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핫뉴스1

미국 파인주얼리 시장동향[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및 기타 해외시장동향

하이거 2018. 6. 13. 14:19

미국 파인주얼리 시장동향[KOTRA KOTRA 해외시장뉴스] 및 기타 해외시장동향

 

2018-06-13 미국 로스앤젤레스무역관


- 경기회복에 따라 중상층의 귀금속(fine jewelry)에 대한 소비와 관심 증가 -

- 고가의 제품보다는 부담 없는 가격대의 중가 상품들이 인기가 높음 -

 

 

 

□ 상품명 및 HS Code

 

  ◦ 상품명

    - 파인주얼리

 

  ◦ HS Code

    - 7113.19

 

□ 시장규모 및 시장동향

 

  ◦ 시장규모

    - 2017년 기준 미국 파인주얼리의 시장규모는 약 461 660만 달러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전년 대비 5% 감소한 수치임.

    - 앞으로 2022년까지 파인주얼리 시장은 연평균 1.2%의 감소율을 보이며 완만한 속도로 축소될 것으로 예측됨.

 

미국 파인주얼리 시장 규모 변화 추이

자료원: Euromonitor

  ◦ 시장동향

    - 2016년 기준 파인주얼리 매출은 높은 단가로 전체 주얼리 시장 매출의 83%를 차지하며 커스텀주얼리의 매출을 압도하였음.

    - 그러나 다이아몬드 가격 하락, 전자상거래 증가로 인한 가격경쟁 심화, 소비자 선호도 변화 등을 원인으로 파인주얼리의 단가가 하락하고 있는 추세임.

    - 다이아몬드는 파인주얼리 매출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보석류로, 최근 소비자들은 작은 컷의 다이아몬드를 선호함.

    - 다양한 주얼리를 상황에 따라 다르게 착용하길 원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초고가의 제품보다 부담이 적은 가격대의 중가 가격대의 상품들의 판매가 늘어남.

    - 금이 들어간 주얼리의 매출은 전체 시장 매출의 50%를 차지하면서 금은 2017년 가장 선호도가 높은 귀금속으로 밝혀짐.

    - 은은 두 번째로 인기 있는 귀금속으로, 은으로 만든 주얼리는 전체 매출의 31%를 차지하였으며, 합금류와 백금으로 만든 주얼리는 전체 매출의 16%를 차지함.

 

□ 수입동향

 

  ◦ 주요 수입 동향

    - 미국의 전체 파인주얼리 수입액은 지난 3년 동안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임.

    - 그러나 1위 수입국인 인도와, 주요 수입국 홍콩, 태국, 도미니카 공화국의 대미 파인주얼리 수출은 감소하였음.

    - 한국 파인주얼리 수입액은 지난 3년간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2017년 수입액은 전년 대비 16.32% 증가하였음.

    - 한국은 현재 25위 파인주얼리 수입국으로 한국산 파인주얼리는 전체 수입의 0.4% 비중을 차지함.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순위

국가

연도별 매출액(백만 달러)

비중(%)

증감률(%)

2015

2016

2017

2015

2016

2017

- 17/16 -

0

전체

5743.63

6930.24

7438.69

100

100

100

7.34

1

인도

1310.48

1507.79

1433.47

22.82

21.76

19.27

-4.93

2

프랑스

650.00

803.92

869.63

11.32

11.6

11.69

8.17

3

중국

804.06

854.42

861.61

14

12.33

11.58

0.84

4

이탈리아

486.46

654.40

831.98

8.47

9.44

11.18

27.14

5

홍콩

232.66

529.22

507.40

4.05

7.64

6.82

-4.12

6

태국

313.93

410.14

359.12

5.47

5.92

4.83

-12.44

7

영국

44.29

123.89

355.74

0.77

1.79

4.78

187.14

8

터키

144.62

217.18

264.11

2.52

3.13

3.55

21.61

9

스위스

189.73

193.34

223.88

3.3

2.79

3.01

15.8

10

도미니카 공화국

226.96

210.05

182.80

3.95

3.03

2.46

-12.97

25

한국

21.09

25.71

29.90

0.37

0.37

0.4

16.32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 경쟁동향

    - 미국 파인주얼리 시장은 매우 분화되어 있으며, 국내외로 다수의 플레이어가 있는 경쟁 시장임.

    - 시장 점유율은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편임. 3대 선도 기업이 전체 시장의 11.2%를 점유하고 있으며, 자가 상표(PL: Private Label)를 제외한 나머지 기업들은 전체 시장의 82.6%를 점유하고 있음.

    - 현지 및 해외 제조업체들은 다양한 소매채널을 통해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아직 압도적으로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기업이 없어 제조업체들의 시장 진입 장벽이 낮음.

 

시장 주요 기업 점유율

자료원: Euromonitor

 

  ◦ 경쟁기업

    - 2016년 기준 Sterling Jewelers Inc. Zale Corp의 모회사인 Signet Jewelers Ltd가 시장의 미국 주얼리 시장의 9%를 점유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음.

    - Sterling Jewelers Inc. 1위 선도 기업으로 Kay Jewelers, Jared the Galleria, JB Robinson Jewelers, Ultra Diamonds, Marks & Morgan Jewelers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Kay Jewelers는 전체 주얼리 시장의 4.2%를 점유하고 있음.

    - 2위 선도 기업 Zale Corp Zales, People, Piercing Pagoda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Zale Corp는 미국 내 2,0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음.

    - Tiffany & Co 3위 선도 기업으로, 전체 시장의 약 2.6%를 차지하고 있음. 하지만 최근 부진한 판매 실적으로 2017 2 Tiffany & Co의 당시 CEO였던 프레드릭 쿠메날(Frederic Cumenal)이 퇴임한 바 있음.

    - 이후 Tiffany & Co는 판매 실적 증진을 위해 새로운 패션 주얼리 콜렉션인 Tiffany HardWear를 출시하였으며, 팝스타 Lady Gaga와 광고 콜라보레이션을 기획하는 등의 시도를 함.

    - 한편, Pandora는 이스토어, 컨셉스토어 등의 소매 네트워크를 확장시킴으로써 좋은 판매 성과를 지속시킴.

    - Blue Nile은 온라인 주얼리 시장의 선도 기업으로, 2016 3 7,400만 달러의 매출을 달성함. 상대적으로 저렴한 약혼반지와 결혼반지를 출시함으로써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을 어필하기도 함.

 

□ 유통구조

 

  ◦ 오프라인 유통 채널

    - 리서치 전문기관 IBIS World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미국 주얼리 오프라인 스토어의 매출은 34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지난 5년간 오프라인 매출은 평균 0.1%의 성장률을 보이며 느린 속도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미국 오프라인 주얼리 시장 통계


자료원: IBIS World

 

  ◦ 온라인 유통 채널

    - 2017년 온라인 주얼리 시장의 매출은 81억 달러로, 지난 5년간 평균 12.3%의 성장률을 보이며 빠르게 확대됨.

    - Euromonitor 보고서에 따르면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파인주얼리의 온라인 스토어와 온라인 중고 스토어가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앞으로 온라인 포탈이 단순히 홍보와 정보전달의 매체일 뿐 아니라 파인주얼리의 거래의 장으로서도 그 역할이 부각될 전망임.


미국 온라인 주얼리 시장 통계

자료원 : IBIS World

 

  ◦ 직접 거래(Direct Selling)

    - 2017년 직접 거래 방식으로 유통된 주얼리는 11억 달러로, 주얼리 직접 거래 시장은 지난 5년간 평균 2%씩 꾸준히 감소하였음.

    - 직접 판매되는 주얼리의 52.8%가 파인주얼리인 것으로 나타남.

    - 직접 거래 방식은 온라인 판매와 소매점들의 성장으로 앞으로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됨.



미국 주얼리 직접 거래 시장 통계

자료원: IBIS World

 

□ 관세율 및 수입규제

 

  ◦ 관세율

    - 관세율은 HS 코드에 따라 구분되며, HS Code 별로 일반관세는 5%에서 최고 7%까지 적용되나, 한국산 제품은 한미 FTA에 의거하여 무관세로 적용되는 관세혜택을 받을 수 있음.

 

파인주얼리 관세율표(HS Code: 7113.19)


HS CODE

영문 품목 설명

단위

일반관세율

FTA 적용 관세율

7113.19

Of other precious metal, whether or not plated or clad with precious metal:

N/A

N/A

N/A

7113.19.10.

Rope, curb, cable, chain and similar articles produced in continuous lengths, all the foregoing, whether or not cut to specific lengths and whether or not set with imitation pearls or imitation gemstones, suitable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articles provided for in this heading

N/A

7%

무관세

7113.19.21

Rope

N/A

5%

무관세

7113.19.25

Mixed link

N/A

5.80%

무관세

7113.19.29

Other

N/A

5.50%

무관세

7113.19.30

Clasps and parts thereof

N/A

5.80%

무관세

7113.19.50

Other

5.50%

무관세


자료원: USITC


  ◦ 비관세 장벽

    - 통관 시 특별히 요구되는 필수 인증이나 규제는 없음.

 

□ 시사점

 

  ◦ 이커머스 확대

    - 최근 미국 사회는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인해 고소득층이 크게 확대되었고 이로 인해 수요 패턴과 쇼핑 방식이 변화하고 있음.

    - 사회활동과 가사 노동을 병행하는 다수 여성들에 의해 인터넷,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쇼핑이 보편화되고 있음.

    - 2017년에 들어서는 온라인 시장이 가장 큰 매출 증가율을 보인 바 있음.

    - 진입 장벽이 낮고 경쟁업체가 많은 주얼리 시장의 특성상 브랜드 인지도가 낮더라도 독보적인 디자인과 스타일을 내세워 온라인 매체를 통해 제품을 홍보한다면 현지 시장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최근 매건 마클과 해리 왕자의 결혼식 중에 매건 마클이 착용한 아콰마린 반지가 인스타그램을 통해 화제가 되었던 것처럼 유명한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이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확산되는 케이스들이 나타남.

 

()아콰마린 반지를 착용한 매건 마클과 ()해리 왕자

자료원: JCK 공식 웹사이트

 

  ◦ 2018년도 JCK Las Vegas에서 언급된 트렌드

    - 올해도 전년의 트렌드로 꼽혔던 레이어링 반지와 비대칭 귀걸이, 합성 다이아몬드, 링 등이 계속해서 인기를 끌 것으로 전망됨.

    - 새롭게 떠오르는 트렌드로는 조개 모티브의 장신구와 조각적인 모양의 은제 주얼리, 도장이 새겨진 반지 등이 언급됨.


2017년 프라다(Prada) FW 시즌 런웨이에서 소개된 조개 목걸이



자료원: JCK 웹사이트

 

다니엘 에스피노자(Daniel Espinosa)의 조각적 모양의 은제 귀걸이




EMB00001cdc85e0

자료원: JCK 웹사이트

 

Retrovai의 도장이 새겨진 반지

EMB00001cdc85e1

자료원: JCK 웹사이트

 

    - 현지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트렌드를 미리 파악하여 소비자들의 취향과 선호도에 맞추어 공략하는 것이 중요함.

 

 

자료원: IBIS World, Euromonitor, World Trade Atlas, USITC, JCK 웹사이트, 그 외 코트라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자료 종합 



번호     제목국가무역관게시일조회수
67635 日 가공식품 업계에서 '순살' 제품 급성장 일본 후쿠오카 2018-06-13 66
67634 미국 파인주얼리 시장동향 미국 로스앤젤레스 2018-06-13 51
67633 과테말라 어패럴 소싱 쇼에 다녀오다 과테말라 과테말라 2018-06-13 42
67632 미국 스마트워치 시장동향 미국 실리콘밸리 2018-06-13 68
67631 [무역관 르포]독일 바이오매스 산업과 진출기회 독일 함부르크 2018-06-13 46
67630 [무역관 르포]자동차 강국 독일, 라이드 헤일 산업으로 깜빡이를 켜다! 독일 함부르크 2018-06-13 68
67629 코트디부아르 수출 시 선적전검사 필수! 코트디부아르 아비장 2018-06-13 62
67628 인도 뭄바이 울산 무역사절단 참관기 인도 뭄바이 2018-06-12 89
67627 일본 초저온탱크 시장 동향 일본 도쿄 2018-06-12 117
67626 일본 전기자동차 모터 제조사를 만나다 일본 도쿄 2018-06-12 104
67625 [전문가 기고] 베트남 부동산 투자 유의사항 베트남 하노이 2018-06-12 140
67624 베트남 정부, ‘디지털 옷 갈아입기’에 본격 박차 베트남 하노이 2018-06-12 120
67623 인도네시아 화장 비누 시장동향 인도네시아 수라바야 2018-06-12 237
67622 오만 신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현황 및 시사점 오만 무스카트 2018-06-12 228
67621 스페인, 한국 기업과 해외건설시장 공동진출에 높은 관심 스페인 마드리드 2018-06-12 221
67620 카자흐스탄 농업 시장동향 카자흐스탄 알마티 2018-06-11 221
67619 수단 제조업 육성의 현장, ‘Made in Sudan’ 전시회를 가다 수단 카르툼 2018-06-11 161
67618 중국 문화산업 기술서비스분야 기업세 감면정책 확대 중국 상하이 2018-06-11 305
67617 한국의 반도체 강소기업 ‘오디텍’ 현장 인터뷰 중국 난징 2018-06-11 335
67616 2018 캄보디아 국제 건축 인테리어 전시회 참관기 캄보디아 프놈펜 2018-06-11 195
67615 인도네시아 대형 가전제품 시장동향 인도네시아 수라바야 2018-06-11 278
67614 미국 마사지 기기 시장동향 미국 로스앤젤레스 2018-06-11 305
67613 2018 이우 수입 상품 박람회 한국관 참관기 중국 항저우 2018-06-11 203
67612 오만 관광산업 동향 및 최근 정책 변화 오만 무스카트 2018-06-11 201
67611 이스라엘 유압 브레이커 시장동향 이스라엘 텔아비브 2018-06-10 254
67610 2018년도 오만 예산안 및 시사점 오만 무스카트 2018-06-10 117
67609 일본 공기청정기 시장동향 일본 도쿄 2018-06-10 477
67608 중국 취업, 구체적인 계획과 전략 수립 필요 중국 청두 2018-06-09 329
67607 UAE 어린이용 스킨케어 시장 동향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2018-06-09 358
67606 UAE 자동차 시장 동향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2018-06-09 425
67605 시베리아 톰스크주, 우리 기업들이 투자할만한 분야는?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 2018-06-09 263
67604 제60대 콜롬비아 1차 대선 투표 결과 콜롬비아 보고타 2018-06-09 254
67603 미 패션업계, '기능성'과 '럭스레저'를 주목하다 미국 뉴욕 2018-06-09 469
67602 미국 가전제품 매장에서 가장 잘 팔리는 제품은? 미국 뉴욕 2018-06-09 630
67601 프랑스, 노동개정법 전문 변호사 심층 인터뷰 프랑스 파리 2018-06-09 186
67600 베트남 CCTV 시장동향 베트남 호치민 2018-06-08 416
67599 베트남 부동산, 앱으로 진출한다! 베트남 호치민 2018-06-08 1456
67598 중국상품전 참관기 – 지속되는 중국업체의 터키시장 공략 터키 이스탄불 2018-06-08 177
67597 터키 폴리프로필렌 시장동향 터키 이스탄불 2018-06-08 265
67596 알제리 에너지효율화 정책, 교통산업 먼저 알제리 알제 2018-06-08 256
67595 파키스탄 동물용 백신 시장동향 파키스탄 카라치 2018-06-08 218
67594 제로비탈의 본고장, 루마니아 화장품시장 현황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2018-06-08 237
67593 떠오르는 파키스탄 유통시장, 제대로 알고 접근하기 파키스탄 카라치 2018-06-08 258
67592 중국 매니큐어 시장동향 중국 시안 2018-06-08 218
67591 주목 받는 태국 전기자동차 시장 동향 태국 방콕 2018-06-08 339
67590 토마토와 오이 위주로 러시아 온실시장은 성장 중 러시아 블라디보스톡 2018-06-08 52
67589 영국 전자담배 시장동향 영국 런던 2018-06-08 219
67588 인도 사이버보안 시장동향 인도 방갈로르 2018-06-08 216
67587 프랑스, 유망한 일자리로 떠오른 바이오산업 프랑스 파리 2018-06-08 333
67586 현지화 전략으로 탄생한 한-미얀마-태국 합작 아이돌 미얀마 양곤 2018-06-08 238
67585 英, 청량음료 설탕세 도입 그 이후 영국 런던 2018-06-08 249
67584 영국의 애그리테크(Agri-Tech) 산업과 스타트업 영국 런던 2018-06-08 238
67583 中 징둥 'K-브랜드 모조품 식별 설명회' 현장 스케치 중국 베이징 2018-06-08 371
67582 中 수입상품 수요 ② 소비자편 중국 베이징 2018-06-08 439
67581 미국 온라인 남성 정장 판매 시장 동향 미국 워싱톤 2018-06-08 221
67580 캐-미 철강분쟁, 캐나다 경제영향은 '제한적' 캐나다 밴쿠버 2018-06-08 288
67579 아르헨티나 자동차 산업, 두자리수 성장을 노린다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2018-06-08 301
67578 한국산 승용차, 이집트 경제위기 속에서도 시장점유율 1위 수성! 이집트 카이로 2018-06-08 295
67577 EU, 현재 당면 과제와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살펴보자 벨기에 브뤼셀 2018-06-08 288
67576 한-아프리카 협력 확대의 신호탄이 된 아프리카개발은행 연차총회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2018-06-07 125
67575 남아공 진출, 이제부턴 one Stop Shop과 함께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2018-06-07 389
67574 [무역관 르포] 덴마크, 증거금 제도로 플라스틱병 재활용률 90% 육박 덴마크 코펜하겐 2018-06-07 264
67573 스칸디나비아 헬스 및 재활기구 박람회 2018 현장 스케치 덴마크 코펜하겐 2018-06-07 188
67572 증가하는 온실, 스마트농업 수요와 함께 증가하는 국가, 기업 간 경쟁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2018-06-07 328
67571 말레이시아-싱가포르 고속철도(HSR) 및 MRT3 프로젝트 철회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2018-06-07 335
67570 중국 니트의류 시장동향 중국 선양 2018-06-07 280
67569 중국 제조업과 스마트 제조 중국 선양 2018-06-07 400
67568 2018 선양 한국인 유학생 취업 설명회 참관기 중국 선양 2018-06-07 233
67567 페루 의료용 살균기 시장동향 페루 리마 2018-06-07 196
67566 프랑스 신개념 창업 모델, 지역 상인과 손잡기 프랑스 파리 2018-06-07 794
67565 폴란드 외과용 의료기기 시장동향 폴란드 바르샤바 2018-06-07 421
67564 불가리아 부직포 시장동향 불가리아 소피아 2018-06-06 336
67563 GDPR 발효와 관련 불가리아 전문가 인터뷰 불가리아 소피아 2018-06-06 402
67562 이집트 투자,창업 시장 현황 이집트 카이로 2018-06-06 343
67561 오스트리아 피트니스장비 시장동향 오스트리아 2018-06-06 205
67560 카타르 교육현황으로 보는 교육기자재 시장 진출 가능성 카타르 도하 2018-06-06 228
67559 이집트 석유화학 산업 동향 이집트 카이로 2018-06-06 265
67558 인도네시아 정부 인프라 사업 참여, 민간기업도 가능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2018-06-06 547
67557 [전문가 기고]인도네시아 정부의 외국인 고용 허가 제도 개정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2018-06-06 353
67556 인도네시아, 직접투자 절차 간소화 및 조세 혜택 확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2018-06-06 440
67555 호주, IoT(Internet of Things)를 통한 스마트 홈 라이프가 대세! 호주 시드니 2018-06-06 647
67554 미국 바이오테크의 심장, 그 현장을 찾아가다 미국 실리콘밸리 2018-06-06 419
67553 [전문가 기고] 무역확장법 232조가 한국산 철강에 미치는 영향 캐나다 토론토 2018-06-06 342
67552 2018 파나마 국제 관광 전시회 참관후기 파나마 파나마 2018-06-06 230
67551 EU GDPR 발효 이후 미국 IT 기업들의 대응은 미국 실리콘밸리 2018-06-05 1369
67550 캐나다 신발 시장동향 캐나다 토론토 2018-06-05 462
67549 미얀마, 2018년 최저임금 33% 인상 미얀마 양곤 2018-06-05 563
67548 [무역관 르포]특허 피침해 시 활용 가능한 미국 국제무역위원회의 조사절차제도(Part 1) 미국 뉴욕 2018-06-05 255
67547 UAE 선글라스 시장 동향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2018-06-05 324
67546 [전문가 기고] 해외취업의 이상과 현실 중국 상하이 2018-06-05 545
67545 [전문가 기고] 싱가포르 소비세: GST (Goods and Services Tax) 싱가포르 싱가포르 2018-06-05 282
67544 2018년 싱가포르 아시아 카드 & 결제 전시회(Seamless Asia 2018) 방문기 싱가포르 싱가포르 2018-06-05 301
67543 싱가포르 과일 시장동향 싱가포르 싱가포르 2018-06-05 350
67542 미국의 경제성장으로 동반 상승하는 목재 시장 미국 디트로이트 2018-06-05 286
67541 자율 주행 기술, 화물차부터 도입될 것으로 전망 미국 디트로이트 2018-06-05 451
67540 Toys “R” Us와 장난감시장 전망 미국 마이애미 2018-06-05 445
67539 파나마 호텔산업, 에어비앤비에 전쟁을 선포하다 파나마 파나마 2018-06-05 308
67538 2018 테크서밋 브라티슬라바(TECHSUMMIT Bratislava 2018) 미리 보기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2018-06-05 258
67537 독일 모바일기기 케이스 시장동향 독일 프랑크푸르트 2018-06-04 401
67536 독일, 전동스케이트보드 시장 커지나 독일 프랑크푸르트 2018-06-04 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