 전기), 조선 업종 소관 협회

□ 논의 사항

① 탄소중립 R&D 추진방향


② ’22년도 산업부 신규예산 배분 방향 설명

③ 중장기 및 단기 신규과제 도출 방향에 대한 업계 제안 및 건의사항 공유

□ 세부일정

시간 내용 비고
10:00 인사말씀 산업혁신성장실장
10:05 탄소중립 R&D 추진방향 공유 산업기술개발과장
10:10 ’22년 신규사업 예산배분 방향 설명 산업기술정책과장
10:15 업종별 업계 요구사항 공유 업종별 단체
11:30 마무리 및 당부말씀 실장님
참고3 회의 참석자 현황

No. 소속 직책 성명
1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혁신성장실장 장영진
2 한국철강협회 사무국장(상무) 김영주
3 석유화학협회 연구조사본부장 김평중
4 한국시멘트협회 품질인증센터장 김의철
5 대한석유협회 지속가능경영실장 안국헌
6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 안기현
7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산업정책본부장 이상진
8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안전환경본부장(상무) 김용원
9 섬유산업연합회 성장지원실장 최준영
10 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융합산업본부장 김기정
11 전지산업협회 부회장 정승남
12 전기산업진흥회 기술혁신본부장 강용진
13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부회장 이병철
14 산업기술평가관리원 산업기술정책단장 고병철
15 산업연구원 성장동력산업연구본부부연구위원 이상원
16 전략기획단 소재부품산업MD 임영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