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과학기술외교 공개토론회(포럼) 개최
제1회 과학기술외교 공개토론회(포럼) 개최
작성일 2021-05-12 부서 구주아프리카협력담당관



과학기술과 함께 국제무대 주역으로!
제1회 과학기술외교 공개토론회(포럼) 온라인 개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5월 13일(목) 과학기술‧외교 관계자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국가적 과학기술외교 전략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하는 ‘제1회 과학기술외교 공개토론회(포럼)’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 금번 제1회 과학기술외교 포럼은 국가의 핵심 경쟁력으로써 중요성이 커져가는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국제 사회에서 우리의 위상을 높이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이다.
ㅇ 영국, 미국 등 주요 국가들은 일찍이 기술확보, 국제위상 제고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과학기술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 우리나라 역시 디지털 대전환, 신‧변종 감염병 사태, 탄소중립과 같이 피할 수 없는 변화와 위기 속에서 과학기술을 매개로 하는 국가 간 협력관계 구축의 중요성을 실감하고 있다.
ㅇ 이에 과기정통부는 외교부와 함께 지난 2019년 10월 「혁신적 포용국가를 위한 과학기술외교 전략」을 발표하였으며,
- 기반구축의 일환으로서 과학기술외교에 대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자 금번 포럼을 개최하게 되었다.
ㅇ 포럼은 두 개 분과(세션)에서 ‘과학기술외교의 현재와 미래’ 및 ‘과학기술외교‧국제협력 성과와 과제’에 대해 각 20분씩 발제 이후, 산‧학‧연 현장의 과학기술 국제협력 및 외교 전문가 간 토론으로 구성된다.
- 첫 번째 분과(세션)에서는 국제적 과학기술외교 이슈와 사례에 대해, 두 번째 분과(세션)에서는 우리나라의 시대별 과학기술 국제협력 정책과 성과‧한계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며, 우리의 과학기술외교 추진방향과 과제를 제언한다.
- 전문가 토론자(패널) 토론에서는 산‧학‧연 일선의 과학기술 국제협력 전문가가 향후 과학기술 외교 방향과 과제에 대해 산‧학‧연 현장의 의견을 제시할 예정이다.
□ 참여를 희망하는 사람은 유튜브에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또는 ‘KISTEP’ 채널을 검색 및 접속함으로써 포럼에 참여할 수 있다.
ㅇ 온라인 참여자는 유튜브 채널의 채팅창을 통해 발제자 및 전문가에게 궁금한 점을 질의할 수 있다.
□ 과기정통부 용홍택 제1차관은 “금번 공개토론회(포럼)가 과학기술외교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실행과제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며, 과기정통부는 앞으로도 공개토론회(포럼)를 지속적으로 개최하여 과학기술외교에 대해 깊은 논의가 이뤄질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참고 『제1회 과학기술외교 공개토론회(포럼)』 개최 계획
□ 행사 개요
ㅇ 일시 : 5월 13일(목) 09:30~12:00
ㅇ 개최방법 : 온라인(유튜브)을 통한 공개토론회(포럼)로 개최
※ 유튜브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또는 ‘KISTEP’) 채널을 통해 포럼 현장을 실시간 중계 및 채팅을 통한 질의응답으로 양방향 소통 가능
ㅇ 참여 : 과기정통부 제1차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장, 과학기술 국제협력 관련 산‧학‧연 현장 전문가(발제자 2인, 패널 7인), 과학기술외교에 관심있는 관계자‧일반인 등
□ 진행계획(안)
시 간 내 용
09:30~09:45 15‘ 개회사
(개회사) 과기정통부 제1차관 / (축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원장
09:45~10:05 20‘ (세션1) 과학기술외교의 현재와 미래
과학기술외교 개념 및 주요국의 과학기술외교 현황
국제사회에서 과학기술외교 주요현안 및 과학기술의 역할
미래사회 변화 대응을 위한 국가차원의 과학기술외교 정책적 방향성 탐색
10:05~10:25 20‘ (세션2)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외교‧국제협력 성과와 과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외교/국제협력 추진현황, 성과 및 한계 진단
과학기술외교 추진을 위한 향후 과제 등
10:25~10:40 15‘ 휴식
10:40~12:00 80‘ 토론 및 질의응답